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잡담] 대우주시대는 영원히 안 올 것 같지 않나요? [15]




(4128872)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6482 | 댓글수 15
글쓰기
|

댓글 | 15
1
 댓글


(IP보기클릭)110.46.***.***

BEST
가능하냐 아니냐를 놓고보자면 가능합니다 시간의 문제죠
16.09.21 04:26

(IP보기클릭)180.224.***.***

BEST
우리는 답을 찾을것이다 늘 그랬듯이
16.09.21 08:12

(IP보기클릭)110.70.***.***

BEST
어딘가 방법이 존재 할겁니다. 역사상으로 지금까지 그래 왔던것 처럼요. 머지 않아 도래할 초인공지능에게 그것을 맡기는 것도 좋겠네요.
16.09.21 00:52

(IP보기클릭)118.36.***.***

BEST
무인탐사선은 막 태양권계면까지 보내니 뭐니 해도 정작 인간이 지구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곳 까지 간건 아폴로13호때 다른 달 비행보다 100km 높은 고도로 달 뒷면을 돈 경우입니다. 즉 지구로부터 약 38만km 까지 간게 제일 멀리 간거죠. 27명이 갔다온 달탐사를 제외한 유인우주비행 대부분은 최대고도 432km 인 ISS나 허블망원경의 559km 이며 이 궤도는 대기권 중 열권(Thermosphere)에 속하는 영역입니다. 뭐 여기도 나가면 죽긴 합니다만요.. 장거리 우주 여행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아요. 달까지 가는거야 3~4일밖에 안걸리는지라 기본적인 물질순환장치만 구비해놓고 다른 자원은 저장자원으로 이용하면 그만이지만, 그 이상 - 말그대로 무기한 여행을 가는거라면 그때부턴 완전한 에너지 순환이 이뤄지는 생태계가 필요한데 아직 성공한 적이 없습니다. 혹자는 냉동수면? 같은 개념을 말하는데 이건 말그대로 Fiction 입니다. 아직 Scientific 하다는 개념조차 붙일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에요. 미디어물에서 하도 많이 갖다붙여서 간단하다 생각하는데 간단히 말해서 불가능입니다. 과학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몇세대를 거쳐서 해야 할 수준의 우주여행이라면 말그대로 완벽한 사회 수준의 제어가 필요합니다. 디스토피아물에서 묘사되는 개인의 생식마저 조절되는 상황이 어찌 보면 필연적이며, 폐쇄된 시스템 안에서 물질순환을 생각해 본다면 기본적인 종교의 의미마저 변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죽었을때 그 시신은 폐쇄된 시스템에서 철저한 재활용이 필요하거든요. 철저한 유물론적 사고에서 종교적 관념은 발붙일 곳조차 없을수도 있습니다. 즉 어찌보면 지금 우주여행 할때 생각하는 어떤 엔진으로 거길 가지? 하는건 대단히 기본적인 수준일 수 있다는 겁니다만... 갈 수 있을 떄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16.09.23 17:38

(IP보기클릭)110.70.***.***

BEST
어딘가 방법이 존재 할겁니다. 역사상으로 지금까지 그래 왔던것 처럼요. 머지 않아 도래할 초인공지능에게 그것을 맡기는 것도 좋겠네요.
16.09.21 00:52

(IP보기클릭)118.36.***.***

그전에 인류 멸망함.
16.09.21 01:18

(IP보기클릭)112.168.***.***

엄청난 거리를가도가도 끝없는 암흑이라 삭막할듯...지적생명체는 존재할수있지만 동시대에 존재하기도 힘들고... 인간이 지구에서 산것도 지구나이의 극히 일부분이니까여... 우주전체로 보면...
16.09.21 03:33

(IP보기클릭)110.46.***.***

BEST
가능하냐 아니냐를 놓고보자면 가능합니다 시간의 문제죠
16.09.21 04:26

(IP보기클릭)180.224.***.***

BEST
우리는 답을 찾을것이다 늘 그랬듯이
16.09.21 08:12

(IP보기클릭)223.62.***.***

태양계는 벗어날수 있을테고 그 이상은 빛보다 빠른 이동수단을 찾아야겠죠 첨부터 그런수단 자체가 없을 확률 있어도 인간이 찾지못할 확률 저도 불가능하다에 전재산 걸겠습니다
16.09.22 13:31

(IP보기클릭)61.111.***.***

루리웹-354309314
전재산 잃을 확률이 높으신것 같은데... 지구 처럼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곳에서나 강한 추진체를 이용한 로켓이 필요하고 무중력 공간의 우주에서는 약해도 끊임없이 밀어줄 추진력만 있으면 빛의 속도에 맞먹게 날아갈수 있습니다. 원자력 추진으로도 해결 가능하지만 발사시 공중에서 폭발하면 대재앙이 찾아오기 때문에 불가능하고, 이온추진로켓이라던가 신기한 방식이 많이 발견되고 개발되고 있습니다. | 16.09.30 15:53 | |

(IP보기클릭)61.111.***.***

루리웹-354309314
또한 추진체가 없어도 행성의 중력을 이용한 가속으로 큐리오시티가 약 5억킬로를 날아가 9개월만에 도착했습니다. 엄청 빠른 속도죠 | 16.09.30 16:00 | |

(IP보기클릭)1.226.***.***

지금도 단순 추진가속 형태를 벗어난 로켓은 많이 개발되었습니다 실현시킬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것 뿐이죠 빛의 속도를 뛰어넘는 이동방식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봐도 될 정도지만 그래서 논의되는게 웜홀 방식이고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는게 중론입니다
16.09.22 18:36

(IP보기클릭)118.36.***.***

BEST
무인탐사선은 막 태양권계면까지 보내니 뭐니 해도 정작 인간이 지구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곳 까지 간건 아폴로13호때 다른 달 비행보다 100km 높은 고도로 달 뒷면을 돈 경우입니다. 즉 지구로부터 약 38만km 까지 간게 제일 멀리 간거죠. 27명이 갔다온 달탐사를 제외한 유인우주비행 대부분은 최대고도 432km 인 ISS나 허블망원경의 559km 이며 이 궤도는 대기권 중 열권(Thermosphere)에 속하는 영역입니다. 뭐 여기도 나가면 죽긴 합니다만요.. 장거리 우주 여행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아요. 달까지 가는거야 3~4일밖에 안걸리는지라 기본적인 물질순환장치만 구비해놓고 다른 자원은 저장자원으로 이용하면 그만이지만, 그 이상 - 말그대로 무기한 여행을 가는거라면 그때부턴 완전한 에너지 순환이 이뤄지는 생태계가 필요한데 아직 성공한 적이 없습니다. 혹자는 냉동수면? 같은 개념을 말하는데 이건 말그대로 Fiction 입니다. 아직 Scientific 하다는 개념조차 붙일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에요. 미디어물에서 하도 많이 갖다붙여서 간단하다 생각하는데 간단히 말해서 불가능입니다. 과학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몇세대를 거쳐서 해야 할 수준의 우주여행이라면 말그대로 완벽한 사회 수준의 제어가 필요합니다. 디스토피아물에서 묘사되는 개인의 생식마저 조절되는 상황이 어찌 보면 필연적이며, 폐쇄된 시스템 안에서 물질순환을 생각해 본다면 기본적인 종교의 의미마저 변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죽었을때 그 시신은 폐쇄된 시스템에서 철저한 재활용이 필요하거든요. 철저한 유물론적 사고에서 종교적 관념은 발붙일 곳조차 없을수도 있습니다. 즉 어찌보면 지금 우주여행 할때 생각하는 어떤 엔진으로 거길 가지? 하는건 대단히 기본적인 수준일 수 있다는 겁니다만... 갈 수 있을 떄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16.09.23 17:38

(IP보기클릭)125.185.***.***

그렇긴해요 지금의 과학 기술발전 수준으로 봐선 최소 수백년 안에 초 천재가 태어나지 않는다면.. 그냥 목성정도만 가도 감지덕지일듯..
16.09.24 20:14

(IP보기클릭)112.133.***.***

인류문명이 탄생한지 7천년도 안됬는데 벌써 우주를 나다닙니다.
16.09.28 01:19

(IP보기클릭)182.224.***.***

그전에 전쟁이나 질병으로 전멸....
16.09.29 00:42

(IP보기클릭)121.169.***.***

무운
전쟁이나 질병때문에 우주로 나가는게 확실해질듯합니다... | 16.10.09 14:49 | |

(IP보기클릭)125.141.***.***

조선시대 사람이 "앞으로도 유럽여행은 불가능할거야" 라고 말하는거랑 똑같은 거 같네요
16.10.18 14:35


1
 댓글





읽을거리
[게임툰] 완전 게 같은 게임이네... 어나더 크랩스 트레저 (28)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5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4)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7)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3)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2)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57)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6)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50 전체공지 루리웹 공동대표 진인환 입니다. 8[RULIWEB] 2024.06.21
24130356 공지 기본적인 공지사항 (20) smile 12 100566 2015.01.15
30559265 미스테리 미제사건추적살인면허 292 2024.02.23
30559264 잡담 미제사건추적살인면허 316 2024.02.21
30559257 잡담 하늘천사 635 2023.10.27
30559254 경험담 N/News 888 2023.09.26
30559253 질문 루리웹-0936331327 1173 2023.09.01
30559234 잡담 SSoWooRi 2 2897 2022.12.29
30559226 정보 새끼오리새끼 1 4231 2022.10.17
30559224 정보 아T스트 1447 2022.09.08
30559176 미스테리 돌아온leejh 3 13866 2022.03.09
30559166 외계인 개신교가코로나를퍼트린다 4 12180 2022.02.01
30559157 경험담 DokeV! 11 14514 2021.12.29
30559120 질문 루리웹-6935024535 3814 2021.08.31
30559118 질문 JoKEr1206 3663 2021.08.27
30559111 정보 U.Fuck.kkk 8 21397 2021.08.14
30559092 잡담 코코샤넬_ 7488 2021.07.06
30559085 과학 GravityNgc 7122 2021.06.24
30559065 과학 제갈식 4 21889 2021.05.14
30559059 질문 루리웹-6567995454 4239 2021.05.07
30559058 과학 제갈식 3 25286 2021.05.06
30559036 과학 GravityNgc 2 27425 2021.03.25
30559033 잡담 루리웹-6268104724 2 21000 2021.03.22
30559031 과학 UnrealSci 7507 2021.03.19
30559030 과학 루리웹-2885968240 8 26324 2021.03.18
30558995 정보 GravityNgc 5 34403 2021.01.24
30558994 과학 님도굴러요 3 18961 2021.01.23
30558987 과학 GravityNgc 3 28087 2021.01.07
30558978 과학 いかりㆍシンジ 7 28729 2020.12.26
30558972 과학 돌아온leejh 8340 2020.12.20
글쓰기 4202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