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ce74\uc81c\ub098","rank":0},{"keyword":"\ub864","rank":0},{"keyword":"\uc544\uc774\uc6282","rank":5},{"keyword":"\uc2a4\ud0c0\uc138\uc774\ube44\uc5b4","rank":1},{"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3},{"keyword":"\uc544\uc774\uc628","rank":3},{"keyword":"\ub9bc\ubc84\uc2a4","rank":-2},{"keyword":"\ubc84\ud29c\ubc84","rank":-2},{"keyword":"\uc774\uc774\uacbd","rank":"new"},{"keyword":"\uba85\uc870","rank":-2},{"keyword":"\u3147\u3147\u3131","rank":1},{"keyword":"\ub358\ud30c","rank":6},{"keyword":"\ub2c8\ucf00","rank":-2},{"keyword":"\uc6d0\ud53c\uc2a4","rank":-1},{"keyword":"\ub9d0\ub538","rank":-5},{"keyword":"\uc6d0\uc2e0","rank":0},{"keyword":"\uc18c\uc804","rank":-2},{"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1},{"keyword":"@","rank":2},{"keyword":"\uc77c\ubcf8","rank":-6},{"keyword":"\uc820\ub808\uc2a4","rank":-1}]
(IP보기클릭)124.35.***.***
(IP보기클릭)223.38.***.***
터빈 발전기는 원자로에서 나온 열로 물을 끓여서 그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건데 증기만 터빈 안돌리고 다른쪽으로 빼는거라 전혀 문제 없어요 | 22.09.06 09:58 | | |
(IP보기클릭)175.210.***.***
(IP보기클릭)223.33.***.***
전력을 생산하면 안되는 상황에서 정지되는 메카니즘이면 문제없죠 | 22.09.06 10:18 | | |
(IP보기클릭)223.33.***.***
원안위 관계자는 6일 “한수원에서 태풍의 영향으로 오전 6시 쯤 신고리 1호기 발전이 중단됐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스위치야드 쪽 문제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현장에 바람이 계속 불고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에는 좀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위치야드는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을 송전선로로 공급하거나 외부 전력을 수전받기 위해 설치돼 있는 전력설비를 말한다. | 22.09.06 10:19 | | |
(IP보기클릭)175.210.***.***
그게 메카니즘이면 기사가 "정지시켰다"로 나오겠죠.. 그것보다도 정상 프로세스면 애초에 기사가 안나오겠죠.. | 22.09.06 10:22 | | |
(IP보기클릭)223.33.***.***
메카니즘입니다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되있는겁니다 퓨즈같은게 왜 있나요? 과부하 미리 막으려고 끊으려고 있는데 퓨즈를 사람이 끊나요? | 22.09.06 10:25 | | |
(IP보기클릭)175.210.***.***
원인파악이 안된다는게 정상인가요? 태풍오면 끊어지도록 되어있는 후즈인가요? 태풍오면 무조건 과부하걸리나요? | 22.09.06 10:28 | | |
(IP보기클릭)223.33.***.***
한수원은 힌남노 통과에 대비해 고리 원전에 가동 중인 고리 2~4호기와 신고리 1호기의 출력을 30% 이하까지 내려 가동 중인 상태다. 강풍 등에 의한 전력설비 고장으로 발전이 갑자기 중단될 경우 전력망에 주는 충격을 대비하기 위한 사전 조처다. 이에 따라 신고리 1호기의 원자로는 27%의 출력으로 정상가동 중이다. 이미 저부하운전시킨거에 전력설비 고장이라고 쓰여있죠? 외부에 노출된 전력시설도 많고 비도 많이 오고 있습니다 감전 몰라요? 태풍때 감전 사망자가 발생하는게 님같이 닥달하다가 발생하는 겁니다 상황파악이 늦어질 수 있는겁니다 오히려 원인 모를때는 자동으로 끊기는게 맞는겁니다 | 22.09.06 10:32 | | |
(IP보기클릭)175.210.***.***
기사의 내용으로 애기하던가. 참고하는 내용을 퍼오던가. 전략설비고장이 단순 태풍때문이면 그것부터가 설계요구부족인거고 노후화등이면 유지보수관리미비인거고. 과부하를 막기위한 시스템이 있는것과는 별개로. 과브하걸리는 상황이 생긴게 문제인거죠.. 비올때 집이 정전되면. 아 정상적으로 누전을 차단했구나 라고 생각하고 마나요? 집안배선이 누전되는 이유를 찾고 보완해야지! | 22.09.06 10:42 | | |
(IP보기클릭)223.33.***.***
https://m.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57652.html 이기사 참고 하시고요 태풍으로 전선 끊어지고 그러면 애초에 답없어요 완벽한 기계는 없습니다 모든 고장에 대비해야 정상입니다 출력을 낮추고 빠르게 기기를 정지할 수 있는게 이미 그 조치입니다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기계는 최소한으로 돌리는게 가장 좋은 조치입니다 | 22.09.06 10:46 | | |
(IP보기클릭)223.33.***.***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783715?sid=102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483710 태풍 및 장마내 감전사관련 해당 기사들도 찾아보고 생각해보세요 과연 닥달할 일인가요 | 22.09.06 10:47 | | |
(IP보기클릭)223.33.***.***
https://busanmbc.co.kr/article/JnqorVWRUn 공업사하시는 분이 태풍에 누전체크하다가 감전되는 기사입니다 비 다 그치고 바람도 잦아든 상태에서 점검하는게 맞는겁니다 | 22.09.06 10:50 | | |
(IP보기클릭)175.210.***.***
위험하지말자고 애기하는겁니다. 취약한부분이 있다면 그분이 더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거고. 더우기 원전이면 더윽 세심해야겠죠.. 전혀라는 말을 쓰몀 안되죠. | 22.09.06 10:56 | | |
(IP보기클릭)112.220.***.***
취약한 부분이 있으니까 기계를 빨리 정지할 수 있도록 미리 조치한겁니다 저부하로 운전했잖아요 위험할땐 최소한으로 돌리는게 가장 좋은 조치입니다. | 22.09.06 10:59 | | |
(IP보기클릭)112.220.***.***
위험해지는건 전기를 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닌데 계속 운전되서 터져버리는게 문제이고요 폴스 알람이든 진짜 고장이든 전력계통의 문제가 발생됐고 파악이 어려울땐 정지되는것만큼 안전한 상황이 없다는겁니다 | 22.09.06 11: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