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H/W] 엔비디아 GPU 냉각 비용 폭등…차세대 시스템 더 비싸진다 [46]


profile_image_default


(858240)
4 | 46 | 11841 | 비추력 476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46
1
 댓글


(IP보기클릭)39.7.***.***

BEST
진짜 다음세대는 그래픽카드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 옵션 생길거같음
25.11.10 10:54

(IP보기클릭)115.20.***.***

BEST
겨울에 결로 조심..
25.11.10 12:14

(IP보기클릭)118.235.***.***

BEST
저도 저렇게 하다 결국 겨울에 하나 해먹었습니다.
25.11.10 12:27

(IP보기클릭)61.77.***.***

BEST
3070ti 쓰고 있긴 한데 진짜 겨울에 방에 난방됨 ㅋㅋ
25.11.10 11:04

(IP보기클릭)221.154.***.***

BEST

본체를 아예 베란다에다 빼버렸습니다. 냉각 잘되고 소음이 아예 없으니 좋긴한데 여름엔..... 어떻게든 되겠죠
25.11.10 12:11

(IP보기클릭)39.7.***.***

BEST
진짜 다음세대는 그래픽카드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 옵션 생길거같음
25.11.10 10:54

(IP보기클릭)112.175.***.***

버티브 풀매수 가즈아
25.11.10 11:01

(IP보기클릭)61.77.***.***

BEST
3070ti 쓰고 있긴 한데 진짜 겨울에 방에 난방됨 ㅋㅋ
25.11.10 11:04

(IP보기클릭)222.114.***.***

#고로케
이거 보니 생각나는게 플4 프로로 갓옵 라그나로크 하면 방이 후끈후끈해져서 좋더라구요... 플4는 굉음을 내면서 열일하고 ㅋㅋㅋㅋㅋ | 25.11.10 11:06 | | |

(IP보기클릭)14.32.***.***

#고로케
5090 쓰고 있는데 올 여름 진짜 힘들었음 | 25.11.10 13:29 | | |

(IP보기클릭)211.248.***.***

#고로케
발열하면 자연스레 프레스캇이 떠오르네요 | 25.11.10 18:23 | | |

(IP보기클릭)115.138.***.***

어차피 공랭으로 감당할 수준은 넘어선 이상 이젠 다른 대안을 찾아야지. 수랭이 됐든 펠티어가 됐든
25.11.10 11:20

(IP보기클릭)59.22.***.***

루리웹-7058925207
그게 BSPDN, 유리기판 기술이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라고 설명하던데. 발열 자체가 줄어드는건 아닌데, 지금의 유기 기판의 경우 발열이 생기면 휘어지면서 (워핑) 시스템이 고장나는 구조라 엄격한 냉각이 필요한거, 한 200도 까지 올라가도 문제 없어지게되면 냉각기 사용하는거 줄어드는거 아니냐고. | 25.11.10 13:39 | | |

(IP보기클릭)59.22.***.***

PTLimA
아직은 전력 반도체에만 제한적으로 쓰이지만 GaN 소재나 SiC 웨이퍼로 반도체 만들면 얘네들이 400도 이상에도 정상 작동한다고. | 25.11.10 13:40 | | |

(IP보기클릭)115.138.***.***

삼성이 냉장고에 쓴 펠티어 기술을 GPU 냉각에 써도 좋을 법한데. NVIDIA도 그런 부분에 대한 기술협력을 요구하지 않았을라나.
25.11.10 11:21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7058925207
펠티어 단점이 냉장고 처럼 대형 장치를 쓰지 않으면 오히려 나중에 열을 발산 합니다. 효율자체가 좋지 않아요. 삼성 펠티어도 기존보다 좋아졌다 작년에 설레발 쳤지만, 그 기존이 워낙 효율이 똥입니다. | 25.11.10 12:26 | | |

(IP보기클릭)14.32.***.***

루리웹-7058925207
아주 오래전에 펠티어소자 CPU쿨러 나온 적 있는데 쓰다보면 소자 자체 발열을 감당 못해서 열이 점점 올라가거나 거꾸로 CPU발열에 비해 과냉각이 이뤄져서 결로현상 때문에 보드 사망 사례가 나타남 뒤에 수냉 등에서 냉각수 냉각용으로 시험 해 본 적 있는데 펠티어소자 자체가 전력을 엄청 먹는데다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감당이 안 됨 | 25.11.10 13:32 | | |

(IP보기클릭)59.22.***.***

루리웹-7058925207
펠티어 냉각성능이 개구림. 열전도는 현행 히트싱크 방식이 나음. | 25.11.10 13:42 | | |

(IP보기클릭)175.196.***.***

루리웹-7058925207
펠티어 한쪽은 차가워지고 한쪽은 뜨거워짐 GPU만 집중 냉각하는건 가능하지만 전체 서버실 온도는 더 올리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단위로는 적합한 방식이 아님 | 25.11.10 16:27 | | |

(IP보기클릭)39.7.***.***

루리웹-7058925207
펠티어는 히트펌프(에어컨) 효율의 1/10도 안나옵니다. 게다가 열은 외부로 빼야하는데 그것도 문제고.. | 25.11.10 16:29 | | |

(IP보기클릭)118.235.***.***

나노 공정으로 다이만 키워서 트랜지스터 때려박는 것도 어느정도 한계점이 올 건데 요새는 AI 아니더라도 가정용 글카가 거진 냉장고급 전력소모 하더라
25.11.10 11:23

(IP보기클릭)121.165.***.***

4090은 발열 별 생각 없었는데 5090은 레알 후끈함.. ㅋㅋㅋ
25.11.10 11:33

(IP보기클릭)106.101.***.***

여름엔 땀나던게 지금은 따뜻함 ㅋㅋ
25.11.10 11:38

(IP보기클릭)182.208.***.***

다른방과 달리 컴터방은 3도 이상 더 높음 ㅋㅋ
25.11.10 11:43

(IP보기클릭)211.234.***.***

나 진짜 벽걸이에어컨 앞에 본체 놓을 생각도 했었는데 지금은 이사가서 시스템에어컨이라 안되지만 ㅎ
25.11.10 11:59

(IP보기클릭)49.1.***.***

호이미
이사가기 전에 모니터, USB케이블,스피커만 빼서 배란다(비안들어 옴)에 놔두고 몇년썻는데 소음도 적고 집안 온도도 안올라가고 좋더라구요. | 25.11.10 12:02 | | |

(IP보기클릭)39.117.***.***

5080인데 방안에 보일러가 필요가없더군요
25.11.10 12:05

(IP보기클릭)121.178.***.***

여보, 아버님 댁에 지포스5090 놓아 드려야겠어요.
25.11.10 12:10

(IP보기클릭)221.154.***.***

BEST

본체를 아예 베란다에다 빼버렸습니다. 냉각 잘되고 소음이 아예 없으니 좋긴한데 여름엔..... 어떻게든 되겠죠
25.11.10 12:11

(IP보기클릭)115.20.***.***

BEST
Happy Circuit
겨울에 결로 조심.. | 25.11.10 12:14 | | |

(IP보기클릭)221.154.***.***

루리웹-0673075470
아! 또 그게 있었네요... 방한커버를 만드러야 할듯 | 25.11.10 12:18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Happy Circuit
저도 저렇게 하다 결국 겨울에 하나 해먹었습니다. | 25.11.10 12:27 | | |

(IP보기클릭)119.204.***.***

Happy Circuit
저걸 완성하려면 컴터 설치장소에 제습이 완벽해야합니다. 쉽지않죠. 그나마 가성비 노리시고 세팅하실려면 베란다 밖으로 뺀 컴터를 오픈형 케이스마냥 만들어서 최대한 결로안생기게 세팅해야합니다. | 25.11.10 13:00 | | |

(IP보기클릭)1.231.***.***

Happy Circuit
결로도 결로지만, 전자기기 소자와 IC는 동박에 납땜한 물건이라 저러면.. | 25.11.10 13:10 | | |

(IP보기클릭)119.193.***.***

Happy Circuit
차라리 저리 할꺼면 커수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이로울건대... | 25.11.10 13:47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1.154.***.***

니나가라군대
아 이게 냉각이 잘되는건 부수적인 효과고 사실 베란다 너머 거실에 레이싱 시트가 있어요. 양쪽에 연결해 쓰느라.. 근데 여러 부작용들을 들어보니 거실이든 방이든 한 곳을 정해야겠네요. 베란다는 위험할듯 | 25.11.10 14:12 | | |

(IP보기클릭)203.234.***.***

니나가라군대
본체 빼는 이유가 실내온도 때문일텐데요 커수 해봤자 에너지 보존법칙에 의해서 방안온도 상승을 막을순 없죠 | 25.11.10 14:13 | | |

(IP보기클릭)119.193.***.***

hangout
그래도 아예 저렇게 밖으로 빼버리면 윗에 분들 말한것 같이 습도 관리 못할껀대 그러면 부식이 빠르게 진행이 되죠. 실내에서도 습도 유지 하는 이유가 부식 방지 차원에 하는건대 지금 날씨가 건조 하다 한들 밤낮으로 온토편차가 있어서 물방울 매칠수 있죠. 그럴꺼면 차라리 실내에 두는게 차라리 나을거란거 | 25.11.10 14:21 | | |

(IP보기클릭)106.245.***.***

니나가라군대
커수말고 에어덕트 시스템으로 완벽하게 컴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를 배출해주는게 더 좋은듯 ㅎㅎ | 25.11.10 14:22 | | |

(IP보기클릭)39.7.***.***

hangout
커수로 cpu gpu 열기를 관 길게 빼서 냉각을 베란다에서 하면 괜찮지 않나요? 관이 긴게 문제겠지만 | 25.11.10 14:53 | | |

(IP보기클릭)222.100.***.***

90라인정도 되면 쓰는 모니터도 발열 심해서 이래저래 난방 걱정은 없는 수준
25.11.10 12:13

(IP보기클릭)211.194.***.***

기사는 서버용 gpu 이야기고 개인용 gpu의 전성비 자체는 좋아지고 있긴합니다. 배그에서 4060이 1080ti 우위 점하면서 소비전력 절반이고. 물론 그 전성비도 성능으로 돌리는 하이엔드가 많이먹긴 하지만
25.11.10 12:14

(IP보기클릭)211.234.***.***

요세는 5090 물량은 충분한가요? 그니깐 정가주고 원할때 살수 있나요?
25.11.10 13:11

(IP보기클릭)14.32.***.***

삽사리
하급 제품이 400넘어감, 가격이 초여름보다 더 올랐음 | 25.11.10 14:22 | | |

(IP보기클릭)121.159.***.***

삽사리
처음엔 5090은 중국서 ai 용으로 가져가진않았는데 결국 마개조 성공해서 지금 400이하 는 전부 중국쪽으로 쓸려가는중 | 25.11.10 14:51 | | |

(IP보기클릭)183.102.***.***

llillliill
가격 오른건 원화가치 폭락한게 제일 큼 | 25.11.11 04:21 | | |

(IP보기클릭)1.221.***.***

일단 5070으로 5년만 버텨볼게...
25.11.10 13:34

(IP보기클릭)112.173.***.***

모니터 발열도 미쳐나감 HDR 한번 켜면 어우
25.11.10 13:36

(IP보기클릭)210.179.***.***

전력세팅 보면 스윗스팟 구간 아득히 넘어간 지점까지 잡아놨던데 난 솔직히 지금 그래픽카드들 쿨러들 다이어트하려면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함.
25.11.10 14:34

(IP보기클릭)122.33.***.***

지금 쓰고 있는 6750xt도 더워 뒤지겠네. 요새 글카는 어떻겠냐고...예전에는 어지간하면 여름에도 너무 더운날 말고는 에어컨을 잘 켜지 않은데 요새는 게임 할때마다 글카때문에 켜놓는 날이 많음.
25.11.10 15:24

(IP보기클릭)121.160.***.***

진짜 혁신 적인 냉각 시스템이 나오긴 해야겠네 ;;;;
25.11.10 15:39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