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사회] 러, '말 타고 돌격' 기마부대 훈련…최첨단 현대전 한계(종합) [14]


profile_image


profile_image (4579180)
2 | 14 | 2487 | 비추력 12861739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4
1
 댓글


(IP보기클릭)115.138.***.***

BEST
별로 효과가 없을 거라고 보긴 하지만, 저런 시도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1) 지뢰 차량 이동은 자폭드론과 포병 같은 원거리 타격 무기로 인해 제약되지만, 여기에 지뢰로 인한 피해도 꽤 됩니다 그래서 소수나마 전차가 돌격을 선도하는데, 그나마 지뢰에 걸려도 일반 차량이나 BTR 같은 보병수송차보다는 그나마 좀 버텨주기 때문입니다 한번의 지뢰 타격을 받은 전차가 그래도 계속 전진하는 모습들이 꽤 보여지죠 그래서 차량 기동로가 아닌 곳을 기동할 수단으로 기마를 고려해 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군은 소규모로 분산된 야간 보병 침투를 어쩔 수 없이 많이 사용하는데, 도보 이동은 속도가 느려 드론에 발각될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궁여지책으로 기마는 어떨까 하는 거 같습니다 2) 러시아 생산 역량 2차세계대전의 기억 때문에 러시아군이 전투용 차량을 마구마구 찍어내는 거 같지만, 러시아 생산력은 한계에 봉착해 있습니다 박물관 차량도 꺼내서 투입한 사례가 있을 정도죠 전쟁 초기엔 보유 전차와 전투차량으로 시작했지만, 너무 많은 전차와 전투차량을 잃게 되어, 비축되어 있던 차량을 정비하고 수리하여 투입해 왔습니다 그런데,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비축된 차량 중 정비/수리로 살릴 수 있는 상태 좋은 차량은 거의 소진되어, 비축 차량을 살리려면 점점 더 정비/수리 시간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이전보다 보충 능력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러시아군 하면, 전차부대와 차량화소총부대가 전쟁 전에 가장 일반적인 부대 형태였지만, 점점 더 이름만 차량화부대인 보병 부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투입된 러시아군 병력 수가 대략 60~70만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우크라이나에 투입되지 않은 전차를 포함하여 러시아군 전차 총 보유수는 3000대 남짓으로 추산됩니다 한국군 육군 병력이 35만 남짓에 전차 2300대를 보유한 것과 비교해 러시아군의 병력 대비 전차 수량이 더 적은 상황이 온 것이죠 전차와 보병장갑차의 돌격이 비효율적인 전장 환경이기도 하고, 러시아군의 전투차량 보유 수량이 악화된 상태여서, 러시아군은 소규모 보병 돌격(대규모 보병이 모이면 드론에 쉽게 탐지되어 학살당합니다)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저런 기마를 사용한 아이디어도 나올 법 한 거죠
25.10.02 23:00

(IP보기클릭)221.166.***.***

BEST
차량에 보병들 싣고가다 드론맞고 폭사 하니 오토바이로 피해 볼려고 했는데 오토바이도 드론 맞고 폭사 근데 말이라고 드론을 피할수 있을까?
25.10.02 22:21

(IP보기클릭)49.166.***.***

BEST
이동네는 곰을 타야지....
25.10.02 22:45

(IP보기클릭)222.105.***.***

BEST
그러게요 드론하고 AI기술 접목해서 자동으로 조준하는 기술 나오니 마니 하는시대인데 ...
25.10.02 22:37

(IP보기클릭)112.170.***.***

BEST
그 유명한 폴란드 기병도 총 앞에선 그냥 gg 친걸로 아는데요... 그 전에 몽골한테도 털리고요
25.10.02 22:40

(IP보기클릭)221.166.***.***

BEST
차량에 보병들 싣고가다 드론맞고 폭사 하니 오토바이로 피해 볼려고 했는데 오토바이도 드론 맞고 폭사 근데 말이라고 드론을 피할수 있을까?
25.10.02 22:21

(IP보기클릭)222.105.***.***

BEST
Zione
그러게요 드론하고 AI기술 접목해서 자동으로 조준하는 기술 나오니 마니 하는시대인데 ... | 25.10.02 22:37 | | |

(IP보기클릭)221.166.***.***

멋진 신세계
이제 대드론 레이더 재머 CIWS 같은거 없이 전장에 나가는건 거의 자살행위 라고 봅니다 | 25.10.02 22:40 | | |

(IP보기클릭)112.170.***.***

Zione
사이언스 베슬이 스크에서 최종병기인 이유가 이제 설명되는군요... | 25.10.02 22:41 | | |

(IP보기클릭)112.170.***.***

BEST
그 유명한 폴란드 기병도 총 앞에선 그냥 gg 친걸로 아는데요... 그 전에 몽골한테도 털리고요
25.10.02 22:40

(IP보기클릭)112.170.***.***

바건부
총이 아니라 전차던가... | 25.10.02 22:44 | | |

(IP보기클릭)115.40.***.***

바건부
그 기병들 기계화 기병들이었고 그 이상한 병과가 탄생한 이유는 예산 문제로 전차 도입이 늦음. 기병이 대전차 무기 싣고 다니거나 지원화기 싣고 다녔다고 함. 그 폴란드 그들이 끝까지 싸운 이유는 폴란드 주력 부대인 보병 부대의 전멸을 막기 위한 희생이었다고 함. | 25.10.03 00:24 | | |

(IP보기클릭)115.40.***.***

바건부
https://m.ruliweb.com/family/212/board/300063/read/30577985 이거 읽어보셈 | 25.10.03 00:24 | | |

(IP보기클릭)49.166.***.***

BEST
이동네는 곰을 타야지....
25.10.02 22:45

(IP보기클릭)118.235.***.***

솔직히 핵쓰면 금방 끝날텐데 그만큼 리스크가 커서 그런가?
25.10.02 22:59

(IP보기클릭)203.229.***.***

초시공인간
4. 미합중국, 러시아 연방,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은 우크라이나가 핵무기비확산조약의 비핵무기국가로서 만약 핵무기를 사용하는 침략행위의 피해국이 되거나 침략위협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경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즉각적인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조치를 모색 하겠다는 그들의 약속을 재확인한다.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라서 핵쓰는 순간 미국도 지원의무가 생김. 그리고 전세계가 등 돌릴수밖에 없고, 우크라이나는 설령 점령에 성공하더라도 평생의 원수지간이 됨. | 25.10.03 00:01 | | |

(IP보기클릭)218.144.***.***

초시공인간
영국가 러시아가 핵 쓰면(어디로든) 핵 공격 한다고 장담했음 | 25.10.03 00:14 | | |

(IP보기클릭)221.154.***.***

초시공인간
핵이라는건 국가존립의 위기에 방어적으로만 사용해야지 공격목적으로 쓰는순간 확전되고 잘못하면 세계대전됩니다. | 25.10.03 06:36 | | |

(IP보기클릭)115.138.***.***

BEST
별로 효과가 없을 거라고 보긴 하지만, 저런 시도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1) 지뢰 차량 이동은 자폭드론과 포병 같은 원거리 타격 무기로 인해 제약되지만, 여기에 지뢰로 인한 피해도 꽤 됩니다 그래서 소수나마 전차가 돌격을 선도하는데, 그나마 지뢰에 걸려도 일반 차량이나 BTR 같은 보병수송차보다는 그나마 좀 버텨주기 때문입니다 한번의 지뢰 타격을 받은 전차가 그래도 계속 전진하는 모습들이 꽤 보여지죠 그래서 차량 기동로가 아닌 곳을 기동할 수단으로 기마를 고려해 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군은 소규모로 분산된 야간 보병 침투를 어쩔 수 없이 많이 사용하는데, 도보 이동은 속도가 느려 드론에 발각될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궁여지책으로 기마는 어떨까 하는 거 같습니다 2) 러시아 생산 역량 2차세계대전의 기억 때문에 러시아군이 전투용 차량을 마구마구 찍어내는 거 같지만, 러시아 생산력은 한계에 봉착해 있습니다 박물관 차량도 꺼내서 투입한 사례가 있을 정도죠 전쟁 초기엔 보유 전차와 전투차량으로 시작했지만, 너무 많은 전차와 전투차량을 잃게 되어, 비축되어 있던 차량을 정비하고 수리하여 투입해 왔습니다 그런데,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비축된 차량 중 정비/수리로 살릴 수 있는 상태 좋은 차량은 거의 소진되어, 비축 차량을 살리려면 점점 더 정비/수리 시간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이전보다 보충 능력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러시아군 하면, 전차부대와 차량화소총부대가 전쟁 전에 가장 일반적인 부대 형태였지만, 점점 더 이름만 차량화부대인 보병 부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투입된 러시아군 병력 수가 대략 60~70만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우크라이나에 투입되지 않은 전차를 포함하여 러시아군 전차 총 보유수는 3000대 남짓으로 추산됩니다 한국군 육군 병력이 35만 남짓에 전차 2300대를 보유한 것과 비교해 러시아군의 병력 대비 전차 수량이 더 적은 상황이 온 것이죠 전차와 보병장갑차의 돌격이 비효율적인 전장 환경이기도 하고, 러시아군의 전투차량 보유 수량이 악화된 상태여서, 러시아군은 소규모 보병 돌격(대규모 보병이 모이면 드론에 쉽게 탐지되어 학살당합니다)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저런 기마를 사용한 아이디어도 나올 법 한 거죠
25.10.02 23:00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