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1},{"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c288\ub85c\ub300","rank":0},{"keyword":"\uc820\ub808\uc2a4","rank":7},{"keyword":"\ub9bc\ubc84\uc2a4","rank":2},{"keyword":"\ubc84\ud29c\ubc84","rank":-2},{"keyword":"\ud2b8\ub9ad\uceec","rank":5},{"keyword":"\ub2c8\ucf00","rank":0},{"keyword":"\ucf00\ub370\ud5cc","rank":4},{"keyword":"\uadc0\uba78","rank":-5},{"keyword":"\uba85\uc870","rank":-1},{"keyword":"\uc6d0\uc2e0","rank":4},{"keyword":"\ubd80\ucc9c","rank":"new"},{"keyword":"\uc288\uce74","rank":-5},{"keyword":"\ud65c\ud611\uc804","rank":-9},{"keyword":"\ub85c\uc544","rank":-2},{"keyword":"\ucf00\uc774\ud31d","rank":2},{"keyword":"\uc6d0\ud53c\uc2a4","rank":-1},{"keyword":"\uac74\ub2f4","rank":"new"},{"keyword":"\ub9d0\ub538","rank":-5},{"keyword":"\ub358\ud30c","rank":-3},{"keyword":"\ud398\ub974\uc18c\ub098","rank":"new"}]
(IP보기클릭)121.129.***.***
현대 건축물도 100% 콘크리트면 훨씬 오래 버티는데, 요즘 만드는 철근 콘크리트는 100% 콘크리트 건물보다 훨씬 튼튼하지만 결국 내부 철근이 부식되면서 수명은 고작 100년~200년이 한계라더라... 당장 100년도 안된 노르망디 벙커 같은거 보면 어디 로마시대 콘크리트 건물보다 더 부식되었음
(IP보기클릭)118.219.***.***
콘크리트로만하면 벽이 엄청 두껍고 높이 못올려서
(IP보기클릭)49.173.***.***
후버댐이 대략 1만년은 넘게 버틸거라고 예측하고 있음
(IP보기클릭)118.235.***.***
순살아파트는 500년후를 내다본 건축물이구나..
(IP보기클릭)59.14.***.***
판테온 직접 가보면 아주 기가 차고 어이가 없을 지경임 이 정도 거대한 공간을 2천전 전에 만듬 인류 건축사에서 저놈의 기둥 없는 넓은 공간이라는걸 만들려고 얼마나 온몸 비틀기를 했는지 생각하면 어이가 없을 지경이야 심지어 돔 무게만 수백톤이 넘을텐데 균열하나 없어
(IP보기클릭)119.192.***.***
세계를 지배한 대제국이 그것도 못하면 장사 접어야지 ㅋㅋ
(IP보기클릭)121.140.***.***
철근만 없으면 가능한데 인장강도를 얻으려고 철근을 넣어서 100~200년 정도가 한계라고 하네
(IP보기클릭)222.117.***.***
(IP보기클릭)119.192.***.***
왕윙
세계를 지배한 대제국이 그것도 못하면 장사 접어야지 ㅋㅋ | 25.08.30 10:48 | | |
(IP보기클릭)39.122.***.***
(IP보기클릭)106.101.***.***
요즘 콘크리트도 혼화재/혼화제를 써서 강도나 물성을 바꿔 다양한 콘크리트를 생산하는데 그 중에 플라이애시(재) 또는 고로슬래그(용광로 부산물)도 포함되긴 함.. | 25.08.30 13:36 | | |
(IP보기클릭)119.192.***.***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1.129.***.***
사람한정
현대 건축물도 100% 콘크리트면 훨씬 오래 버티는데, 요즘 만드는 철근 콘크리트는 100% 콘크리트 건물보다 훨씬 튼튼하지만 결국 내부 철근이 부식되면서 수명은 고작 100년~200년이 한계라더라... 당장 100년도 안된 노르망디 벙커 같은거 보면 어디 로마시대 콘크리트 건물보다 더 부식되었음 | 25.08.30 10:54 | | |
(IP보기클릭)118.235.***.***
343길티스파크
순살아파트는 500년후를 내다본 건축물이구나.. | 25.08.30 10:56 | | |
(IP보기클릭)118.219.***.***
사람한정
콘크리트로만하면 벽이 엄청 두껍고 높이 못올려서 | 25.08.30 10:56 | | |
(IP보기클릭)118.235.***.***
성능을 택한 대신 유통기한이 생긴 거구나! | 25.08.30 10:57 | | |
(IP보기클릭)118.235.***.***
근데 그렇다고 철근 콘크리트라는 걸 포기하기엔 | 25.08.30 10:57 | | |
(IP보기클릭)121.140.***.***
사람한정
철근만 없으면 가능한데 인장강도를 얻으려고 철근을 넣어서 100~200년 정도가 한계라고 하네 | 25.08.30 10:57 | | |
(IP보기클릭)183.103.***.***
재료문제도 있는데 내구 한도는 몰라도 구조강도가 현대보다 한참 안나오니 안쓰는거긴 해. | 25.08.30 10:57 | | |
(IP보기클릭)49.173.***.***
사람한정
후버댐이 대략 1만년은 넘게 버틸거라고 예측하고 있음 | 25.08.30 10:58 | | |
(IP보기클릭)118.235.***.***
100퍼센트 콘크리트는 좌우로 흔들리면 부러져버려서... | 25.08.30 11:01 | | |
(IP보기클릭)118.235.***.***
후버댐 중앙의 콘크리트는 아직도 건조가 안됐다고 ㅋㅋㅋㅋㅋ | 25.08.30 11:02 | | |
(IP보기클릭)211.234.***.***
하지만 100% 콘크리트로 만들면 현대식 건축물을 못 만듦 | 25.08.30 11:06 | | |
(IP보기클릭)49.173.***.***
몇백, 몇천년 후 인류가 후버댐 철거할때 까보니 덜 마른 꾸덕한 콘크리트 나오면 개꿀잼 ㅋ | 25.08.30 11:06 | | |
(IP보기클릭)118.235.***.***
몇천년 후면 말랐겠죠 바보임? ㅎ | 25.08.30 11:08 | | |
(IP보기클릭)49.173.***.***
| 25.08.30 11:09 | | |
(IP보기클릭)118.235.***.***
| 25.08.30 11:09 | | |
(IP보기클릭)221.167.***.***
ㄴㄴ 그건 아님. 애초에 통짜로 타설하면 수화열이 쌓이면서 균열, 공극, 분리로 강도저하 일어날거 고려해서 블럭식으로 구획 나눠서 타설했기에 양생 시간과 환경이 충분했고, 그러고도 불안해서 수화열 조절한다고 블럭 중간에 냉각수 파이프라인까지 깔아서 열 식혀줌. 그리고 냉각역할 끝난 파이프 안은 고유동 콘크리트로 채워서 마무리 침 | 25.08.30 11:12 | | |
(IP보기클릭)58.77.***.***
우리나라 아파트는 20 - 30년만 지나면 재건축 해야 된다고 주민들이 그러던데 | 25.08.30 11:20 | | |
(IP보기클릭)112.158.***.***
ㅇㅇ 후버댐 건설관련 다큐를 보니깐 후버댐의 가장 안쪽 시멘트는 아직 다 굳지도 않았다고 하더라 ... | 25.08.30 11:35 | | |
(IP보기클릭)106.101.***.***
건축물의 내구수명과 사용수명이 달라서 그래요. 30년이 지나면 건물 자체는 버틸 수 있는데 내부의 기계/배관이 노후화를 버티질 못합니다. 문제는 요즘 건축물은 메인터넌스용 점검구나 피트층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매립형태로 외부에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이런 부분이 손상되면 구조물을 일부 철거하고 수리해야 하는 상황이 옵니다. 방치하면 건물 컨디션을 나쁘게 하고 (부식, 변형 등) 수리하자니 방법이 어렵고 그러니 골치가 아프게 되는거죠. | 25.08.30 13:45 | | |
(IP보기클릭)183.109.***.***
헛소리임. 위에 북키퍼님 댓글 참조.. | 25.08.30 15:50 | | |
(IP보기클릭)210.179.***.***
철근 콘크리트 공법이 나온이유가 상대가 쏘는 포에 토치카 벙커 포진지 요새 가 견딜려고 만들었던거라 그러다 민간건물에도 사용하게 된걸로 알아요... | 25.08.30 15:51 | | |
(IP보기클릭)211.235.***.***
실제로 20~30년 지난 아파트 살아보면 여기저기 부식되고 누수 시작되는 걸 느껴볼 수 있다 내가 지금 사는 집이 그래서 다음 집은 지은 지 10년 이내로 된 집으로 갈 예정 | 25.08.30 17:44 | | |
(IP보기클릭)220.116.***.***
자동차나 가전제품도 수명 남았어도 사용 편의성이나 정비문제로 교체하 잖음 | 25.08.30 18:38 | | |
(IP보기클릭)58.126.***.***
그래서 인류 멸망하면 후버댐으로 가야 살 수 있다는 말이 있음. 가장 마지막까지 전기 만들 수 있어서. | 25.08.30 19:07 | | |
(IP보기클릭)59.14.***.***
판테온 직접 가보면 아주 기가 차고 어이가 없을 지경임 이 정도 거대한 공간을 2천전 전에 만듬 인류 건축사에서 저놈의 기둥 없는 넓은 공간이라는걸 만들려고 얼마나 온몸 비틀기를 했는지 생각하면 어이가 없을 지경이야 심지어 돔 무게만 수백톤이 넘을텐데 균열하나 없어
(IP보기클릭)118.32.***.***
솔직히 이런저런 이유로 중세가 암흑기는 아니었다. 이런 식으로 가고있는데 그야...로마랑 비교하면 야만퇴행이니까 그럴만도... | 25.08.30 10:58 | | |
(IP보기클릭)115.23.***.***
종교시설로 계속 보수를 해서? | 25.08.30 10:59 | | |
(IP보기클릭)59.14.***.***
수백톤의 콘크리트를 부워 만든건데 현대 콘크리트도 1800년대에나 나온 건축학의 신의 선물이라는 철근 넣어 인장력 보강을 했는데도 잘못하면 금 가는데 저 시대에 뭘 어떻게 인장력을 보강했는지 2000년간 균열 하나 없음... | 25.08.30 11:06 | | |
(IP보기클릭)221.149.***.***
인장력 보강을 위해 말총을 씀. 하지만 그걸로는 어림도 없어서 내부를 아치형 사각형으로 파서 중량을 줄임. 사실 로마 건축물은 로마 콘크리트의 인장력의 한계로 아치 구조가 반복되긴 함. 이러 저러한 이유로 결국 판테온 자체는 닫히지 않은 돔 형태로 마무리됨. 사실 중세가 발전이 없다고 하는데 중세는 저 로마의 아치 반복에서 첨두 아치라든가, 플라잉 버트러스를 만든다든가 꾸준히 발전함. 그리고 닫힌 돔도 결국 비잔틴 양식의 영향을 받아 중세에 만들어지고. | 25.08.30 15:25 | | |
(IP보기클릭)115.40.***.***
중세가 암흑기가 아니었단건 그냥 몇 가지 사례를 가지고 포장하는거고 흑사병 창궐에 종교 재판 횡행, 종교의 만행이 점점 극에 달하고 서책을 불태우는 등 퇴행의 모습이 역력했음. | 25.08.30 16:11 | | |
(IP보기클릭)123.199.***.***
(IP보기클릭)1.234.***.***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39.***.***
(IP보기클릭)182.227.***.***
저거 쓰면 원하는 만큼 공간이 안나와 | 25.08.30 15:07 | | |
(IP보기클릭)118.235.***.***
애초에 현대 콘크리트가 더 튼튼함 ㅋㅋㅋ 저건 고대 기술중에서 압도적으로 튼튼한거지 | 25.08.30 15:46 | | |
(IP보기클릭)211.234.***.***
고층이나 넓은 설계에 제약이 생김 | 25.08.30 16:15 | | |
(IP보기클릭)221.149.***.***
로마의 모든 건물이 기본적으로 아치 구조의 반복인 이유가 있음. 콜로세움은 수많은 아치를 겹쳐 쌓은 거고, 저 판테온도 아치를 둥굴게 쌓아올린 형태임. 당시 콘크리트로는 2층 정도의 인장력도 견딜 수 없으니 최대한 하중을 주기둥을 따라 아래로 통과시키는 아치형의 반복인 구조를 만듬. | 25.08.30 16:24 | | |
(IP보기클릭)211.227.***.***
https://www.youtube.com/watch?v=9SeVpLghs6o 현대 콘크리트가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수가 있어서임 | 25.08.30 18:15 | | |
(IP보기클릭)211.217.***.***
(IP보기클릭)122.38.***.***
(IP보기클릭)203.229.***.***
로마도 여러번 털린곳이라ㅋㅋ | 25.08.30 17:39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1.145.***.***
(IP보기클릭)118.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