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조건 서비스로 가야한다?
서비스로 가면 장점은 단 한가지 "최신 기술을 사용한다"
연봉은? 서비스 스타트업이면 SI와 비슷한 초봉 수준.
초봉부터 엄청난 연봉을 바란다면 네카라쿠배 수준으로 가야.
-
2. SI는 연봉이 짜다?
소문과 다르게 연봉이 짜지 않다.
앞서 말했듯이 초봉 수준이 서비스 스타트업과 SI기업 서로 비슷하다.
그리고 SI기업에서 경력만 어느 정도 쌓여도 5,000 이상 받을 수 있다.
-
3. 개발자는 항상 공부해야 한다?
SI기업만 한정한다면 꼭 그렇지는 않다.
한 기술을 배워서 10년 이상 해당 기술로만 먹고 사는 사람도 있고.
나중에는 아예 코딩을 안 하는 경력자도 생긴다. PM / PL도 아니면서.
때문에 10년 이상 경력으로 연봉 5,000 6,000 이상 받으면서
코딩 작업 하나 안 하는 개발자도 존재한다,
이런 개발자는 욕 먹으면서 프로젝트를 전전하면서 돌던가.
욕 먹는 게 지겨우면 치킨집을 차리고는 한다.
사실 결국 욕 안 먹는 개발자는 항상 공부하는 개발자긴하다.
-
결론
- 서비스 기업만이 개발자 커리어 해답은 아니다.
- SI기업 연봉은 스타트업이랑 비교해도 짠편은 아니다.
- SI기업 개발자는 경력이 깡패라서 경력만 쌓여도 연봉은 오른다.
- SI기업 개발자는 경력이 깡패지만 실력이 없으면 욕 먹으면서 일해야 한다. 싫으면 치킨집.
- SI기업 기준으로 개발 공부가 평생 공부는 아니다. 다만 추후 실력 없는 개발자가 될 수 있다.
(IP보기클릭)123.111.***.***
sw든 hw든 일하면서 이상한 뽕차있는 개발자만큼 골치아픈 존재가 없음..
(IP보기클릭)124.63.***.***
(IP보기클릭)123.111.***.***
sw든 hw든 일하면서 이상한 뽕차있는 개발자만큼 골치아픈 존재가 없음..
(IP보기클릭)218.154.***.***
공감합니다 | 23.11.04 22:20 | | |
(IP보기클릭)182.230.***.***
(IP보기클릭)218.154.***.***
맞습니다 | 23.11.04 22:2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