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 왔습니다. 아이맥스로 봤구요. 덕분에 포스터 두 장 받았습니다.
재질이 다른데 아이맥스가 더 빳빳합니다만 디자인은 구리네요.
아이맥스로 보는 신카이 마코토 작품은 대단합니다.
엄청 좋은 모니터로 4K 영상 보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역체감이 무서워서 다른 관에서는 보기 싫어졌어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좋은점도 나쁜점도 분명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너의 이름은>이 상대적으로 단점이 거의 없는 약간 마스터피스 같은 작품이라면
이번 <스즈메의 문단속>은 장단점이 분명히 보입니다.
<너의 이름은> 부터 점점 현실에 판타지가 가미되더니 이제는 지브리 영화라고 할 만큼 판타지적 요소가 강합니다.
사실 이전에 <별을 쫒는아이>가 그런 부분 때문에 좋은 소리를 못 들었는데
<초속5cm> 같은 현실적인, 일상적인 작품으로 히트 친 감독 바로 다음 작품이 그렇다보니 반발이 심했었죠
그래서 <너의이름은>-<날씨의아이> 그리고 이번 <스즈메의 문단속> 까지 점차 판타지 농도를 올린것 같습니다.
앞선 두 작품 포함해 이번작까지 재난 3부작이라고 칭하고 싶은데
<너의 이름은> 이전의 영화들은 작품 내 인물들 간의 이야기에 중점을 뒀다면
재난3부작은 영화를 통해 감독이 시청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세지가 강한듯 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스즈메의 문단속>은 감독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수단인 쪽에 무게가 더 실렸지 완성도면에서는 좀 약해진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이성적으로 보면 단점이 눈에 밟히지만 감성적으로 보면 참 갸륵한 영화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머리속으로는 턱을 긁으며 뭔가 못마땅해 하지만 눈에선 눈물이 흐르는 영화랄까요.
안좋게 말하자면 감성팔이라는 얘기도 나올듯 합니다.
그런 부분에서 <너의 이름은>은 밸런스가 잘 맞았고 <날씨의아이>를 거쳐 <스즈메의 문단속>은 그런 균형이 조금 무너진듯한
그리고 그 조금 무너진 균형이 눈으로 보이는 작품이었습니다.
도호쿠 대지진의 피해자들을 달래주는 진혼식 같은 영화였지만
비슷한 주제로 세 편의 영화를 만들었으니 다음 작품은 다른 주제로 혹은 다시 현실을 다룬 작품을 가져왔으면 하는 바입니다.
만약 다음도 같은 주제를 가져온다면 글쎄요...
그때부턴 영화 자체가 재밌어서 보러간다기 보단 팬심과 화려한 작화로 눈을 호강시키기 위해 갈 것 같습니다.
끝으로 가지고 있는 포스터들 자랑하면서 마치겠습니다.
86.48.***.***
? 신카이 감독은 오히려 판타지 sf쪽이 근본입니다. 데뷔를 한 계기도 건담과 에바의 영향이 컸다고 인터뷰때 말하기도 했고, 첫데뷔작인 별의 목소리 첫 상업데뷔작인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도 그렇고요. 그리고 초속이 흥했다고요? 초속 일본 흥행수익 1억엔입니다. 언어의 정원이 1억5천만엔이고요. 예 쫄딱망한거죠.
160.238.***.***
그럼 대중성을 말하는데 흥행수익이 가장 정확하지 그럼 뭘로 접근하자는겁니까? 솔까 신카이가 느그전엔 아는 사람만 아는 감독에 가까웠다는건 인정해야합니다.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3172 당장 한국내 초속 관객수 "현재"까지 누적이 4만7천인데요? 그 웃음벨인 자전차왕 엄복동도 10만은 넘었다는겁니다. 아무리 작품이 대중성이 전부는 아니고 저도 초속이란 작품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왜 신카이는 초속으로 안돌아가냐는건 정말로 너무나도 안봐줬기 때문이라는건 부정하기 힘듭니다.
160.238.***.***
물론 흥행수익이 전부가 아니다 관객수가 전부가 아니다. 예 맞는 말입니다만 적어도 이 관객수 이 흥행수익가지고는 이름이 알려졌다고하기 보단 그냥 일부 매니아들 사이에서의 평가만 좋았었다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결국 좋든 싫든 신카이 감독이 대중에게 알려진 계기의 작품은 너의 이름이다라는건 인정해야합니다.
210.217.***.***
1억엔은 진짜 그냥 망한게 아닙니다. 혹시 일본 극장애니중에서 쏘아올린 불꽃 위에서 볼까 아래에서 볼까라고 압니까? 개망작으로 까이는 작품중 하나인데 그것도 14억엔이에요. 그냥 신카이가 대중에게 알려진건 솔까 너의 이름은부터죠. 초속언정으로 왜 안돌아가냐? 라고 물으면 그때 안봐줬으니깐이란 결론에 도달할수밖에 없습니다. 뭐 이번작품으로 재난물 끝낸다고 했고 다음도 뭐 거의 우주생각하시는듯한지라...
121.170.***.***
메시지는 한국인으로서 공감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그렇다고 치고, 최근 3부작은 뒤로 갈수록 독립된 작품 하나하나로서의 디테일과 완결성이 점점 떨어져 가는 모습이 아쉽더군요. 전개의 도구로서만 사용되는 조연이나 과도하게 휙휙 변하는 감정선, 충분치 않은 감정선의 묘사라던가... 좋아하는 감독인 만큼 다음 작품부터는 그 부분도 신경을 쓰면 좋을것 같긴 합니다
86.48.***.***
? 신카이 감독은 오히려 판타지 sf쪽이 근본입니다. 데뷔를 한 계기도 건담과 에바의 영향이 컸다고 인터뷰때 말하기도 했고, 첫데뷔작인 별의 목소리 첫 상업데뷔작인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도 그렇고요. 그리고 초속이 흥했다고요? 초속 일본 흥행수익 1억엔입니다. 언어의 정원이 1억5천만엔이고요. 예 쫄딱망한거죠.
223.39.***.***
신카이 감독이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건 초속5cm 부터라고 봤습니다 그리고 근본을 sf와 판타지라고 하신점도 맞습니다 하지만 sf/판타지 속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때와 달리 최근 세 편은 메세지에 더 중점을 둬간다는 점을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 23.03.09 09:29 | |
210.217.***.***
너우트
1억엔은 진짜 그냥 망한게 아닙니다. 혹시 일본 극장애니중에서 쏘아올린 불꽃 위에서 볼까 아래에서 볼까라고 압니까? 개망작으로 까이는 작품중 하나인데 그것도 14억엔이에요. 그냥 신카이가 대중에게 알려진건 솔까 너의 이름은부터죠. 초속언정으로 왜 안돌아가냐? 라고 물으면 그때 안봐줬으니깐이란 결론에 도달할수밖에 없습니다. 뭐 이번작품으로 재난물 끝낸다고 했고 다음도 뭐 거의 우주생각하시는듯한지라... | 23.03.09 11:09 | |
223.39.***.***
극장 흥행수익에 대해 말하는게 아닌데 그쪽으로만 접근하시네요 신카이 작품 중에 국내개봉을 맨 처음 한것도 초속5cm인걸요 너의이름은 이전까지 대표작이라 하면 초속5cm 아니겠습니까? 많이들 그걸로 신카이에 입문 하셨을테구요 본문에 히트를 쳤다고 표현하긴 했지만 엄청난 흥행을 거뒀다기 보단 감독의 이름을 처음으로 알린 작품이다 라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 23.03.09 11:30 | |
160.238.***.***
너우트
그럼 대중성을 말하는데 흥행수익이 가장 정확하지 그럼 뭘로 접근하자는겁니까? 솔까 신카이가 느그전엔 아는 사람만 아는 감독에 가까웠다는건 인정해야합니다.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3172 당장 한국내 초속 관객수 "현재"까지 누적이 4만7천인데요? 그 웃음벨인 자전차왕 엄복동도 10만은 넘었다는겁니다. 아무리 작품이 대중성이 전부는 아니고 저도 초속이란 작품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왜 신카이는 초속으로 안돌아가냐는건 정말로 너무나도 안봐줬기 때문이라는건 부정하기 힘듭니다. | 23.03.09 11:53 | |
160.238.***.***
너우트
물론 흥행수익이 전부가 아니다 관객수가 전부가 아니다. 예 맞는 말입니다만 적어도 이 관객수 이 흥행수익가지고는 이름이 알려졌다고하기 보단 그냥 일부 매니아들 사이에서의 평가만 좋았었다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결국 좋든 싫든 신카이 감독이 대중에게 알려진 계기의 작품은 너의 이름이다라는건 인정해야합니다. | 23.03.09 12:13 | |
121.162.***.***
너의 이름은, 이라는 작품이 가장 호평 받았던 이유는, 작가 개인의 개성(소재, 정서 등)이 세계(사회 일반까지 포함한)와 어떤 공통 감각을 공유하는 그 지점과 마술처럼 일치하는 경향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즉, 작가의 개성과 역사적 보편성을 동시에 완성도있게 담고 있는 작품이었기 때문이겠죠.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하던 작가가 외부 세계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을 때, 작품을 통해 보여줄 수 있었던 가장 고전적인 미학적 완성의 경지였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신카이 마코토의 색채가 그만큼 약해진 것은 어쩔 수 없지만요. 개인의 가장 내밀한 분야에서 세계와 공통되는 부분을 찾아, 그것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라. 그것이 작가와 세계와의 대화다. 좋은 작업이 뭐냐 물었을 때, 들었던 상명대학교 한국화과 학과장 이세정 교수님의 말이 아직도 떠오릅니다. | 23.03.09 18:52 | |
86.48.***.***
이것만 봐도 알수 있겠죠.
59.9.***.***
59.9.***.***
너의 이름은 상영했었을 때... 주변분들이 저에게 너의 이름은 봤냐면서 물었을 시 말꺼내면서 초속도 언급하시에 어떻게 아시냐고 물으면 본 사람은 없어도 전철, 벚꽃 이런 것 말씀하시는 분들 많았거든요. 평론가들이 영화 소개하면서 말을 했었는지, 아니면 넷상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말이죠. | 23.03.09 12:54 | |
194.195.***.***
그러니 그 제목을 알고 내용은 안다는게 주관적인 개인 피셜말고는 없자나요.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262982 초속개봉당시 기사입니다 한국내에서 고작 "1만" 넘었다고 화제라는 표현 쓴게 초속이에요. 현실적으로 이 수치는 진짜 몇몇 평론가나 매니아들에게만 알려진 수준의 수치입니다. 그냥 내가 좋아한다면 몰라도 정말로 일반적으로 알려졌다고 하기엔 너무나도 수치적 근거가 없는 수준이라는 거죠. 오히려 당시 평론가나 매니아들은 대중성을 보강하라는 주문을 많이 했었고, 오히려 신카이의 근간 따지면 세카이계 좋아하고 sf 판타지 좋아하는 사람인데 오히려 초속 언정이 변종이고 오히려 이번작인 스즈메는 세카이계 테이스트가 상당히 들어간 작품입니다만? | 23.03.09 14:08 | |
59.9.***.***
대중성 = 상업성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인정합니다. 하지만 대중성 = 인지도 이렇게 볼 수도 있다는 면에서 초속을 언급한 것을 너무 날 세워 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서 한 말입니다. (엄밀히 따지면 대중에는 알려졌으나 상업적 성공에 실패했다. 이게 정확한 표현 아닌가요? dc영화처럼 사람들은 슈퍼맨이나 원더우먼은 알고 있지만 영화는 실패한 것처럼 말이죠.) 분명히 댓글에도 언급했지만 대중성 = "영화를 관람한"이 아니라 "영화를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적 있는"식의 인지도를 기준으로 잡고 계신 분들도 있기에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개인적으로 너의 이름 이후 작품은 안 보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저 분이 누군지도 모르고 과거 뭐 하셨는지도 모르고, 단지 우연히 보게 되서 감명 깊었다는 정도입니다. 그 후 언어 보면서 역시.. 영상미가 다르구나.. 했다가 너의 이름은 에서 제 취향이 아니라 안 보게 된 것이구요. 지금 댓글 보면서 감독의 과거나 취향을 알게 됐을 뿐입니다.^^ (초속이 변종인지도 몰랐습니다.) 감독의 성격이나 취향까지 분석하시면서 보는 몇 회 차 보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저처럼 가볍게 한 번 보는 사람도 있거든요. | 23.03.09 16:26 | |
121.132.***.***
121.162.***.***
223.39.***.***
첫 문장이 인상적이네요 감사합니다. | 23.03.09 20:17 | |
121.170.***.***
메시지는 한국인으로서 공감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그렇다고 치고, 최근 3부작은 뒤로 갈수록 독립된 작품 하나하나로서의 디테일과 완결성이 점점 떨어져 가는 모습이 아쉽더군요. 전개의 도구로서만 사용되는 조연이나 과도하게 휙휙 변하는 감정선, 충분치 않은 감정선의 묘사라던가... 좋아하는 감독인 만큼 다음 작품부터는 그 부분도 신경을 쓰면 좋을것 같긴 합니다
118.45.***.***
223.39.***.***
오 그것고 그러네요 재난의 소재로 보면 갈수록 현실과 가까운 재해가 되는군요 | 23.03.11 13:4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