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10가지 정도이며..
게임을 시작하기 전이나, 초반부를 진행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건담브레이커4는 멀티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만약 친구와 함께 게임을 즐기면서 멀티플레이를 생각하고 있다면 같은 기종의 게임을 구매하자.
스토리 2장 클리어 이후부터 파츠 합성이 가능하여, 원하는 건프라로 조합한 기체를 써먹어 볼 수 있게 된다.
파츠 합성을 하면 소재가 되는 파츠에 붙어있는 어빌리티를 메인 파츠로 가져올 수 있으며
시나리오에 따라서 최대 강화 레벨 제한이 걸려있는데,
적어도 제한치에 근접한 파츠 레벨에 도달해야 시나리오를 수월하게 클리어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손에 무기를 하나씩 쓰는 경우에는 양쪽 무기를 모두 레벨업 시켜주는 것이 중요.
파츠의 레벨 강화가 이루어진 다음, 스토리 4장을 넘어가면 '플라스틱 파츠 진화' 소재를 얻게 되면서
파츠의 레어리티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어빌리티들은 파츠 합성으로 다른 파츠들을 제물로 삼아서
제물이 된 파츠의 어빌리티를 지금 사용하는 파츠에 어빌리티를 붙이는 방식.
엔드컨텐츠 성향이 짙고, 시나리오 진행에 있어서는 진화 플라스틱이 많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올리기 힘든 편.
따라서 시나리오 진행에는 레어리티를 상승시키는 것 보다,
파츠의 레벨을 상승시켜 기본 능력치를 끌어올리는 것에 중점을 두는 편이 좋다.
파츠에 붙은 스킬을 영구 습득하여 마스터 스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다른 파츠를 쓰더라도 해당 스킬을 장착 가능.)
마스터 스킬로 만들었을 땐 스킬옆에 기호에 불이 들어 온 것으로 해당 파츠의 스킬을 습득했는지 안 했는지 확인 가능.
하지만 현재 마스터 스킬에는 요상한 버그들이 있어서.. 습득을 했는데 써지지 않기도 한다.
(9월 20일 업데이트로 인하여, 마스터 스킬을 쓰면 해당 파츠 크기가 기본값으로 되돌아오는 버그는 수정 됨.)
각종 어빌리티들의 효과치를 더해주는 어빌리티 카트릿지 슬롯이 순차적으로 해금된다.
개중에는 효과를 플러스 시켜주는 것만이 아닌, 역효과로 마이너스가 되는 것들도 있으니 주의해야 하며
이것 역시 엔드컨텐츠 쪽이라 시나리오 진행에 있어서는 플러스 효과를 주는 것들을 착용하도록 하자.
시나리오 진행에 따라서 조금씩 개수가 늘어나거나 상점에서 구매 가능한 빌더즈 파츠는 관상용도 있지만,
특히 개틀링 계열의 파츠는 적의 경직게이지를 깎아내는 것에 특화되어 있으며
앗잠 리더 같은 옵션 웨폰은 좁은 범위의 적들을 그로기 상태로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
태양로를 붙여주면 EX 트랜스 버프인 트랜잠(공격력 30%)을 사용 할 수 있으니
여러가지 빌더즈 파츠를 장착하여 유리한 효과를 얻도록 하자.
히트 보너스와 브레이크 보너스의 콤보를 유지하면서 전투를 풀어가는 시스템으로
히트 보너스는 연타를 때리는 것으로 상승하여 보너스 레벨에 맞춰 플레이어 기체에게 버프를 걸어준다.
레벨 2 때는 사격 게이지 속도 10% 상승 이런식으로 올라가다가
마지막 레벨 9가 되면 공격력 50% 상승 + 적 기체 파츠 아웃 확률이 10% 상승된다.
또한 브레이크 보너스 게이지는 적을 쓰러트리는 것으로 상승되며,
레벨에 따라서 아이템 드랍률, 파츠 드랍률, 레어 아이템 드랍률이 상승된다.
따라서 전투에 있어서는 저 두 가지의 콤보를 유지하면서 적과 싸워나아가는 것이 기본이다.
난전이 치뤄지고 있을 때, 우측 아날로그 스틱의을 위로 입력하면 현재 시야내에서
보스급 혹은 최우선으로 처리해야 할 몹에게 자동으로 커서가 맞춰진다.
많은 것 처럼 보이지만 쿨타임 단축이나 OP무기 계열 특수 빌드를 짜는 것이 아닌이상 필요한 것은 대부분 들어간다.
개인적으로 붙여주면 좋을 것 같은 어빌리티들은 이런 식.
* 최대지속시간 : 히트 콤보
* 최대지속시간 : 브레이크 콤보
위에서 이야기한 콤보 시스템의 지속 시간을 늘려주는 어빌리티.
적의 공격을 받아 다운당하는 등등으로 콤보 끊어질까봐 긴장하는 일이 적어지므로 채용해주는 편이 좋다.
* 아이템드롭 : 확률
* 아이템드롭 : 품질
* 아이템드롭 : 확률&품질
파밍 게임인 만큼 채용하면 좋은 어빌리티.
단, 확률과 품질이 동시에 올라가는 어빌리티의 경우 상승폭이 적으니 유의하자.
* 내구치 회복 : 공격 히트 시
상승폭이 매우 적지만 모든 파츠에 붙이는 것만으로
개틀링, 머신건 계열 OP 무기를 사용함으로서 내구치를 빠르게 회복가능해진다.
* 반응속도 성능(머리파츠) - 기체의 공속증가
(트랜스를 사용하면 공속이 더 빨라짐으로 콤보 연계를 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다.)
* 각성게이지증가 : 성능(머리파츠)
* 시간 연장 : 각성(머리파츠)
* 이동 속도 : 달리기(다리파츠)
* 이동 속도 : 부스트(백팩)
* 시간 연장 : 하이퍼 트랜스 계열 EX (무기 // EX 트랜스 스킬 리필하기 귀찮다면 채용)
* 가드 게이지 : 회복속도 (실드)
* 가드게이지 : 용량 (실드)
* 가드 시 대미지 컷 : 물리, 빔 (실드)
* 대미지 컷 : 본인을 노리는 적 1기마다 (실드)
* 사격 게이지 코스트 : 사격무기 (실드)
* 사격 게이지 회복 속도 : 사격무기 (실드)
* 사격 게이지 용량 : 사격무기 (실드)
* 사격무기와 근접무기에는 각종 공격력 계열을 장착한다.
좌측팔 우측팔은 물론이고 사용하는 무기 계열(바주카 머신건, 사벨, 권법 등등)에
따로 공격력이 붙어있기도 하니 잘 확인하고 달아어야 하는데..
말그대로 기본 공격을 내는 도중에 캔슬하여 OP 무장이나 EX 스킬을 쓰면 공격력이 증가하는 옵션으로
중요한 것은 저 두 개의 옵션이 중복 적용이 된다.
즉, 기본 공격 이후 캔슬하여 EX 스킬을 사용했다고 가정을 했을 때,
캔슬EX 어빌리티는 물론 캔슬 콤보 어빌리티까지 적용되어 대미지가 올라간다는 것.
(현재 가장 강력한 EX 스킬은 빌드버닝건담 다리에 붙어있는 차원패왕류 성창차기 이다.)
지상 약약약강공격 연타와
공중 약약강공격 연타가 말그대로 사기급.
일반 보스몹이건 거대 보스몹이건 공평하게 갈아버린다.
특히 거대보스를 잡을 때는 기상 시 무적 이런 거 없으니 그냥 강공격만 연타하고 있으면 된다.
EX 게이지 수급도 제법 잘 되기 때문에,
차원패왕류성창차기(빌드버닝 건담 다리)
건담스파크(나이트건담 백팩)
2연 빔 라이플 올려베기(풀 아머 건담 썬더볼트판 오른손)
같은 강력한 EX 스킬과 함께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위에서 설명한 어빌리티 캔슬콤보, 캔슬EX 를 활용하면 EX 스킬의 대미지가 두 배가까이 뻥튀기되므로
더욱 빠르게 사냥하는 것이 가능.
아토믹 바주카는 한번 사용하면 사격 게이지를 모두 갉아먹기에 연사가 불가능 할 것 같지만...
여기에 GP-02 실드를 채용하면 EX 무장으로
뉴타입 난이도부터는 적들의 공격 한방에 비명횡사하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이것 역시 어빌리티 카트릿지에서 '내구치 : 용량' 을 가장 높은 녀석 (150% ~ 270%) 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된다.
다른 미션에서는 기본적으로 3회까지 부활이 되기 때문에 딱히 장착해줄 필요가 없을 수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퀘스트 챕터 5의 24번 - 모노리스 파괴미션SP 뉴타입 난이도에서
합성 플라스틱 소재를 파밍하기가 가장 수월하다.
브레이크 부스터를 사용하여 클리어하면 대략 3배 정도 소재 획득률이 상승되기에
브레이크 부스터의 수급은 미션을 S랭크로 클리어 하면 입수 가능.
.
.
.
(IP보기클릭)1.231.***.***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9.201.***.***
(IP보기클릭)106.250.***.***
(IP보기클릭)222.96.***.***
(IP보기클릭)58.232.***.***
아 그렇겠네요. 파츠의 레벨의 평균으로 데미지가 결정되야 맞겠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_+ | 24.09.03 11:54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11.221.***.***
(IP보기클릭)211.225.***.***
감사합니다
(IP보기클릭)113.131.***.***
(IP보기클릭)175.124.***.***
(IP보기클릭)58.232.***.***
초대형 메이스는 발바토스 루프스 렉스의 무기입니다. 시나리오에 3장 즈음에 적 기체로 나왔던 것 같은데.. 이후에는 샵에서 프라를 구매해도 됩니다. 바주카도 건담시작 2호기 사이사리스의 무장이라 샵에서 프라를 판매하는지 먼저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 24.09.13 15:36 | |
(IP보기클릭)211.229.***.***
고맙습니다 | 24.09.13 16:5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