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잡담] 컴퓨터 견적 검토 부탁드립니다 (2회차) [7]




(5017757)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590 | 댓글수 7
글쓰기
|

댓글 | 7
1
 댓글


(IP보기클릭)112.167.***.***

[CPU] 어떤 벤치를 보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현재 CPU 의 성능은 '싱글성능' (들어간 코어 하나가 각각 얼마나 빠른가) '멀티성능' (일을 시켰을 때에 일을 코어들끼리 잘 분배해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가) '게이밍성능' (스펙상 숫자야 어찌되었건 실제로 게임을 돌렸을 때 좋은 결과를 뽑아내는가) 을 따로 놓고 봐야합니다. https://youtu.be/F166OE3r8-M?si=3YSQFmwQrVG6uWW9 해당영상의 5분 32초쯤부터 시청하시거나, 통째로 전부 시청해보세요. 라이젠 7700 이라면 14600K 와 동급의 게이밍성능을 가집니다. 싱글성능과 멀티성능은 떨어지는게 맞습니다만, 작업용컴이 아니니 결국 게이머가 챙겨야할 거는 게임성능입니다. 그 점에서, 7700 은 게이머에게 그리 효율적인 물건은 아닙니다. 7500f (=7600) 보다 게이밍성능이 소폭 높긴 한데, 가격이 많이 올라갑니다. 7700 은 라이젠에서 준수한 싱글/멀티성능을 가져서 작업용으로 7500f 보다 좋은 물건을 쓰고 싶을 때에 선택하는 물건입니다. 게임용 컴이라면 돈을 더 주고 7800x3d 로 가거나, 7500f 로 가성비를 잡거나 둘 중에 선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메인보드] 비싼거 집으셨네요. 내가 원하는 특정한 기능이 있고, 그게 어로스엘리트나 그거와 동급 수준의 보드까지 가야 얻을 수 있다면 당연히 자기한테 필요한 기능이 달린 보드를 가는게 맞습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괜히 '비싼 보드가 뭔지 몰라도 무언가 쪼금이라도 더 좋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가는거는 그냥 돈낭비입니다. 7500f~7700 정도 수준에서 가장 무난하게 선택되는 보드는 GIGABYTE B650M K 입니다. 7800x3d 로 가거나, 7500f~7700 정도 급을 쓰더라도 '지금 보드 앞으로 두 세대 정도는 더 쓸 수 있다고 하니까 나중에 보드 그대로 두고 CPU 만 좋은거 나오면 갈아야지' 라는 계획이라면 어로스엘리트...도 괜찮고 그거보다 오히려 체급을 조금 더 올리는 쪽도 권해볼만 합니다. [메모리] 어떤걸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지금 가서 다시 확인해봐도 같은 16기가 제품이면 DDR5 쪽이 더 비쌉니다. 잘못보신거 같네요. DDR5 는 개인적으로는 삼성램을 권하지 않습니다. 과거 이슈가 있었고 지금은 좀 괜찮다고는 하는데 그럼에도 굳이 삼성을 고를 이유가 없습니다. 쓴다면 4800~5200 클럭의 제품을 고르는 편이 문제없이 무난합니다.
24.05.21 19:28

(IP보기클릭)112.167.***.***

CPU 쿨러는 일정 체급 이상으로 올라가면 수랭을 쓸 수 밖에 없긴 합니다만, 염두해두고 있는 CPU 범위 내에서는 수랭이 강요되진 않습니다. 만약 7800x3d 를 갈거라면 공랭 제품 중에서도 체급을 더 올려보는 것도 권할만 하구요. 파워는 지극히 개인적으로는 체급을 낮추는 쪽을 권합니다. 8만원 짜리로도 문제 없을 견적에 16만원을 쓰는게 맞나 싶은 생각이네요. 직접 조립하고 뜯어서 부품 업그레이드 하고 할게 아니면 풀모듈러도 의미 없고, 파워가 시스템 전체를 잡아먹을 정도로 맛탱이가 간거는 요즘 그런게 있나 싶기도 하고. 굳이 돈 들여서 antec 꺼 가실거면 12VHPWR 케이블이 달린 'Antec NeoECO 750W 80PLUS골드 풀모듈러' 나 'Antec NeoECO 850W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0' 쪽을 권장합니다. 병목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부품 두개가 만났을 때, 어느 한 쪽은 속도가 빠르고 어느 한쪽은 속도가 느려서 마치 병 안에 있는 음료수를 따를 때에 목 부분에 액체가 몰려서 꿀렁거리면서 천천히 나오는 것과 같은 현상이 '병목' 인데, 상식적으로 CPU 와 그래픽카드가 만났을 때에 둘의 속도가 완벽하게 같을 수는 없잖아요. 당연히 존재하는거고 그로 인한 성능손실도 당연히 있을 수 밖에 없는겁니다. 그게 컴퓨터에 돈 집어넣은게 무색해질 만큼 차이가 크고 낭비되고 있느냐, 별 문제 없이 납득하고 쓸 수준이냐가 중요한거죠. 보통 병목을 따지는건 부품간의 세대가 맞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인텔 9세대 CPU 에 글카 4070 을 꽂으려 할 때 같은 경우에 두드러지는 부분입니다. 새 컴퓨터를 주문하면서 현 세대 부품들끼리의 조합에서는 신경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24.05.21 19:46

(IP보기클릭)112.167.***.***

병목 관련해서 조금만 정정. 7500f 에다가 4090 같은걸 물리는 생각을 해봤더니 아예 신경을 안 쓸건 또 아니네요. 현 세대 부품들끼리의 조합에서는 어느 정도 체급만 맞춰서 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염두해두고 있는 CPU들 수준에서는 4070슈퍼를 커버하지 못할 물건은 없으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24.05.21 19:56

(IP보기클릭)117.123.***.***

Jenu
감사합니다. 이렇게 자세하게, 알기 쉽게 알려주신 분은 처음입니다. 우선 말씀해주신 대로 7500f와 b650m k, 그리고 파워도 750W로 낮춰서 세팅해보니 가격이 20만원 넘게 줄었습니다. 다만 궁금한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제가 만약 굳이 7500f 대신 7700을 갔을 경우 발열 등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까요? 가격 차이에 비해 성능 차이가 엄청 크지는 않지만,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체감이 되면 고려해보려고 합니다. 메인보드를 굳이 elite로 고른 건 말씀해주신 대로 혹시 다른 기기들이 이 보드에서 제 성능을 못 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찾아보니 b650m k는 초저가형 보드라고 하는데 그래도 문제 없을까요? 만약 제가 나중에 CPU만 업그레이드 한다면 추천해주실 수 있는 보드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메모리는 삼성 말고 하이닉스 ddr5로 하면 될까요? | 24.05.21 21:13 | |

(IP보기클릭)112.167.***.***

7700 은 7500f 와 동일한 TDP 65w 의 전력소비량을 가집니다. 같은 전기를 먹었으면 같은 수준의 발열이 나옵니다. 보드에 대해서는 제가 적는 것보다 영상 한편이 나을거 같네요. https://youtu.be/v7MQYDcl45Y?si=7oWLFOjXz3-T6WNf 램은 그럭저럭 이름 알려진 회사라면 사실 뭐든 별로 상관 없습니다. 팀그룹, 마이크론, 에센코어 심지어 이름도 생소한 요상한 중국회사 램 사다 끼워도 현 세대의 기본램 이라고 볼 수 있는 4800MHz 에 CL 40 짜리면 호환성 문제 같은 것도 없이 뭘 사다 끼워도 잘 돌아갈겁니다. 제가 불량률 이슈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는다 했던 삼성램도 꽂으면 당연히 잘 돌아갑니다. 그 와중에 불량을 뽑으면 당연히 안 돌아가겠구요. 램오버클럭 같은거에 관심두지 않는다면 4800~5200 클럭 아무거나 사다 끼우세요.
24.05.21 21:44

(IP보기클릭)117.123.***.***

Jenu
감사합니다. 덕분에 가성비와 효율을 챙겨서 세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 컴퓨터에 대해 훨씬 많은 걸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 24.05.21 22:01 | |

(IP보기클릭)220.118.***.***

제가 뭣모르고 사놓고 알게되서 아쉬웠던 부분을 말씀드리면 1. 메인보드는 m도 괜찮은데 문제는 ssd를 추가 장착할때 입니다. ssd 발열을 잡아줄려고 요새 뚱뚱한 방열판들이 나오는데 m-atx 모델들은 추가 ssd가 글카와 간섭되는 경우가 많아서 방열판 두께에 신경쓰거나 추후 재장착시에 글카를 떼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애초에 ssd를 하나만 쓴다면 관계없습니다만 추가 ssd에 방열판을 두껍게 달지 못하는건 아쉽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 B760M 어로스엘리트 입니다. 2. 글카는 왠만하면 3팬으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다른거 이거저거 다 신경쓰다가 글카를 가격만 보고 팬 갯수, 히트파이트 갯수를 확인하지 않고 샀다가 후회했습니다. 가격 비슷하거나 몇만원 더 주고서라도 3팬 가시길 권장합니다. 저는 사자마자 당근행하고 3팬살까도 생각했지만 귀찮아서 그냥 씁니다. 현재 저는 msi 벤투스 쓰고있습니다. 이제와서 생각해보면 드래곤볼 아니고서야 업체추천견적 같은건 많이 안나가는것 위주로 짜놨을거란 생각이 들더군요~ 표기성능만 보지 마시고 내부구조같은거나 특히 사용후기 잘 보시고 사시기 바랍니다. 빨라요~ 좋아요~ 만족해요 등등의 후기는 보나마나고 부품 하나하나 비판적이거나 꼼꼼한 찐 사용후기위주로 보시고 최종선택하시길~
24.05.23 14:14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1)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0)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5)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게시판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411423 사용기 데스크탑/노트북 루리웹-9447703856 54 2024.06.13
411422 질문 PC 조립/견적 제니 웨이크먼 204 2024.06.13
411421 견적 PC 조립/견적 Hamsik2 170 2024.06.13
411420 질문 데스크탑/노트북 코드기든 187 2024.06.13
411418 사용기 데스크탑/노트북 루리웹-9447703856 127 2024.06.13
411417 사용기 PC 기타 주변기기 반알렌라 126 2024.06.12
411416 사용기 PC 모니터 토오줌 252 2024.06.11
411415 질문 PC 조립/견적 콜라콜 514 2024.06.11
411414 견적 PC 조립/견적 루리웹-5525025031 267 2024.06.10
411412 질문 PC 조립/견적 루리웹-9211204034 320 2024.06.10
411411 질문 PC 모니터 게임왕 279 2024.06.10
411410 잡담 PC 조립/견적 루리웹-6335058389 218 2024.06.08
411409 질문 데스크탑/노트북 18Master 316 2024.06.08
411408 질문 데스크탑/노트북 검은나비 202 2024.06.08
411407 질문 PC 조립/견적 탱커아조씨 374 2024.06.08
411406 질문 PC 조립/견적 모오르겠다 388 2024.06.08
411405 질문 PC 모니터 토오줌 547 2024.06.08
411404 사용기 PC 기타 주변기기 상곰전자 165 2024.06.08
411403 견적 PC 조립/견적 쓰리키 227 2024.06.07
411402 영상 데스크탑/노트북 플레이신 197 2024.06.06
411401 질문 데스크탑/노트북 콘솔마니앙 381 2024.06.05
411400 사용기 PC 기타 주변기기 drings97 266 2024.06.04
411399 견적 PC 조립/견적 카로집사 411 2024.06.03
411398 사용기 PC 조립/견적 루리웹-5787609178 1 414 2024.06.03
411395 견적 PC 조립/견적 루리웹-2588762513 439 2024.06.02
411394 잡담 데스크탑/노트북 DECRETUM 308 2024.06.01
411393 잡담 소프트웨어 큐어☆패션 146 2024.06.01
411392 사용기 데스크탑/노트북 상곰전자 250 2024.06.01

글쓰기 181085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