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분기 서버 DRAM 계약 가격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데이터센터 확장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TrendForce는 기존 8~13%였던 DRAM 가격 상승 전망을 18~23%로 상향 조정했으며, 추가 상승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습니다.
2026년에는 글로벌 서버 출하량이 연간 약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SP들의 AI 및 HPC 플랫폼 업그레이드로 서버당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체 DRAM 비트 수요가 이전 예상보다 높아지고, 구조적인 공급 부족 현상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제품별로 보면 DDR5는 서버 수요가 견조해 2026년에도 가격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상반기 강세가 예상됩니다. 반면 HBM3e는 주요 공급사 간 경쟁 심화와 구매자들의 충분한 재고 보유로 인해 연간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2025년 2분기 기준으로 HBM3e는 DDR5 대비 4배 이상 높은 가격 프리미엄을 유지하며 높은 수익성을 제공했으나, DDR5 가격 상승으로 2026년에는 DDR5 수익성이 HBM3e를 앞지를 전망입니다. 이로 인해 공급사들은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DDR5 생산 비중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으며, HBM3e 역시 가격 안정과 수요 유지 속에서 ASP를 올려 균형 있는 수익성을 확보하려 할 것입니다.
결국 DDR5와 HBM의 생산 배분과 가격 전략이 향후 메모리 시장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본문
[H/W] DRAM 공급 부족으로 DDR5 계약 가격 상승 예상 [9]
2025.10.29 (23:44:28)

(IP보기클릭)122.45.***.***
글카값도 덩달아 상승 글카에 비디오램도 들어가니까요.... ㅅㅂ 짜증나네요 진짜
(IP보기클릭)175.195.***.***
(IP보기클릭)49.174.***.***
(IP보기클릭)49.143.***.***
(IP보기클릭)122.45.***.***
글카값도 덩달아 상승 글카에 비디오램도 들어가니까요.... ㅅㅂ 짜증나네요 진짜
(IP보기클릭)106.102.***.***
쿨럭 그래픽 카드는 생각 못하고 잇엇는데; | 25.10.30 08:32 | | |
(IP보기클릭)1.252.***.***
(IP보기클릭)112.76.***.***
그야 당연히 램은 글로벌 주요 산지가 한국이니깐요 다른부품과 달리 램은 한국 시세가 시장선도 가격이에요 시차를 두고 한국시장가격 따라갑니다 지금 램 필요하면 빨리 아마존같은곳에서 직구해야합니다 | 25.10.30 09:54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8.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