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역사) 1980년대 일본의 위상 [36]


profile_image
profile_image (5191293)
60 | 36 | 11136 | 비추력 12720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36
1
 댓글


(IP보기클릭)119.198.***.***

BEST
저때 일본은 남들보다 40년을 앞서갔다 사실은 40년동안 성장할 몫을 저때 다 끌어다 쓴 건 줄도 모르고
25.11.18 20:39

(IP보기클릭)121.129.***.***

BEST

지금 생각해보면 일본의 80년대는 황금기나 버블이 아니라 그냥 40년 일찍 온 현대의 일본이 아니였을까... 그게 지금까지 이어지니까 뒤떨어진거고 ㅋㅋㅋㅋ
25.11.18 20:40

(IP보기클릭)223.38.***.***

BEST
여담으로 버블경제 붕괴 이후 일본 청년층의 개인주의화가 급속해짐
25.11.18 20:36

(IP보기클릭)175.203.***.***

BEST
참고로 버블경제 당시 도쿄 등 대도시는 저렇게 사치스러웠는데 조금만 외곽으로 벗어나도 '먹고살기가 너무 힘들어요. 살려주세요'함.
25.11.18 20:39

(IP보기클릭)211.251.***.***

BEST
그리고 저때 힘을 다한 나머지 30년 넘게 제자리걸음
25.11.18 20:34

(IP보기클릭)220.80.***.***

BEST
사실 버블경제 애니라고 도는 짤들의 대부분은 그 때 자본 안들어간게 더 많은 무서운 사실
25.11.18 20:41

(IP보기클릭)211.110.***.***

BEST
백투더퓨쳐, 블레이드 러너 같은 영화만 봐도 당대 미국에서 일본에 추월당할지 모른다고 경계하던 게 보이지
25.11.18 20:35

(IP보기클릭)211.251.***.***

BEST
그리고 저때 힘을 다한 나머지 30년 넘게 제자리걸음
25.11.18 20:34

(IP보기클릭)211.110.***.***

BEST
백투더퓨쳐, 블레이드 러너 같은 영화만 봐도 당대 미국에서 일본에 추월당할지 모른다고 경계하던 게 보이지
25.11.18 20:35

(IP보기클릭)223.38.***.***

BEST
여담으로 버블경제 붕괴 이후 일본 청년층의 개인주의화가 급속해짐
25.11.18 20:36

(IP보기클릭)119.198.***.***

BEST
저때 일본은 남들보다 40년을 앞서갔다 사실은 40년동안 성장할 몫을 저때 다 끌어다 쓴 건 줄도 모르고
25.11.18 20:39

(IP보기클릭)112.153.***.***

히틀러친구아돌프

| 25.11.18 20:48 | | |

(IP보기클릭)79.110.***.***

히틀러친구아돌프
'일본은 1980년에는 2000년처럼 살았고 2020년에도 2000년처럼 살고 있다' | 25.11.18 20:49 | | |

(IP보기클릭)121.141.***.***

GeminiArk
일본 여행가면 좋았던게 스마트폰 쓸 수 있는 90년 대라서였음. | 25.11.18 20:51 | | |

(IP보기클릭)222.102.***.***

루리웹-0463155134
노벨상은 좀 부럽다 | 25.11.18 21:11 | | |

(IP보기클릭)175.203.***.***

BEST
참고로 버블경제 당시 도쿄 등 대도시는 저렇게 사치스러웠는데 조금만 외곽으로 벗어나도 '먹고살기가 너무 힘들어요. 살려주세요'함.
25.11.18 20:39

(IP보기클릭)182.221.***.***

산니님7
저때도 잘사는놈만 잘살았지 전국민이 잘살았던게 절대아님. | 25.11.18 20:56 | | |

(IP보기클릭)121.129.***.***

BEST

지금 생각해보면 일본의 80년대는 황금기나 버블이 아니라 그냥 40년 일찍 온 현대의 일본이 아니였을까... 그게 지금까지 이어지니까 뒤떨어진거고 ㅋㅋㅋㅋ
25.11.18 20:40

(IP보기클릭)219.248.***.***

343길티스파크
80년대에 이미 2000년이었지 근데 지금도 2000년이고 | 25.11.18 21:04 | | |

(IP보기클릭)183.98.***.***

저 때 해외에 사놓은 부동산들 지금까지도 효자라고
25.11.18 20:41

(IP보기클릭)220.80.***.***

BEST
사실 버블경제 애니라고 도는 짤들의 대부분은 그 때 자본 안들어간게 더 많은 무서운 사실
25.11.18 20:41

(IP보기클릭)121.141.***.***

제이메럴조
90년대에 한국에서 제작한 애니... | 25.11.18 20:52 | | |

(IP보기클릭)116.120.***.***

한국 고혈을 빨아서 이룩한 기적의 경제성장 물론 지금은 멈췄지만..
25.11.18 20:43

(IP보기클릭)116.44.***.***

저때 오죽하면 도쿄를 팔면 미국을 살 수 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지
25.11.18 20:44

(IP보기클릭)218.51.***.***

면접비 만으로 차를 샀다던 전설의 시대...
25.11.18 20:45

(IP보기클릭)222.235.***.***

사이버펑크에서 악역으로 일본기업이 나오는게 저 시기의 일본의 두려움이 형상화한게 사펑 장르라
25.11.18 20:46

(IP보기클릭)223.38.***.***

루리웹-3998314091
아라사카놈들! | 25.11.18 20:47 | | |

(IP보기클릭)112.150.***.***

저 속도로 지금까지 발전했다면.. 지금의 일본은 어땟을까...ㄷㄷㄷ
25.11.18 20:47

(IP보기클릭)147.46.***.***

블루브루
그래서 미국이 이놈 하고 플라자합의로 두들겨팬거잖어 | 25.11.18 20:49 | | |

(IP보기클릭)180.66.***.***

블루브루
불가능함. 미국이 일본식으로 관리체계를 바꿀려고 도요타랑 소니를 꼽았었는데. 도요타의 경우는 캐고 보니 사람을 말 그대로 갈아넣어서 구축한 시스템이라 미국식 기준으로는 상당한 처우를 보장해줘야 가능한 수준이고 착취가 엄청난 수준이라 계열사가 소송을 안 걸어댄게 이상할 정도였음. 그나마 초창기에는 그 정도 문제였는데 나중에 캐보니 하청업체 쥐어짜기, 재고 부족으로 생산 스케쥴 조정 불가능 , 시험성적서 조작등이 드러났음. 미국이 쫒던건 인적자원과 하청업체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일본 재벌의 모습이였던거임. 19세기 미국 거대 자본들이 시장에서 저지르던 그 패악질을 20세기에 다시 미국에 도입하려면 병진짓을 또 한거. 일본도 일본제국시절에 넘쳐나는 노동력을 갈아넣어서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완성 한걸 저가에 밀어넣는 방법으로 잘 나갔었는데 거기서 그닥 벗어나지도 못했던거임. 소니도 뭐, 졸래 긴데 소니는 그나마 아웃풋이 워낙에 압도적으로 잘 뽑혀나왔고 그 아웃풋 덕분에 지금도 먹고 사는 중이라 뭐라 하기 그렇지만 이쪽도 일본 특유의 쓸고퀄에 경박단소 고집에 고가정책에 각 계열사별 팀별 중복개발 및 무쓸모 경쟁까지 해서 경쟁사가 망하게 한게 아니라 지팔지꼰을 한걸로 유명한 회사임. 일본하면 갈라파고스를 예로 많이 드는데 그 정점을 찍은게 소니고 대척점이 파나소닉임. 물론 파나소닉은 소니처럼 갈라파고스화를 시도한건 아니고 자체적으로 구축한 경쟁의 틀 안에 안주하면서 망조든거라 앞의 두 회사보다는 그런대로 무난한 수준이고 그 무빙을 그대로 옮겨서 신사업으로 무난하게 옮겨갔음. 앞의 둘은 회사 말아먹을 정도로 병크를 심하게 저질러댔고 도요타는 지금도 병크중이며 소니는 혹독한 구조조정으로 살아남아서 잘되는 사업에만 집중하는 중임 파나소닉은 트랜드에 뒤쳐져서 여전히 안정적인 사업분야에만 진출중임. 아마 파나소닉 외엔 그 속도 유지가 불가능했을거라는게 내 생각. 파나소닉은 너무 느리고 , 일본기업답게 갈라파고스화 된 시장에 안주하고 있어서 안정성인지 뒤쳐짐인지 애매하다는거가 평가의 갈림길이고 | 25.11.18 21:42 | | |

(IP보기클릭)118.46.***.***

근데 경제 상황 빼고 거리 자체만 보면 저 시대에 살아보지도 않았지만 로망이랑 뽕 치사량인듯... 내가 사이버펑크물 좋아하는것도 이런 이유겠지
25.11.18 20:48

(IP보기클릭)223.39.***.***

저때 일본이 안 넘어졌으면 지금 우리나라 기술력 경쟁에서 도태 됬겠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엄청난 호재지
25.11.18 20:48

(IP보기클릭)118.235.***.***

저때 유게이들은어리거나 태어나지 못해서 인터넷으로 본것만 알갰지만 이해하게 설명 하자면 슈퍼 패미컴 게임팩 일본 가격이 9800엔이었음 1990년도에! 시발!어렸을때 게임팩 가격이 10만원이 넘었다구요!
25.11.18 20:49

(IP보기클릭)180.66.***.***

yusof91
삼국지 시리즈는 1만엔 넘어서 나올때마다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욕을 바가지로 먹었음. | 25.11.18 21:44 | | |

(IP보기클릭)111.65.***.***

용과같이 제로에서 간접채험했던 ㅋㅋ
25.11.18 20:51

(IP보기클릭)211.214.***.***

플라자 합의라는 미국의 진심 펀치 한방에...
25.11.18 20:51

(IP보기클릭)218.153.***.***

듀크뉴켐
그건 굉장히 결과론적인 이야기임. 그로부터 4년이 지난 뒤에도 버블이 터지리라 생각하지 않은 사람들이 다수임. | 25.11.18 20:57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80.66.***.***

듀크뉴켐
일본의 버블붕괴는 설명한 자료가 너무 많아서 종잡을수가 없는 줄 알았는데 찾으면 나온다. 일본뽕에 취한 애들은 외면하는 부분인데 일본은 대표적인 통계조작국들 중 하나이고 자국을 대상으로도 조작된 통계를 발표하는 상당히 비양심적인 행위를 저질러온 동네다. 트리거가 된건 은행 하나랑 증권회사 하나가 97년도에 연달아서 도산하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 나온 조사내용이 채권의 약 6% 정도가 회수 불가능의 악성채권들이였다고 밝혀졌지만 버블의 심각성은 6%가 아니라 그 판국에도 6%라고 구라를 대놓고 쳐버린 노답 금융계에 있었다. 몇년 뒤에 버블붕괴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한 분석을 하고 실질적인 대응책을 연구하는데 국제기준으로 채권 부실화를 다시 검산해보니 12% 라는 경이적인 수치가 나온다. 나는 돈쟁이가 아니라서 잘 몰랐는데 금융쪽 기준으로는 3%가 넘으면 심각한 경계 수준이고 5%면 비상상황이라고 하니까 애초에 발표했던 6% 라는 수치도 사실상 " 우리 파산했어요." 라는 선언이나 마찬가지고 12%는 두말할거 없이 분식회계 했다는거. 이유는 듀 유게이가 잘 짚었음. 플라자 합의가 그 첫 걸음이고 플라자 합의로 시작된 엔화 고평가가 시작되자 일본정부가 기준금리를 낮춘데서 시작되었다. 좀 , 뭔가 비슷한 느낌이 들지 않음? 그렇다, 미국에서도 14년 뒤에 똑같은 일이 벌어진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론 사태다. 돈쟁이들을 멋대로 굴게 내버려 두면 안되는 이유가 바로 이거고 파월 의장이 금리에 대해서 트럼프랑 싸워가면서 까지 버티는것도 이런 배경을 이해해야 알 수 있다. | 25.11.18 22:02 | | |

(IP보기클릭)180.66.***.***

듀크뉴켐
그래서 직접적으로 미국이 때려눕힌건 아니라고 위에 유게이가 짚은거임. 파급효과가 거기까지 연결된건 결과론적인거고 일본금융당국도 은행도 프라자 합의로 인해 엔고가 발생할 시점까지 그게 문제가 된다는건 알았지만 금융 시장 전체가 붕괴해서 국가적인 금융 위기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30년간 막대한 재정을 소진하는걸로 부족해서 자국민의 은행 잔고까지 약탈하는 양아치 짓까지 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않았음. 미국도 마찬가지, 사태가 그 꼴이 날 거라고 까진 생각 안했음. 마이클 버리 외 몇명을 제외하곤. 모기지 사태는 영화 "빅쇼트"에서 아주 쉽게 설명했으니 그걸 보면 됨. | 25.11.18 22:11 | | |

(IP보기클릭)175.124.***.***

SADD-943187
원전 터지게 생겼는데도 살릴수 있다고 말안듣는 개노답 시키들 | 25.11.18 23:38 | | |

(IP보기클릭)61.40.***.***

25.11.18 20:54

(IP보기클릭)58.29.***.***

저당시 작화력쩌는 애니들 돈을 마니 준게 아니라 인력 갈아 마셧다던데
25.11.18 21:04

(IP보기클릭)118.235.***.***

당장 사이버펑크만 해도...
25.11.18 21:04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