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제네 시리즈 들이 예전부터 뭔가 레벨업 이라던가 경험치 습득 방식이 좀 한번에 알아보기 애매해서 그냥 해서는 적에게 습득하는 경험치가 정확히 얼마인지 알아보기 힘든 시리즈 인건 여전하더군요. 이번에 그룹공격이라던가 전 시리즈들에 비해 적용되는 경험치 습득방식이 조금 변경된점도 있고해서 질문글도 좀 있길래 올려봅니다. 정확한 습득 공식 등은 일본 위키 참조했습니다.
일단 적 기체나 파일럿에 따라서 고정적으로 얻는 경험치는 존재합니다만, 정확히 얼마인지는 적 스텟창을 확인해봐도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파일럿 창을 보면 1레벨당 필요한 경험치가 얼마다 라는것 정도 표기되어있죠. 이게 고정 경험치 인가는 정확히 모르겠음.
일단 퍼건시나리오 2화 기준으로
노멀난이도 익스트라난이도
돕 500exp 5500exp
가르마돕 600exp 5600exp
파고 표기되어있는것을 보면 아마 이게 고정경험치라고 생각은 됩니다. 일본위키에서는 기체exp+파일럿exp가 고정 경험치 라고 표기되어있지만 기체경험치는 상태창에서 확인할 방법이없음. 일단 파일럿 경험치가 높을수록 고정 경험치가 높다고 생각하시면 편함.
일단 이것이 중요한것이 아니고 진짜 중요한것은
레벨업 대상자의 전투력(기체+파일럿능력치)과 적의 전투력의 차로인해 적에게 얻는 고정경험치가 많게는 5배부터 적게는 1/5배까지 떨어진다는 것.
전투력 계산공식은
[(hp/100)+en+공격력+방어력+기동력+사격+격투+방어+반응] / 9
탑승 유니트의 스텟은 모두 포함되고 파일럿 능력치는 사격,격투,방어,반응 만 적용됩니다. 파일럿의 경우 지휘와 각성, 각종 승무원 스텟은 공식에 적용안됨.(전함의 경우 크루 전원의 사격 격투 방어 반응의 총합에 인원수만큼 나눔.)
를 기준으로 해서
적의 전투력-자신의전투력= 고정경험치 보정치A
가 됩니다. 결국 이게 뭔말이냐면 자신의 기체능력과 파일럿 능력이 적보다 높으면 높을수록 습득하는 경험치는 점점 줄어든다는것. 반대로 적이 자신보다 총합 능력이 높을수록 습득경험치는 높아진다는 말.
전투력 차로인한 보정치A의 경우
적과 자신의 최종 전투력 수치 차이가 최대 351에서 최소 -351까지 적용되는대 이 경우 보정치는 이하와 같이
적의 전투력 수치가 자신의 전투력수치보다
-351 이하 | ×0.20 |
-350~-301 | ×0.40 |
-300~-251 | ×0.60 |
-250~-201 | ×0.70 |
-200~-151 | ×0.80 |
-150~-101 | ×0.90 |
-100~1 | ×1.00 |
0~50 | ×1.50 |
51~100 | ×2.00 |
101~150 | ×2.50 |
151~200 | ×3.00 |
201~250 | ×3.50 |
251~300 | ×4.00 |
301~350 | ×4.50 |
351 이상 |
×5.00 |
이런씩으로 보정치가 발생합니다.(최종적으로 전함 게스트 카리스마보정이 추가.)
결국 어려운 난이도를 하면 할수록 적 자체적인 고정경험치도 높을 뿐더러 적 스텟도 대폭 상승하므로 그 차익 만큼 경험치가 추가되는것.
하지만 아군 자체 능력치 총합이 이미 5~600을 넘어가는 시점에서는 익스레벨에서도 경험치 보정은 1/5정도로 떨어짐. 반대로 아군 총합 스텟이 100~200정도일 경우 익스트라 이상 난이도에서 얻는 경험치는 어마어마해짐. (유니콘1화 시난주 격파시 ex부스터 사용으로 한번에 레벨1에서 10렙이상까지 오름)
결과적으로 기본스텟이 300이상인 최상급 기체의 경우 기본 레벨업에 필요한 exp 게이지도 높은편인대다가 상대적으로 습득 경험치 양까지 줄어들게되어 레벨업이 저가형 기체들에비해 매우 힘든편. 파일럿의 경우에도 초반스텟이 낮고 레벨업시에 오르는 능력치가 낮은 케릭터들이 레벨업 속도 자체는 매우 유리함. 반대로 주연급에 뉴타입급 강케들은 역시 상대적으로 레벨업이 매우 느려짐. 레벨의 수치에따라 경험치의 양이 변동이 있는게 아니라 전체스텟으로 경험치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아무생각없이 ap노가다해서 파일럿 스텟을 999 까지 찍어버리면 게임 끝날때까지 최저 경험치만 수급하며 진행할수 있으므로 나름 생각을 하며 진행해야함.
파일럿의 경우 스텟은 어차피 ap로 노가다가 가능하기때문에 큰 의미는 없을수 있지만 3가지 스킬습득에는 최대 30레벨, 습득 어빌리티를 모두 체우기 위해서는 케릭터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55~60까지 레벨을 올리지 않으면 모든 어빌리티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초반부터 ap노가다로 사격, 격투, 방어,반응 등을 999 체워버리면 어빌리티도 어빌리티지만 탑승 기체의 레벨속도도 그만큼 느려지기 때문에 막무가내씩의 ap노가다는 무조건 적으로 게임 진행에 유리한것은 아님. 명중 회피는 파일럿 능력으로 커버되지만 실제 공격력은 기체 공격력과 강화파츠에만 의존하므로 결국 익스 이상의 난이도를 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레벨업과 파일럿의 고유 어빌리티 습득이 어느정도 요구되는 상황.
여튼 이상의 공식등을 생각해서 레벨업을 해야할 경우, 파일럿들은 어빌리티나 스킬을 습득하는 레벨까지는 최대한 한정적으로 스텟을 올려줄 필요가 있음. 어빌리티 등을 모두 습득하여도 기체가 얻는 경험치 역시 파일럿 능력치에 따라 변동하므로 빠른 레벨업을 위해서는 ap를 최대한 적당히 찍어주는것이 좋음.
그외 노리고있는 기체만 빠른 레벨업을 시키기위한 꼼수로서
사격, 격투, 수비, 반응 4스텟이 바닥을 기는 파일럿(이완이라거나...이완...이완...이와노프...)을 탑승시켜 출격하여 레벨업, 인터미션에서 레벨초기화(...) 반복을 하게되면 고성능 기체라도 빠른시간안에 높은 레벨을 찍는것이 어느정도는 가능.
또한 파일럿의 레벨을 빠르게 올리는 방법으로는, 스텟이 100정도밖에안되는 쓰레기 1렙전함에 승무원으로 모두 밀어넣고 전함안의 모든 탑승기체(최대9체)를 출격, 경험치를 많이주는 보스급이나 시크릿 유닛을 그룹공격으로 격파 하는방법이 최고. 탑승 승무원들은, 관련된 보좌, 통신,조타,정비,카리스마 등등은 전투력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여유있는대로 찍어줘도 상관은 없음, 단 사격,격투,반응, 방어 의 경우 전함승무원 6인의 평균값이 전투력에 적용되므로 어느정도 레벨을찍어 기체파일럿으로 돌리기 전까진 전투력 관련 스텟을 올리지않는것이 좋음. 게스트 케릭터는 당연하지만 매력 능력치가 최대한 높은 케릭터로 탑승.
참고로 그룹공격으로 얻는 경험치 계산은 이하의 보정치가 추가됨.
그룹공격 참여유닛1기당 경험치 10% 상승. 최종적으로 전함이 얻는 경험치의 50%를, 그룹공격에 참여한 유닛들이 참여수만큼 나눠서 습득.
적 격파로 얻는 경험치가 1000일 경우 그룹공격으로 9체가 모두 참여한 상태로 격파하면 전함이 얻는 경험치는 1900, 그외 참여한 기체들이 얻는 경험치는 {(1900/2)/9}로 105의 경험치를 참여한 유닛9체가 모두 습득.
전함의 경우, 폐기가 되지않고 같은 전함을 중복으로 구매할수 없으므로, 일단 레벨업 하여 능력치가 너무 높게 오르게 되면 다른 1렙 전함을 공수하여 다시 레벨 노가다 시작.단, 전함의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무한히 활용할수 있는 부분은 아님. 하지만 습득 전함 전체를 다 만렙찍을 만큼 게임이 할게 많은것도 아니므로, 거의 무한히 활용할수 있다고 봐도됨. 전함구매 케피탈만 어느정도 보유하면 활용하는대 문제없는부분,.
시크릿 유닛의 경우, 시크릿 리더를 먼저 격파하여 양옆의 유닛이 백기상태가 되면 습득경험치가 30%까지 떨어지므로, 경험치를 노린다면 최대한 리더를 마지막에 격파.
맵병기로 적을 갈아먹을 경우 습득 경험치는 기존의 50%.
뭐 장황한 설명이 되었는대 대충 이정도면 정리가 된것 같내요. 그외 어빌리티나 장착 옵션파츠 등에 의해서도 어느정도 경험치 보정이 있다고는 하는대 거기까지는 정확히 실험해보지 않아서 잘모르겠음. 가지고있는 옵션파츠가 아직 스텟 30짜리 정도라 착용하고 잡아보고 빼고 잡아봐도 습득 경험치양에서 차이가 없었음.
이하 다른내용이 있거나 추가할거있으심 올려주세요. 새벽에 위키보면서 해보는대 대부분은 맞게 적용되는거 같습니다.
(IP보기클릭)110.70.***.***
(IP보기클릭)175.204.***.***
(IP보기클릭)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