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역사] 정치사를 보다보면 내각제는 봉건제의 현대화 버전으로 해석할 수 있음. [16]


profile_image (4795327)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2088 | 댓글수 16
글쓰기
|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211.234.***.***

BEST
의원내각제가 민주주의를 가장 잘 표현한다고? 옆나라 일본뿐만 아니라, 이스라엘도 단독 과반이나 연립정부 못만들면 바로 또 총선해야하고, 벨기에는 1년넘게 정부 구성안돼서 무정부 상태로 국왕이 겨우 설득해서 했고.... 그걸 왜해야돼.... 게다가, 우리나라 국민들이 국가 기관에서 제일 신뢰못하는 직업이 국회의원과 국회인데... 왜 국회의원에게 나라를 책임질 정부수반을 뽑을 권리를 줘야함?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투표권 용지 1장 가지려고 수십년간 투쟁해서, 1987년에야 겨우 얻었는데.... 왜 그걸 국회의원에게 넘기냐고.
24.04.14 14:26

(IP보기클릭)218.235.***.***

BEST
혁명을 통해 군주 목을 자르고 민주정부를 세운 곳이거나, 신생 독립국이 되었는데, 주변에 적이 많은 경우는 거진 대통령제를 통해 권력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더라. 군주제였는데 그걸 피의 혁명으로 부정하는 경우, 지방 귀족들을 억누르기 위해서는 당연히 중앙집권적이고 권력 집중화를 해야 했고, 신생 독립국이 주변에 적이 많은 경우도 당연히 빠른 의사 결정 및 집중적인 권력 행사와 무력 투사를 해야 했으니 대통령제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음. 한국이 대한 제국에서 입헌 군주제가 되었다면, 의원 내각제를 하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실효 지배하는 영토를 가진 국가로서는 70여년의 역사 밖에 없는 공화국인 한국이 주변에 저 많은 강대국이 있는데, 의원 내각제를 한다??? 말이 안됨. 대통령이 되지 못하는 인간이 총통이 되고 싶어서 의원 내각제를 부르짖는 것임.
24.04.14 14:21

(IP보기클릭)211.234.***.***

BEST
'있는 인간들끼리 끼리끼리 짬짜미로 모든 권리를 다 누리고 싶다' 조직이나 집단의 도덕성이 시궁창 그 자체인 곳에서 내각제니 이중정부따위는 논할 가치도 없다고 봄.
24.04.14 14:26

(IP보기클릭)123.111.***.***

BEST
같은 유럽이라도 프랑스 같이 중앙집권이 강했던 나라는 대통령제지. 정확히는 이원집정부제지만 포커스는 대통령쪽에 맞춰져있을뿐더러 대통령측의 권한도 막강했고
24.04.14 14:15

(IP보기클릭)41.221.***.***

BEST
낯설게 왜 똑똑한 얘기 하는겨
24.04.14 14:14

(IP보기클릭)120.142.***.***

BEST
섹. 스.
24.04.14 14:15

(IP보기클릭)123.111.***.***

BEST
번국은 지역구로, 다이묘는 국회의원으로
24.04.14 14:14

(IP보기클릭)41.221.***.***

BEST
낯설게 왜 똑똑한 얘기 하는겨
24.04.14 14:14

(IP보기클릭)120.142.***.***

BEST 불멸의언데드
섹. 스. | 24.04.14 14:15 | | |

(IP보기클릭)123.111.***.***

BEST
번국은 지역구로, 다이묘는 국회의원으로
24.04.14 14:14

(IP보기클릭)123.111.***.***

BEST
평타
같은 유럽이라도 프랑스 같이 중앙집권이 강했던 나라는 대통령제지. 정확히는 이원집정부제지만 포커스는 대통령쪽에 맞춰져있을뿐더러 대통령측의 권한도 막강했고 | 24.04.14 14:15 | | |

(IP보기클릭)120.142.***.***

평타
일본 제국의회를 뒤지면 귀족원은 다이묘로만 구성되었고 그게 결국 척결되긴했는데 사실상 중의원에 재배치된거라 딱히 다를게 없음 | 24.04.14 14:18 | | |

(IP보기클릭)120.142.***.***

평타
태양왕 루이가 베르사유에 귀족들 가둬놓고 사치를 시키는 바람에 귀족들이 가난해서 생긴 일이 아니었을까 싶다.. | 24.04.14 14:19 | | |

(IP보기클릭)218.235.***.***

BEST
혁명을 통해 군주 목을 자르고 민주정부를 세운 곳이거나, 신생 독립국이 되었는데, 주변에 적이 많은 경우는 거진 대통령제를 통해 권력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더라. 군주제였는데 그걸 피의 혁명으로 부정하는 경우, 지방 귀족들을 억누르기 위해서는 당연히 중앙집권적이고 권력 집중화를 해야 했고, 신생 독립국이 주변에 적이 많은 경우도 당연히 빠른 의사 결정 및 집중적인 권력 행사와 무력 투사를 해야 했으니 대통령제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음. 한국이 대한 제국에서 입헌 군주제가 되었다면, 의원 내각제를 하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실효 지배하는 영토를 가진 국가로서는 70여년의 역사 밖에 없는 공화국인 한국이 주변에 저 많은 강대국이 있는데, 의원 내각제를 한다??? 말이 안됨. 대통령이 되지 못하는 인간이 총통이 되고 싶어서 의원 내각제를 부르짖는 것임.
24.04.14 14:21

(IP보기클릭)39.125.***.***

DestroyCCP
프랑스도 그런 맥락에서 볼 수 있으...려나...? | 24.04.14 14:23 | | |

(IP보기클릭)120.142.***.***

DestroyCCP
우리도 군주 목이 잘린 나라인데 그 나라를 해방시킨 국가가 오늘날 민주주의 쿠팡맨인 미군맨이라.. 당연히 미쿡식 민주주의를 받아들일 수 밖에.. 초대 의회 삽질이 참 많긴 한데 미쿡식 간선제가 아니라 직선제 택한건 잘 한것 같어 | 24.04.14 14:23 | | |

(IP보기클릭)218.235.***.***

새로운아이디ʕ·͡˔·Ɂ
간선제야... 미국은 어쩔 수 없긴 했지. 지금 보면 이상하지만, 당시에 말타고 편지를 전해야 하던 시기라... 그리고 미국 땅이란게 조금씩 늘었잖아. 그러다 보니 미국 편에 서겠다고 하는 영토들이 하나씩 생겨나게 된 것이라... 각각의 영토에서의 주민들의 자치권 희망도 엄청났었고. | 24.04.14 14:25 | | |

(IP보기클릭)123.111.***.***

새로운아이디ʕ·͡˔·Ɂ
우리나라 초창기엔 간선제였어. 런승만이 자기가 간선제로 재선 못 해먹을 각 나오니까 직선제 개헌했지 ㅋㅋ | 24.04.14 16:12 | | |

(IP보기클릭)120.142.***.***

평타
아아.. | 24.04.14 17:32 | | |

(IP보기클릭)218.235.***.***

평타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투표권 용지 1장 가지려고 수십년간 투쟁해서, 1987년에야 겨우 얻었는데.... 왜 그걸 국회의원에게 넘기냐고.(2) | 24.04.14 19:26 | | |

(IP보기클릭)123.111.***.***

DestroyCCP
딱히 간선제가 옳다는 말은 안 했는데? 제헌국회와 1대 대통령 선거는 간선제로 치뤘다가 런승만이 재선각 안 나오니까 직선제 개헌한건 사실이라 언급한거지 애초에 지금은 시간이 많이 지났고 직선제에 의미부여까지 된 상황에서 직선제에서 바꾸자 하는 양반들은 거의 프락치라 봐야지 ㅋ | 24.04.14 21:28 | | |

(IP보기클릭)211.234.***.***

BEST
'있는 인간들끼리 끼리끼리 짬짜미로 모든 권리를 다 누리고 싶다' 조직이나 집단의 도덕성이 시궁창 그 자체인 곳에서 내각제니 이중정부따위는 논할 가치도 없다고 봄.
24.04.14 14:26

(IP보기클릭)211.234.***.***

BEST
의원내각제가 민주주의를 가장 잘 표현한다고? 옆나라 일본뿐만 아니라, 이스라엘도 단독 과반이나 연립정부 못만들면 바로 또 총선해야하고, 벨기에는 1년넘게 정부 구성안돼서 무정부 상태로 국왕이 겨우 설득해서 했고.... 그걸 왜해야돼.... 게다가, 우리나라 국민들이 국가 기관에서 제일 신뢰못하는 직업이 국회의원과 국회인데... 왜 국회의원에게 나라를 책임질 정부수반을 뽑을 권리를 줘야함?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투표권 용지 1장 가지려고 수십년간 투쟁해서, 1987년에야 겨우 얻었는데.... 왜 그걸 국회의원에게 넘기냐고.
24.04.14 14:26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1)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0)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5)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31206849 공지 정치 유머게시판 통합 공지 - 추가 (2020.03.22) _[RULIWEB] 90 5211031 2017.05.12
31150611 정치 루리웹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명왕' 문재인입니다. (2357) 레알명왕 8367 10282371 2017.05.04
BEST 액트지오한테 밀려서 탈락한 업체들 (14) 루리웹-228015560 82 5890 01:14
BEST 우리 아부지가 보낸 카톡... 진짜 답이 없다고밖에 말이 안나온다 (32) 엑스트라버진들기름 121 10632 00:06
37409948 사회 새대가르 4 11:23
37409947 정치 r403 2 11:23
37409946 정치 레이팡 8 11:22
37409945 잡담 살림눈팅족 1 13 11:21
37409944 사회 로건-울버린 1 57 11:19
37409943 잡담 Whereismo 1 35 11:18
37409942 잡담 누구지효3412 2 23 11:17
37409941 잡담 줄리아 드림 2 29 11:17
37409940 잡담 누구지효3412 5 63 11:14
37409939 팬아트 (주)예수그리스도 3 70 11:13
37409938 국제 K55 2 93 11:13
37409937 사회 막산!막산?막산!! 43 11:12
37409936 사회 나에게돌을 1 78 11:12
37409935 잡담 왕꼬추 1 39 11:12
37409934 잡담 莊子(장자) 6 66 11:12
37409933 유머 선지자 손웅정 26 11:12
37409932 잡담 ▶◀버스죽돌이 2 20 11:11
37409931 유머 Whereismo 27 11:11
37409930 잡담 팬티업고튀어٩(ŏꇴ ŏ✿)و 20 11:10
37409929 잡담 삐딱피카 74 11:10
37409928 정치 도다리님 5 55 11:09
37409927 잡담 대감집노비 12 11:09
37409926 잡담 줄리아 드림 6 65 11:09
37409925 잡담 루리웹-7282943249 31 11:08
37409924 정치 eunche319 2 49 11:08
37409923 잡담 우물꾸물 2 65 11:07
37409922 잡담 파인에플이아니라아나나스 4 64 11:06
37409921 정치 13번째닉네임 16 459 11:06
글쓰기 5083606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