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리, 네가.. 네티였다고..?
요태까지 날 소겨왓꾼..?"
아쉬바꿈이긴 했지만 셜록스는 얼굴을 봐놓고도 구별을 못하는 아이는 아닙니다.
사실 셜록스는 작품이 끝나기 직전까지 네티의 얼굴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작가가 네티의 얼굴을 감추기 위해 작중에서 사용하는 장치들이 있습니다.
시청자들이 이런 오해를 하게 된 이유는 이런 장치가 애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인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히 살펴봅시다.
1. 깊은 어둠
갑작스럽게 현장이 어두워졌거나, 한줄기 빛도 없는 캄캄한 어둠 속일 경우입니다.
아주 약간의 실루엣과 목소리 정도 밖에 구별할 수 없는 어둠 속이라는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애니메이션을 시커멓게 다 칠해둘 수는 없다보니 시청자 입장에선 '저 거리에서 왜 안보이지?' 싶을 수는 있지만요.
2. 네티의 위치
작품의 무대인 세이카 시는 서양풍의 도시로 단독주택과 고층건물이 상당히 많습니다.
덤으로 네티가 항상 지붕 위나 옥상 등 조명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가까운 듯이 보여도 얼굴을 확인할 만한 빛이 부족하죠.
아마도 밤하늘을 너무 화려하게 그려놓는 바람에 이 부분이 시청자들에게 와닿지 않았던 것 같네요.
3. 머리카락
이 풍성한 앞머리와 귀밑머리, 포니테일을 활용해서 얼굴을 교묘하게 가립니다.
단순한 작화스타일이나 연출이 아니라 원작에서 직접 언급된 부분이기도 합니다.
얼굴을 숙이거나 돌려서 머리카락에 가려지도록 말이죠.
4. 역광&눈뽕
셜록스가 어두운 곳에 있고 네티가 밝은 빛을 등지고 있는 상황이 꽤 많습니다.
가끔은 대놓고 본인이 섬광탄이나 라이트를 써서 눈뽕을 일으키기도 하구요.
범행시간이 대부분 밤이기 때문에 특히 효율적입니다.
5. 신체 부위, 도구 등의 활용
보통은 가지고 있는 마술도구나 목표물로 얼굴을 가리고
정말 위험할땐 팔로 허겁지겁 가립니다.
애들 눈이 워낙 커서 잘 안가려질 것 같지만..
일단 네티 스스로도 철저하게 가립니다.
6. 기타 요인들
겨울날, 전화박스 안에 있는 셜록스에게 사실상 얼굴을 보일 각오로 다가간 네티였지만,
유리에 김이 서려서 얼굴을 볼 수 없었습니다.
물론 이 상황설정은 과학적으로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선 전화박스를 등지고 전화로 이야기하는 것으로 대체되었죠.
리나의 최루탄 공격 때문에 둘다 행동불능이 됐던 상황.
셜록스는 어떻게 여자애한테 화생방공격을 하냐면서 네티를 품에 안아 가스를 막아줍니다.
맘만 먹으면 도망갈 수 있을텐데 이상하게 얌전히 안겨있는 네티.
사실 좋아하는 남자애가 갑자기 안아주니까 좋아서 굳어있었습니다;
어쨌든 기회다 싶어서 얼굴 좀 보자 했는데..
최루탄 때문에 눈물범벅이 돼서 앞을 볼 수 없게 된 셜록스..
리나는 자연재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7. 정말로 얼굴을 볼 수도 있었던 상황
제대로 붙잡아서 코앞에 쓰러뜨렸지만 물속에 빠져서 얼굴도 못보고 눈뽕까지 맞은 셜록스..
이후로 불쌍할 정도로 구르게 되어서 더욱 안타깝네요.
세계관 최강자인 리나에게 잡히는 바람에 끝장날 뻔 했지만 닌포-바꿔치기술을 써서 구사일생한 네티.
바꿔치기 당한 경찰관 아저씨에게 좋은 추억을 심어줄 수 있었습니다.
어느 미친 과학자의 '빛을 쏘면 신상정보를 털 수 있는' 최첨단 기계에게 당할 뻔한 네티.
기계에 자석을 왕창 던져서 고장낸 덕에 아슬아슬하게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치마 속에 눈이 가지만 않았더라면 얼굴을 볼 수도 있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진실된 모습을 비춰준다는 전설의 거울을 훔치려다가 정말로 쌩얼을 들켜버린 네티.
하지만 셜록스는 과학덕후에 현실주의자였다보니 거울 속에 다른 사람이 비친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심지어 네티는 보안경을 쓰고 포니테일 이었는데 거울 속 상은 평소 샐리 모습으로 나왔다보니 더더욱..
결국 눈뽕을 맞아서 잘못 본 것이라고 결론지어버렸지만,
이 사건 이후로 셜록스는 네티가 샐리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게 되죠.
이상형의 여성과 좋아하는 여자애가 동일인물이었으면 하는 독점욕까지 생기게 됩니다.
여차저차 해서 결국 로즈마리의 도움(?)으로 매직미러 반대편에서 그녀의 얼굴을 똑바로 보게 되는 셜록스.
'머리가 풀려야 알아보냐'하는 생각을 하신 분들도 많았지만 그건 사실 연출에 가깝습니다.
유리조각에 머리끈이 풀린건 우연이었고, 로즈마리의 계획은 네티가 매직미러 근처에 왔을 때 셜록스가 얼굴을 확인하게 하는 것이었으니까요.
※ 왜 이 고생을 하면서 얼굴은 안 가리고 다님?
직접적으로 작중에서 언급되지는 않지만, 정황상 샐리의 마술사로서의 프라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완벽한 마술사가 되기 전에는 남들에게 보이면 안된다'는 아빠와의 약속.
샐리에게 있어 누군가에게 잡히거나 얼굴을 보이는 것은 '실패한 마술'이었던게 아닐까 싶네요.
그만큼 자기 실력에 자신이 있기 때문에 가리지 않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럼 목소리는 왜 모름?
한글더빙에서는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일본어로 보면 샐리와 네티의 대사는 느낌이 많이 다릅니다.
걸걸하고 입이 거친 샐리와는 달리, 네티는 아가씨 말투가 섞인 표준어로 부드러운 말투를 사용합니다.
그러다가 한 번은 흥분해서 네티일 때 실수로 샐리처럼 막말을 했다가 셜록스가 위화감을 느끼고 의심했던 사건도 있었네요 ㅎ
바르고 고운말만 쓰던 네티한테 '둔탱이' 소릴 듣고 벙 쪘었는데
얼마 후 샐리한테 똑같은 말을 듣자 데자뷰를 느낀 셜록스.
※ 그래도 바보는 아닌 셜록스
아무리 그래도 이렇게 자주 부대끼다보니 둘이 너무 닮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손을 잡았을 때의 감각, 뒷모습에서 오는 느낌 등..
후반부에는 사실상 둘이 동일인물이라고 생각하게 됐고, 그걸 확인하고 싶어서 꼭 자기 손으로 잡고 싶어하게 되지요.
정말 세상이 방해한다 싶을 정도로 네티 얼굴을 한 번도 못본 셜록스지만
(정말 변신 후 뭐 하나 달라진게 없는데도 알아보지 못하는 웨딩피치)










































(IP보기클릭)115.40.***.***
초딩 시절에 남학생들 대부분이 TV로 봤지만 학교에 가서는 아무도 안 본 척 하는 애니였던.. 이거랑 웨딩피치도..
(IP보기클릭)183.97.***.***
세일러문 추가요
(IP보기클릭)121.130.***.***
애니판 세일러문은 사실 납득하기 어렵긴 하지만, 실사판인 경우는 변신 전 변신 후가 좀 차이가 큽니다.
(IP보기클릭)115.40.***.***
초딩 시절에 남학생들 대부분이 TV로 봤지만 학교에 가서는 아무도 안 본 척 하는 애니였던.. 이거랑 웨딩피치도..
(IP보기클릭)183.97.***.***
야가미 하야테
세일러문 추가요 | 22.06.03 01:58 | |
(IP보기클릭)121.130.***.***
ν-Asurada AKF-0
애니판 세일러문은 사실 납득하기 어렵긴 하지만, 실사판인 경우는 변신 전 변신 후가 좀 차이가 큽니다. | 22.06.03 03:23 | |
(IP보기클릭)121.159.***.***
숨어서 보던 띵작이죠 | 22.06.03 20:02 | |
(IP보기클릭)1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