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온지도 한참이고 이제는 하시는 분들도 없을 듯 하지만...
그냥 생각날때 하나씩 넣어보려 합니다.
24년 6월18일에 새로운 DLC가 출시된다 하네요.
보니까 그냥 트로피코5때 쓰던 수상건물들이 추가 될 듯 한데...
뭐 그래도 조금은 수명이 늘어 났나 싶기는 합니다.
기본적인 방법은 이전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1> 시작하기
시작은 당연 Create New Mod 입니다.
처음 화면에서 커스텀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이번에 해볼 것은 하나의 광산에서 채굴자원을 한가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부 하고 싶습니다.
추가로 다른 것들도 넣어볼거구요.
모드의 ID를 정해야 하는데요. 이전에도 설명드렸지만 모드 ID는 규칙성있게 하는것이 나중에 쌓이게 되면 찾기 편합니다...
그리고 전에 설명이 빠졌는데 이 ID는 영문으로 전체 50글자가 넘어가면 안 됩니다.
작업모드니 Workmode고 광산 스페셜;;이라고 정했습니다. Workmode_MineSP
위 화면에서 빨강!으로 표기되는 부분은 영문이지만 표시되어 있듯이 이미 이 이름으로 만든 것이 있기 때문에
알림이 뜬 것으로 만약 이렇게 나온다면 다른 ID로 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처음화면은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전에 설명드린 부분이라 넘어 가겠습니다.
다만 이 설정창에서 아랫부분은 중요하기에 마지막에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대충 이 모드에 대해 설명을 넣습니다.
기본화면에 대해서 입니다. 사실 모드를 만들다 보면 게임화면의 뷰포트는 새로운 그래픽애셋을 적용하는게 아니라면 볼 일이 잘 없기에
컨텐츠브라우저를 2개 띄우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Window > Content Browser > Content Browser 2 를 활성화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보이듯이 총 4개의 브라우저를 띄울 수 있지만 2개면 충분하더군요.
2> 모드 제작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적용해 보겠습니다.
광산에 모든것을 채굴하려 하는데 빈종이에 컴포넌트니 스크립트니 넣으려면 너무 머리가 아프고 또 이런 고급기술은 튜토리얼도 아니니
그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겠습니다.
첫 번째 임무에서 광산을 황금과 코코넛을 합성해서 황금넛을 만들고 밀수출하는 미션이 기억나시나요?
광산에 작업모드로 비밀절차가 추가되고 황금넛을 추가로 생산할 수 있게됩니다. 이걸 활용하겠습니다.
이 작업모드가 의외로 쏠쏠하게 대규모 농장이나 목장에도 사용가능합니다.
우선 이 작업모드의 BP를 찾아야 합니다.
브라우저 검색으로 찾으면 되는데 앞서 설명드렸듯이 의외로 파일명을 알기 쉽게 해놔서 쉽게 검색이 됩니다.
Goldnut이라고 치면 바로 나와요.
검색된 파일위에 커서를 올려두면 이렇게 인포가 보이는데 위치를 보면 그냥 BP의 빌딩데이터에 같이 존재하네요.
전에는 Override 즉 덮어쓰기를 설명드렸지만 이번에는 새로 추가를 하는 것이기에 Override가 아닙니다.
이 파일을 모드의 폴더로 Copy 해주세요. 아까 한대로 컨텐츠브라우저가 2개라면 그냥 드래그&드롭으로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이 BP를 복사했다면 당연 그대로 사용하면 안되고 이름을 바꿔야 됩니다. ID를 따라서 그냥 BP_Workmode_MineSP라고 명명하겠습니다.
물론 이걸 보시는 분들은 이름은 뭐를 해도 상관은 없어요. 그냥 여러분들이 알아보시기 편한대로 명명하시면 되겠습니다.그럼 위와 같이 아까의 Goldnuts의 작업모드 BP가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열어봅니다.
이렇게 이 파일을 프로퍼티가 나오게 되는데요 일단 윗부분은 뒤에두고 아래로 내려서 이 작업모드의 이름과 설명을 넣어주세요.
그리고 아래의 아래의 Unlock Era 및 Last Era는 이 작업모드를 어느시대부터 언제까지 적용할지의 설정입니다.
Unlock에 Colonial, 즉 식민지시대 처음부터 Mordern Times인 현대시대 까지 게임내 시대 전체에서 사용하겠다 입니다.
이것을 World Wars 에서 마지막을 Cold Wars로 하게 되면 식민지시대에는 활성화 되지 않고 세계대전에서 활성화 되고 냉전시대에 끝나게 됩니다. 현대시대에 다시 잠기게 되구요.
아래의 Unlock 코스트는 이 작업모드를 활성화 할 시 비용이 필요하다면 체크하여 아래의 항목에 가격을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Conditions 는 위의 시대설정이나 비용 외에 제약할 것이 있다면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보통은 연구 항목에서 연구해야지 활성화 되게 끔 한다던가 할 때 사용됩니다. < 이부분은 다음 튜토리얼 때 적어보겠습니다.
Background Workmode는 의미대로 체크할시 위의 설정이 맞다면 그냥 자동 활성화 된다는 소리 입니다. 보통은 체크 해재를 하죠.
아래는 멀티시에도 이모드를 쓸건지인데 이 모드는 거의 치트나 다름없는 모드라 멀티에서는 뺍니다...
다시 위에 항목으로 돌아가 Goldnuts 항목을 보겠습니다.
이 부분이 이제 생성할 자원을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
In Stocks to Add >
자원을 만들시 필요한 자원을 설정합니다. (황금넛 생산시에는 황금외에 추가로 코코넛이 필요했기에 이 부분에는 코코넛이 들어가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모든 광산에서 채굴만 하겠다는 설정으로 모드를 만들거니 딱히 필요한 소모성 자원은 없어도 되니 옆의 쓰레기통 아이콘을 눌러
삭제 하겠습니다.
Out Stocks to Add >
생성할 자원을 넣어줍니다. 옆의 +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번호와 함께 항목이 추가가 되는데요 하부 항목을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
Resource Type -
생성할 자원입니다. 여기를 설정하게 되면 이 건물에서 이 자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Stock Capacity -
생산량 입니다. 숫자 만큼의 자원을 생산하게 됩니다.
Production/Consumption Rate Multiplier -
생산속도 또는 소모성자원이면 소모속도를 설정합니다. 이 기준은 이 건물에서 근무하는 노동자 1명당 속도 입니다.
어차피 치트성인거 그냥 확올려도 되겠지만 나름 밸런스 맞춰본다고 숫자를 낮췄습니다;; 이걸 0.1로 해도 위에 써있듯 1명당입니다.
저는 이 작업모드를 활성화 하면 유지비용과 추가고용을 할 생각이라 기본 광산의 근무자는 3명인데 이걸 만약 10으로 늘리게 되면
0.1로 해도 0.1의 10배로 1이 됩니다. 그러니 생산량을 3000으로 해도 금방 생산됩니다.
Teamster Weighting Multiplier -
운송량입니다. 기본은 1입니다. 1이 100%입니다.
1일 경우 운송사무소의 기본 운송량에 따라 운송됩니다. 시대별로 운송량이 정해져있으니 그대로 옮기게 됩니다.
이걸 1.5로 하게 되면 150% 즉 1.5배 더 가지고 나갈 수 있다는 소리 입니다. 만약 운송사무소에서 기본 100개씩 옮기게 된다면
1.5일 경우 150개를 운반 가능하게 됩니다.
Debug -
이 메뉴는 체크시 이 자원이 처음부터 최대치로 재고가 있는 상태가 됩니다.
===========================================================================================================
위의 메뉴를 보시고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광산에서 자원 모든 것을 캐고 싶으니
Coal (석탄), Iron (철), Gold (황금), Aluminum (알루미늄), Uranium (우라늄), Nikel (니켈) 이렇게 기본적으로 넣어주시면 되고
다른것도 생산하고 싶으시면 더 추가하시면 됩니다. 저는 여기다가 Steel (강철), Jewerly (보석류), Oil (석유)를 추가로 넣었습니다.
추가하면서 하나하나 +로 넣기 귀찮으니 하나 설정하고 옆의 ▼ 를 눌러 Duplicate 를 선택해주시면 그대로 복사되니
자원만 변경하시면 편합니다.
이제 이 항목에서 아래 항목으로 넘어가겠습니다. 활성화된 항목만 설명드리겠습니다.
============================================================================================================
Remove Exiting Out Stocks >
이 항목에 체크를 하시면 기존의 자원은 삭제 됩니다. 이 항목을 활성화 되면 아래의 In Stock to Remove 항목이 나오게 되는데요
여기에 제거할 자원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Remove Exiting In Stocks >
이 건물에서 소모성 자원이 있을 경우 이것도 제거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마찬가지로 아래에 항목에서 제거할 자원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
광산은 기초 자원생산 건물이기에 애초에 소모성 자원은 없으니 In 항목은 무시해도 되겠습니다.
Out에 체크를 하는 이유는 광산의 경우 기본적으로 석탄,철,황금,알루미늄,니켈,우라늄 이렇게 6가지 인데
지금 제작하는 모드를 적용할 경우 생산이 겹치게 됩니다. 만약 석탄 광산에 이 모드를 적용하면 석탄에 또 석탄을 생산하게 되지요.
이거 보기 싫잖아요;;; 그래서 만약 이건물에서 이러한 자원이 기존에 있다면 제거하라는 의미로 활성화 하겠습니다.
In Stocks to Remove >
마찬가지로 여기에 제거할 자원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Resource Produced by Building >
그래서 이 건물에서 원래 생산하던게 뭔데? 라는 설정입니다. 그냥 아무거나 설정하셔도 무방합니다만 일단 광산인지라
디폴트인 Coal (석탄)으로 지정했습니다.
여기까지가 일단 생산자원을 추가하는 메뉴가 되겠습니다. 아래는 이제 이 작업모드를 활성화 할 시 건물운영에 대한 설정입니다.
Building 와 Workplace 카테고리를 보시면 이제 숫자를 넣으셔야 합니다.
=================================================================================================================
Building >
Upkeep Modifier -
Upkeep 즉 이 건물의 유지비 입니다. 이 모드를 활성화 할 시 이 건물의 유지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Percent 와 아닌 항목이 있는데 보통 Percent로 조절합니다. Percent 는 말 그대로 %로 1이 100%로 기본입니다.
2로 넣었다는 것은 200% 2배 입니다. 기본 건물의 유지비용의 2배가 들게 됩니다. Percent 가 없는 항목은 절대값입니다.
여기에 1000이라 적으면 이 모드를 활성화 할 시 $1,000 의 유지비용이 들게 됩니다. 0이면 비활성화 됩니다.
Efficiency Modifier -
이 건물의 효율 입니다. 퍼센트 항목에서 1은 100%로 기본값이며 만약 이곳을 0.9로 하게 된다면 효율이 10% 떨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1.5로 넣게 되면 150% 즉 효율이 150%로 올라가게 됩니다.
Criminal Interest Modifier -
어째서 많고 많은 항목에서 이것만 이렇게 설정하게 있는건지는 모르겠지만 범죄율 입니다.
0은 이 건물은 범죄자가 생길 가능성은 없다는 수치이고 이걸 10으로 넣게 되면 범죄자가 될 확율이 10 올라가게 됩니다.
100이면 이 건물에 일하거나 범위에 있는 사람은 전부 범죄자가 됩니다;; 범죄자는 일을 안 하기에 고용과 동시에 해고됩니다..
Workplace >
Job Quality Modifier -
직업품질에 대한 설정입니다. 이모드를 활성화 한다면 적힌 수치만큼의 변화를 주게 됩니다. 저는 퍼센트에 0.9를 넣었는데요
기본 효율 100%가 아닌 10% 하락한 90%로 운영하게 됩니다.
Wage Modifier -
근무자의 급여입니다. 이것도 퍼센트로 조정하면 됩니다. 1.5면 기본 급여의 150% 즉 1.5배를 저 줘야 한다는 수치입니다.
Overwrite Required Work Education -
이 모드를 활성화 하면 근무조건을 바꾼다는 설정입니다. 여기에 체크를 하면 아래 항목에서 선택하시면 되는데요
Uneducate 즉 무학력 인데 이걸 Highschool 로 바꾸게 되면 이 모드를 활성화하면 이 건물은 고졸 이상 근무하게 됩니다.
Chage Worker Occupation -
이 항목은 딱히 바꿀게 없지만 설명드리자면 근무자 모습을 설정합니다.
보통 이 게임에서 근무시간은 Work Duration 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설정이 이렇게 되네요.
Work Slot Bonus -
이 모드를 활성화 할 시 넣은 수치만큼 추가 고용합니다. 28이라는 숫자를 넣었는데요
이러면 기본 광산 근로자 3명 + 28명을 추가로 고용하게 됩니다.
(단순 계산으로 3명 광산에 6가지 광물이니 기본적으로 18명 고용가능한거고 보석류에 석유까지 생산하니 +10명해서;; 나름의 밸런스?)
===============================================================================================================
여기 까지가 일단 모드의 설정을 전부 마치셨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저장과 컴파일은 잊지 마시고;;;
마무리로 프론트페이지를 열어 지정만 해주시고 패키징 하면 끝 입니다.
위의 BP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이 기본페이지에서 작업모드를 넣겠다는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아랫 부분에 Changes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
이 항목에서 +를 하여 추가해주시면 항목별로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이 항목중에 이 튜토리얼에서 만든 것은 Workmode (작업모드) 임으로 Change: Add Building Workmod 를 선택하겠습니다.
말 그대로 건물에 작업모드를 추가하겠다는 설정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숫자가 나오고 항목 설정할 하위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지정을 해야 합니다. 2개인 이유는 광산이 나중에는 자동화 광산으로 업그레이드 되니 그 곳도 이 작업모드를 적용하겠다는 설정입니다.
Workmode -
적용할 작업모드의 BP를 지정합니다.
Building -
이 작업모드를 활성화 할 건물의 BP를 지정합니다.
광산에서 활성화 할 것 이기에 Mine과 자동화광산인 Automated Mine의 BP를 지정해 줬습니다.
지정 방법은 그냥 메뉴항목에서 ▼ 를 눌러서 직접 지정해도 되지만 컨텐츠 브라우저에서 해당 BP를 선택한상태로
메뉴 항목의 ← 를 눌러주시면 바로 적용 됩니다.
여기 까지 하셨으면 저장뒤 패키징을 하시면 끝 입니다.
게임에 적용해보니 잘 되는 것 같네요. 이것을 응용하면 농장이나 목장에서도 추가자원 생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데이터도 넣을 수 있으면 편할텐데 사진과 동영상만 가능하다 보니 설명한 모드를 직접 올리지는 못 하네요;;
뭐 다른 곳에서 놓고 링크 걸수도 있지만.. 저는 그 흔한 구글드라이브도 안 쓰는지라;;;
(IP보기클릭)1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