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소감] [약스포]스즈매 문단속 후기(아이맥스) [18]




 
  • 스크랩
  • |
  • URL 복사
  • |
  • |
  • |
  • |
  • 네이버로공유
  • |
  • |

  • 댓글 | 18
    1
     댓글


    86.48.***.***

    BEST
    ? 신카이 감독은 오히려 판타지 sf쪽이 근본입니다. 데뷔를 한 계기도 건담과 에바의 영향이 컸다고 인터뷰때 말하기도 했고, 첫데뷔작인 별의 목소리 첫 상업데뷔작인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도 그렇고요. 그리고 초속이 흥했다고요? 초속 일본 흥행수익 1억엔입니다. 언어의 정원이 1억5천만엔이고요. 예 쫄딱망한거죠.
    23.03.09 06:27

    160.238.***.***

    BEST
    그럼 대중성을 말하는데 흥행수익이 가장 정확하지 그럼 뭘로 접근하자는겁니까? 솔까 신카이가 느그전엔 아는 사람만 아는 감독에 가까웠다는건 인정해야합니다.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3172 당장 한국내 초속 관객수 "현재"까지 누적이 4만7천인데요? 그 웃음벨인 자전차왕 엄복동도 10만은 넘었다는겁니다. 아무리 작품이 대중성이 전부는 아니고 저도 초속이란 작품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왜 신카이는 초속으로 안돌아가냐는건 정말로 너무나도 안봐줬기 때문이라는건 부정하기 힘듭니다.
    23.03.09 11:53

    160.238.***.***

    BEST
    물론 흥행수익이 전부가 아니다 관객수가 전부가 아니다. 예 맞는 말입니다만 적어도 이 관객수 이 흥행수익가지고는 이름이 알려졌다고하기 보단 그냥 일부 매니아들 사이에서의 평가만 좋았었다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결국 좋든 싫든 신카이 감독이 대중에게 알려진 계기의 작품은 너의 이름이다라는건 인정해야합니다.
    23.03.09 12:13

    210.217.***.***

    BEST
    1억엔은 진짜 그냥 망한게 아닙니다. 혹시 일본 극장애니중에서 쏘아올린 불꽃 위에서 볼까 아래에서 볼까라고 압니까? 개망작으로 까이는 작품중 하나인데 그것도 14억엔이에요. 그냥 신카이가 대중에게 알려진건 솔까 너의 이름은부터죠. 초속언정으로 왜 안돌아가냐? 라고 물으면 그때 안봐줬으니깐이란 결론에 도달할수밖에 없습니다. 뭐 이번작품으로 재난물 끝낸다고 했고 다음도 뭐 거의 우주생각하시는듯한지라...
    23.03.09 11:09

    121.170.***.***

    BEST
    메시지는 한국인으로서 공감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그렇다고 치고, 최근 3부작은 뒤로 갈수록 독립된 작품 하나하나로서의 디테일과 완결성이 점점 떨어져 가는 모습이 아쉽더군요. 전개의 도구로서만 사용되는 조연이나 과도하게 휙휙 변하는 감정선, 충분치 않은 감정선의 묘사라던가... 좋아하는 감독인 만큼 다음 작품부터는 그 부분도 신경을 쓰면 좋을것 같긴 합니다
    23.03.10 03:20

    86.48.***.***

    BEST
    ? 신카이 감독은 오히려 판타지 sf쪽이 근본입니다. 데뷔를 한 계기도 건담과 에바의 영향이 컸다고 인터뷰때 말하기도 했고, 첫데뷔작인 별의 목소리 첫 상업데뷔작인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도 그렇고요. 그리고 초속이 흥했다고요? 초속 일본 흥행수익 1억엔입니다. 언어의 정원이 1억5천만엔이고요. 예 쫄딱망한거죠.
    23.03.09 06:27

    223.39.***.***

    샬롯 페리에
    신카이 감독이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건 초속5cm 부터라고 봤습니다 그리고 근본을 sf와 판타지라고 하신점도 맞습니다 하지만 sf/판타지 속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때와 달리 최근 세 편은 메세지에 더 중점을 둬간다는 점을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 23.03.09 09:29 | |

    210.217.***.***

    BEST
    너우트
    1억엔은 진짜 그냥 망한게 아닙니다. 혹시 일본 극장애니중에서 쏘아올린 불꽃 위에서 볼까 아래에서 볼까라고 압니까? 개망작으로 까이는 작품중 하나인데 그것도 14억엔이에요. 그냥 신카이가 대중에게 알려진건 솔까 너의 이름은부터죠. 초속언정으로 왜 안돌아가냐? 라고 물으면 그때 안봐줬으니깐이란 결론에 도달할수밖에 없습니다. 뭐 이번작품으로 재난물 끝낸다고 했고 다음도 뭐 거의 우주생각하시는듯한지라... | 23.03.09 11:09 | |

    223.39.***.***

    샬롯 페리에
    극장 흥행수익에 대해 말하는게 아닌데 그쪽으로만 접근하시네요 신카이 작품 중에 국내개봉을 맨 처음 한것도 초속5cm인걸요 너의이름은 이전까지 대표작이라 하면 초속5cm 아니겠습니까? 많이들 그걸로 신카이에 입문 하셨을테구요 본문에 히트를 쳤다고 표현하긴 했지만 엄청난 흥행을 거뒀다기 보단 감독의 이름을 처음으로 알린 작품이다 라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 23.03.09 11:30 | |

    160.238.***.***

    BEST
    너우트
    그럼 대중성을 말하는데 흥행수익이 가장 정확하지 그럼 뭘로 접근하자는겁니까? 솔까 신카이가 느그전엔 아는 사람만 아는 감독에 가까웠다는건 인정해야합니다.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3172 당장 한국내 초속 관객수 "현재"까지 누적이 4만7천인데요? 그 웃음벨인 자전차왕 엄복동도 10만은 넘었다는겁니다. 아무리 작품이 대중성이 전부는 아니고 저도 초속이란 작품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왜 신카이는 초속으로 안돌아가냐는건 정말로 너무나도 안봐줬기 때문이라는건 부정하기 힘듭니다. | 23.03.09 11:53 | |

    160.238.***.***

    BEST
    너우트
    물론 흥행수익이 전부가 아니다 관객수가 전부가 아니다. 예 맞는 말입니다만 적어도 이 관객수 이 흥행수익가지고는 이름이 알려졌다고하기 보단 그냥 일부 매니아들 사이에서의 평가만 좋았었다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결국 좋든 싫든 신카이 감독이 대중에게 알려진 계기의 작품은 너의 이름이다라는건 인정해야합니다. | 23.03.09 12:13 | |

    121.162.***.***

    샬롯 페리에
    너의 이름은, 이라는 작품이 가장 호평 받았던 이유는, 작가 개인의 개성(소재, 정서 등)이 세계(사회 일반까지 포함한)와 어떤 공통 감각을 공유하는 그 지점과 마술처럼 일치하는 경향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즉, 작가의 개성과 역사적 보편성을 동시에 완성도있게 담고 있는 작품이었기 때문이겠죠.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하던 작가가 외부 세계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을 때, 작품을 통해 보여줄 수 있었던 가장 고전적인 미학적 완성의 경지였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신카이 마코토의 색채가 그만큼 약해진 것은 어쩔 수 없지만요. 개인의 가장 내밀한 분야에서 세계와 공통되는 부분을 찾아, 그것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라. 그것이 작가와 세계와의 대화다. 좋은 작업이 뭐냐 물었을 때, 들었던 상명대학교 한국화과 학과장 이세정 교수님의 말이 아직도 떠오릅니다. | 23.03.09 18:52 | |

    86.48.***.***


    이것만 봐도 알수 있겠죠.
    23.03.09 08:05

    59.9.***.***

    관점의 차이인 듯합니다. 어떤 감독의 단편영화가 있는데 사람들 대부분은 모르지만 평론가 사이에서 유명하다면 그 감독을 거론할 때 그 단편영화 만들었다는 표현을 사용해도 되잖아요. 그런 것처럼 영상미 관점에서 보면 초속 5cm부터 언급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는 보지 않더라도 제목은 들어봤고 어떤 내용인지 대략 알고 있다면 그걸 대중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대중성 = 판매량, 관객수.. 이렇게 기준을 잡으셨다면 그 분 기준에서는 대중성이라고 표현할 수 없겠지만 말이죠. 다만 사람마다 시선이 다른지라 저는 오히려 초속, 언어는 좋게 봤어도 너의 이름은 이후로는 안 보고 있습니다. 현실적 영상미.. 영화에서 느껴지는 것이 에니(그림)으로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에 매력을 느꼈었는데... (물론 스토리는 망한 것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그 영상미가 주는 임팩트가 상당히 저에겐 컸거든요) 너의 이름은 에서는 에니적 요소가 강하게 느껴져서 저와는 안 맞았았습니다. 케이크에서 부족한 딸기와 생크림의 조화에 만족하시는 분이 계시기도 하지만 풍성한 딸기가 얹어진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계신 것처럼... 판타지와 저와는 안 맞는 듯했거든요.
    23.03.09 12:41

    59.9.***.***

    욕망과무상의사이에서
    너의 이름은 상영했었을 때... 주변분들이 저에게 너의 이름은 봤냐면서 물었을 시 말꺼내면서 초속도 언급하시에 어떻게 아시냐고 물으면 본 사람은 없어도 전철, 벚꽃 이런 것 말씀하시는 분들 많았거든요. 평론가들이 영화 소개하면서 말을 했었는지, 아니면 넷상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말이죠. | 23.03.09 12:54 | |

    194.195.***.***

    욕망과무상의사이에서
    그러니 그 제목을 알고 내용은 안다는게 주관적인 개인 피셜말고는 없자나요.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262982 초속개봉당시 기사입니다 한국내에서 고작 "1만" 넘었다고 화제라는 표현 쓴게 초속이에요. 현실적으로 이 수치는 진짜 몇몇 평론가나 매니아들에게만 알려진 수준의 수치입니다. 그냥 내가 좋아한다면 몰라도 정말로 일반적으로 알려졌다고 하기엔 너무나도 수치적 근거가 없는 수준이라는 거죠. 오히려 당시 평론가나 매니아들은 대중성을 보강하라는 주문을 많이 했었고, 오히려 신카이의 근간 따지면 세카이계 좋아하고 sf 판타지 좋아하는 사람인데 오히려 초속 언정이 변종이고 오히려 이번작인 스즈메는 세카이계 테이스트가 상당히 들어간 작품입니다만? | 23.03.09 14:08 | |

    59.9.***.***

    샬롯 페리에
    대중성 = 상업성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인정합니다. 하지만 대중성 = 인지도 이렇게 볼 수도 있다는 면에서 초속을 언급한 것을 너무 날 세워 말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서 한 말입니다. (엄밀히 따지면 대중에는 알려졌으나 상업적 성공에 실패했다. 이게 정확한 표현 아닌가요? dc영화처럼 사람들은 슈퍼맨이나 원더우먼은 알고 있지만 영화는 실패한 것처럼 말이죠.) 분명히 댓글에도 언급했지만 대중성 = "영화를 관람한"이 아니라 "영화를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적 있는"식의 인지도를 기준으로 잡고 계신 분들도 있기에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개인적으로 너의 이름 이후 작품은 안 보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저 분이 누군지도 모르고 과거 뭐 하셨는지도 모르고, 단지 우연히 보게 되서 감명 깊었다는 정도입니다. 그 후 언어 보면서 역시.. 영상미가 다르구나.. 했다가 너의 이름은 에서 제 취향이 아니라 안 보게 된 것이구요. 지금 댓글 보면서 감독의 과거나 취향을 알게 됐을 뿐입니다.^^ (초속이 변종인지도 몰랐습니다.) 감독의 성격이나 취향까지 분석하시면서 보는 몇 회 차 보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저처럼 가볍게 한 번 보는 사람도 있거든요. | 23.03.09 16:26 | |

    121.132.***.***

    날씨의 아이는 포스터 못받았음...
    23.03.09 16:18

    121.162.***.***

    가장 사적인 영역만을 깊이 파고들던 작가가, 예술가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이번 재난 3부작이었다 생각합니다. '너의 이름은'을 통하여, 대체 역사라는 방식으로서 일본이라는 공동체가 입었던 트라우마적인 상처를 치유하고, '날씨의 아이'로 재난 이후, 우리는 세계를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사회에 대한 참여적인 성격으로서 연설하듯 이야기하며, 이번 '스즈메의 문단속'에서는 잊을 수 없는 시간들을 애도하고 떠나보내며 삶을 향해 모두 손 잡고 나아가고자 합니다. 재난 3부작은 결국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하나의 선처럼 일본 공동체를 이어주는 하나의 설화적 알레고리로서 작동하길 원한 연작의 형식이었다 말하고 싶네요. 다음 작품에선 부디 세계와 존재의 화해할 수 없는 대립이 어떻게 새로운 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인가, 라는 신카이 만의 대답이 담긴 작품을 봤으면 좋겠습니다. 세계에 대한 탐구는 연작 3번이나 했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신카이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세카이계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 한계를 신카이만의 작업 과정을 통해서 얻어낸 답으로서 돌파하는 그 감동적인 지점을 꼭 한 번 보고 싶다는 개인적 소망이 있습니다. 이미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완성을 향해 다가가고 있는 만큼, 위의 부분에서 자신만의 답을 내놓는 것이야 말로 그가 거장의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23.03.09 18:39

    223.39.***.***

    블라스티에르
    첫 문장이 인상적이네요 감사합니다. | 23.03.09 20:17 | |

    121.170.***.***

    BEST
    메시지는 한국인으로서 공감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그렇다고 치고, 최근 3부작은 뒤로 갈수록 독립된 작품 하나하나로서의 디테일과 완결성이 점점 떨어져 가는 모습이 아쉽더군요. 전개의 도구로서만 사용되는 조연이나 과도하게 휙휙 변하는 감정선, 충분치 않은 감정선의 묘사라던가... 좋아하는 감독인 만큼 다음 작품부터는 그 부분도 신경을 쓰면 좋을것 같긴 합니다
    23.03.10 03:20
    저는 오히려 반대로 작품이 현실적으로 다가간다고 생각했는데 또 관점이 다르네요. 해결 방법은 항상 판타지에 가까웠어서, 오히려 재난의 종류가 메테오 스트라잌...에서 지진이라는 일본인들이 가장 많이 접하고 재난으로 다가오면서 점점 현실적으로 다가왔다고 느꼈는데. 일종의 트라우마 치료 법이라 해야 하나요? 간접적인 것부터 직접적인 거로 다가오면서 치료하는? 그런 면에서 재난 3부작에서 스즈메의 문단속이 가장 현실에 맞닿아있고, 직접적으로 사건들이 언급된다 느꼈네요. 어쨌든 재난 3부작도 이렇게 막을 내렸으니 이젠 차기작이 어떻게 나올까 궁금해집니다.
    23.03.11 01:21

    223.39.***.***

    유부녀의성숙함은어린이의순수함
    오 그것고 그러네요 재난의 소재로 보면 갈수록 현실과 가까운 재해가 되는군요 | 23.03.11 13:42 | |


    1
     댓글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0 전체공지 세계수의미궁 1-3 HD 리마스터 게임 바우처 코드 증정 이벤트 8[RULIWEB] 2023.06.01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3.21
    30630570 공지 [필독] 애니 이야기 게시판 공지사항(수정20.09.14) (2) 百喰 綺羅莉 3 15784 2020.09.14
    28887108 공지 원작누설 스포일러 공지입니다. ( 수정 : 16.08.23) (15) 桃喰 綺羅莉 28 161629 2016.02.12
    30636513 잡담 얼음낚시 184 2023.06.01
    30636512 잡담 gundam0087 233 2023.06.01
    30636511 잡담 gundam0087 1 239 2023.05.31
    30636510 잡담 준서죤 629 2023.05.30
    30636509 잡담 gundam0087 2 352 2023.05.30
    30636508 잡담 gundam0087 1 260 2023.05.29
    30636507 잡담 응아앜 3 793 2023.05.29
    30636506 토론 괴짜글쟁이덕후 6 1894 2023.05.29
    30636505 잡담 netji 4 885 2023.05.29
    30636504 잡담 여행하는 마왕 6 2214 2023.05.28
    30636503 잡담 gundam0087 3 380 2023.05.28
    30636502 잡담 츠쿤프트 1 459 2023.05.27
    30636501 잡담 루리웹-1277988990 1 443 2023.05.27
    30636500 잡담 gundam0087 2 368 2023.05.27
    30636498 잡담 루리웹-1277988990 1166 2023.05.26
    30636497 잡담 gundam0087 2 464 2023.05.26
    30636496 잡담 팔룡 7 1419 2023.05.25
    30636495 질문 바꿔버리겠어! 1092 2023.05.25
    30636494 잡담 한번만봐줘잉내가잘몰라서그래 3 1422 2023.05.25
    30636493 질문 드레드로드 804 2023.05.25
    30636492 잡담 gundam0087 1 319 2023.05.25
    30636491 잡담 gundam0087 1 337 2023.05.24
    30636489 잡담 얼음낚시 3 827 2023.05.24
    30636488 잡담 애늬팡 1 1314 2023.05.24
    30636487 잡담 llCat 4 1106 2023.05.23
    30636486 잡담 Bálor Club 5 883 2023.05.23
    30636485 질문 날씨의아이 아마노히나 467 2023.05.23
    30636484 잡담 루리웹-5710316941 526 2023.05.23
    글쓰기 401112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