1. 캠버
캠버는 바퀴의 위쪽이 차량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기운 각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앞에서 차량의 바퀴를 보았을 때 한문으로 八자형이면 마이너스 캠버라고 하며 그 반대인 경우를 플러스 캠버라고 합니다.
+ 캠버인 경우 직진성을 좋게 하고 킹핀 옵셋을 적게 하나 코너링 능력은 떨어집니다.
- 캠버인 경우는 코너링 능력을 향상시키지만 타이어의 내측의 마모를 촉진시킵니다.
보통 승용차에는 + 캠버를 두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앞 바퀴가 하중을 받아도 아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 주행할 때 바퀴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
* 킹핀 옵셋을 적게 하여 핸들조작을 가볍게 한다
* 너클이나 스핀들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
일반적으로는 코너링 성능을 좋게 할 때는 - 캠버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포지티브(+) 캠버로 하면 코너링 한계는 떨어지지만 타이어가 드리프트(그립을 잃어 흐르는 상태)때의 컨트롤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캐스터
캐스터는 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부분(킹핀 등)의 연장선과 타이어의 접지점에서 수직으로 올라온 선의 각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전륜구동 차량에는 마이너스이거나 아니면 각도가 적고 후륜구동 차량의 경우에는 각도를 많이 주는데 정(+)의 캐스터는 차륜을 앞에서 잡아당기는 효과를 하므로 직진성이 좋고 시미 현상이 감소됩니다.
그리고 조향핸들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조향 차륜을 직진 위치로 복원시키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각도가 크면 선회시 내륜측의 차체가 위로 들려 올려 가는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해치게 됩니다.
3. 토우
토우는 좌우 양쪽 타이어의 평행의 정도를 말합니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는 양쪽이 완전한 평행선을 그리는 것이 아닙니다. 쉽게 인체에 비유하여 말씀드리면 사람이 바로 서있을 때 양쪽 발의 간격을 발가락에서 잰 경우와 발꿈치에서 재어본 거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그 결과 발가락 부분이 짧으면 토우인이라고 합니다. 그 반대의 경우를 토우아웃이라고 합니다.
후륜구동인 경우에 토우인을 두는 중요한 이유는 캠버가 플러스이면 바퀴는 밖으로 향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해소하고자 토우를 인으로 조정하여 밖으로 빠지려는 힘을 상쇄시키는 것입니다. 그 반대로 전륜구동인 경우에는 구동력의 반작용으로 전륜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조향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우 토우 아웃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토우 인의 경우는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초기의 반응이 민감하고 토우 아웃 경우는 스티어링을 크게 하였을 때 선회성능이 높다고 합니다.
※서스펜션 같은 경우에는 저도 아직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습니다. 아직도 배우는 중이고요. 그림이 있는데 이건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많거든요. 그리고 이 자료는 예전에 제가 니드포스피드 하면서 실제 튜닝 정보를 모은것으로 어디서 발췌 했는지는 기억이 안납니다. 태클 걸지 말아주세요.
나머지는 조금 쉬었다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캠버는 바퀴의 위쪽이 차량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기운 각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앞에서 차량의 바퀴를 보았을 때 한문으로 八자형이면 마이너스 캠버라고 하며 그 반대인 경우를 플러스 캠버라고 합니다.
+ 캠버인 경우 직진성을 좋게 하고 킹핀 옵셋을 적게 하나 코너링 능력은 떨어집니다.
- 캠버인 경우는 코너링 능력을 향상시키지만 타이어의 내측의 마모를 촉진시킵니다.
보통 승용차에는 + 캠버를 두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앞 바퀴가 하중을 받아도 아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
* 주행할 때 바퀴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
* 킹핀 옵셋을 적게 하여 핸들조작을 가볍게 한다
* 너클이나 스핀들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
일반적으로는 코너링 성능을 좋게 할 때는 - 캠버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포지티브(+) 캠버로 하면 코너링 한계는 떨어지지만 타이어가 드리프트(그립을 잃어 흐르는 상태)때의 컨트롤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캐스터
캐스터는 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부분(킹핀 등)의 연장선과 타이어의 접지점에서 수직으로 올라온 선의 각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전륜구동 차량에는 마이너스이거나 아니면 각도가 적고 후륜구동 차량의 경우에는 각도를 많이 주는데 정(+)의 캐스터는 차륜을 앞에서 잡아당기는 효과를 하므로 직진성이 좋고 시미 현상이 감소됩니다.
그리고 조향핸들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조향 차륜을 직진 위치로 복원시키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각도가 크면 선회시 내륜측의 차체가 위로 들려 올려 가는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해치게 됩니다.
3. 토우
토우는 좌우 양쪽 타이어의 평행의 정도를 말합니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는 양쪽이 완전한 평행선을 그리는 것이 아닙니다. 쉽게 인체에 비유하여 말씀드리면 사람이 바로 서있을 때 양쪽 발의 간격을 발가락에서 잰 경우와 발꿈치에서 재어본 거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그 결과 발가락 부분이 짧으면 토우인이라고 합니다. 그 반대의 경우를 토우아웃이라고 합니다.
후륜구동인 경우에 토우인을 두는 중요한 이유는 캠버가 플러스이면 바퀴는 밖으로 향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해소하고자 토우를 인으로 조정하여 밖으로 빠지려는 힘을 상쇄시키는 것입니다. 그 반대로 전륜구동인 경우에는 구동력의 반작용으로 전륜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조향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우 토우 아웃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토우 인의 경우는 스티어링 조작에 대하여 초기의 반응이 민감하고 토우 아웃 경우는 스티어링을 크게 하였을 때 선회성능이 높다고 합니다.
※서스펜션 같은 경우에는 저도 아직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습니다. 아직도 배우는 중이고요. 그림이 있는데 이건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많거든요. 그리고 이 자료는 예전에 제가 니드포스피드 하면서 실제 튜닝 정보를 모은것으로 어디서 발췌 했는지는 기억이 안납니다. 태클 걸지 말아주세요.
나머지는 조금 쉬었다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