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학업] 혹시 전기기사 취득하신분들 계시나요? [36]


profile_image


(5305798)
1 | 36 | 2647 | 비추력 14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36
1
 댓글


(IP보기클릭)221.157.***.***

BEST
현직자 입니다. 저도 자격증 취득후 이직한 케이스인데... 솔직히 말하면 노력에비해 저평가 되어있는 자격증입니다. 광고는 다들 그럴싸하게 하는데 취득한다고 드라마틱하게 인생 안바뀝니다. 시설쪽이시면 기계자격증을 추천드립니다. 소방은 당연히 따라오는거구요.
25.11.16 13:20

(IP보기클릭)223.39.***.***

BEST
공공기관 잡알리오나 이런데 보시면 모집 많이 합니다. 타이밍이 중요하니 갖추면서 기회보시면 자리 나옵니다. 그리고 간혹 일부 공공기관은 무기계약직도 나쁘지 않아요. 호봉만 없는거지 연봉인상은 똑같이 됩니다. 단지 정직에 비해 처우가 조금 안좋겠죠. 자격증 따면서 스텝업 한다 생각하고 잡알리오나 카페 같은데 눈팅 많이 하시면 올라와요. 그리고 꼭 범위를 한정해서 시설관리직으로만 보지마시고 넓게 기술직 모집으로 보시면 좋을듯. 하는일은 비슷해요. 그리고 채용형 인턴으로 수시모집하는기관도 있으니 잘 보시면 있습니다. 화이팅!
25.11.22 07:56

(IP보기클릭)218.237.***.***

BEST
전기기사 취득이 우선이시면 기출을 외울깨까지 보시면 그다지 어렵진 않습니다 물회차는 필기취득후 6번내에 2번이상은 옵니다 전기가 양질의 자료가 많아 취득이 어렵진않고 자격증 가치가 낮아져서 메리트가 없어요
25.11.16 12:16

(IP보기클릭)182.212.***.***

BEST
굳이 산업 기사를 따지 마시고 그냥 그 시간에 계속 전기 기사 공부를 하세요 전기 기사 정년 하신 분들 하루에 6~10시간 1년 공부 해서 대부분 합격하십니다
25.11.16 12:36

(IP보기클릭)125.134.***.***

BEST
전기기사(쌍기사) 경력 18년차 입니다. 20대때부터 시설관리 했고 벌써 낼 모레 40대 중반이네요. 현재는 시설관리에서 공공기관(공기업) 정직원 근무 중입니다. 공공기관은 전기기사가 아직도 제일 중요하고요, 민간업체 뺑뺑이 돌지 마시고요 공공기관으로 이직 준비하면서 자격증 준비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민간도 대기업 직영도 있어봤는데, 걍 공공기관이 낫습니다; 저도 고등학교때 수포자였는데, 전기기사는 수학문제가 많이 나오긴 하는데 1차는 수학이랑 상관없습니다. 2차는 좀 다른 얘기.... 여하튼 화이팅 하십시요! 저도 20대때 시설관리 들어와서 맞교대 하면서 멘탈잡으면서 공부 했던 기억이 나네요;;
25.11.17 09:07

(IP보기클릭)221.163.***.***

기사보다 기능사를 먼저 따셔야할거 같은데요. 기사는 시험에 응시하려면 기능사로 관련 직종에 몇년간 재직해야합니다.
25.11.16 12:05

(IP보기클릭)211.235.***.***

komyammi
큐넷에 요건확인해보니 전기기사 자격됩니다. 제가 다른기사자격증을따서 산업기사3개랑 | 25.11.16 12:22 | |

(IP보기클릭)211.235.***.***

스오우 모모코
처음기사딸때 106학점해서 요건은되는편입니다 | 25.11.16 12:27 | |

(IP보기클릭)218.237.***.***

BEST
전기기사 취득이 우선이시면 기출을 외울깨까지 보시면 그다지 어렵진 않습니다 물회차는 필기취득후 6번내에 2번이상은 옵니다 전기가 양질의 자료가 많아 취득이 어렵진않고 자격증 가치가 낮아져서 메리트가 없어요
25.11.16 12:16

(IP보기클릭)211.235.***.***

루리웹-0395215961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이 격일제 직종이 전기기사필요해서 | 25.11.16 12:28 | |

(IP보기클릭)14.54.***.***

학원강의 듣고 싶으시면 다산에듀 대산전기 추천드리고 그냥 유튜브로 공짜 강의 들으셔도 됩니다 우선 수학에 자신업으시면 전기기사 관련 수학강의는 꼭 들으시고 이론 정주행은 적어도 한번은 하세요 그다음 기출문제만 주구장창 풀면됩니다 필기시험에 자신없으시면 시험날짜 최대한 늦추고 각 학원에서 문제유출한거 유튜브로 올린거 꼭 보고 가세요 실기는 진짜 운빨과 공부량에 달렸으니 열심히 하는거 밖에 답이 없습니다 기사는 2년 산업기사는 4년후 전기선임이 가능하니 왠만하면 시험자격되면 기사로 보세요 아니면 둘다 시험응시하셔도 됩니다
25.11.16 12:32

(IP보기클릭)211.235.***.***

제시켜라
넵 혹시 대산전기가 비전공에괜찬나요? 하루3시간 비번날6시간이면 충분하죠? | 25.11.16 12:48 | |

(IP보기클릭)14.54.***.***

스오우 모모코
내년 필기 1회가 2월달에 있을테니 최소 3.5개월 정도 있으니 꾸준히만 하시면 됩니다 | 25.11.16 13:12 | |

(IP보기클릭)211.235.***.***

제시켜라
| 25.11.16 16:58 | |

(IP보기클릭)182.212.***.***

BEST
굳이 산업 기사를 따지 마시고 그냥 그 시간에 계속 전기 기사 공부를 하세요 전기 기사 정년 하신 분들 하루에 6~10시간 1년 공부 해서 대부분 합격하십니다
25.11.16 12:36

(IP보기클릭)211.235.***.***

스스로합리화되자
옙 기사가어려워서 산기로가려했는데 기사해야갯군요 | 25.11.16 12:46 | |

(IP보기클릭)61.75.***.***

스오우 모모코
기사나 산업기사 난이도 그렇게 차이 없어요. 그냥 기사 가시면 됩니다. | 25.11.16 13:15 | |

(IP보기클릭)182.212.***.***

스오우 모모코
산기 따는 이유는 경력 조건 때문에 산기 따고 조금 빨리 기사 시험을 응시하기 위함입니다 그 시간에 그냥 기사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25.11.16 14:31 | |

(IP보기클릭)211.235.***.***

스스로합리화되자
넵 감사합니다 | 25.11.16 16:57 | |

(IP보기클릭)221.157.***.***

BEST
현직자 입니다. 저도 자격증 취득후 이직한 케이스인데... 솔직히 말하면 노력에비해 저평가 되어있는 자격증입니다. 광고는 다들 그럴싸하게 하는데 취득한다고 드라마틱하게 인생 안바뀝니다. 시설쪽이시면 기계자격증을 추천드립니다. 소방은 당연히 따라오는거구요.
25.11.16 13:20

(IP보기클릭)211.235.***.***

서승두
넵 감사합니다 | 25.11.16 16:56 | |

(IP보기클릭)58.29.***.***

대산전기학원이 제일 무난하고 믿음직한 학원이죠.. 아버지세대부터 있던 학원이고 (물론 저도 여기 다녔구요) 원장님 바뀐 이후로 온라인쪽으로도 투자 많이해서 전기학원 중에서 유일하게 개선된 케이스이기도 하구요. 개인적으로는 오프라인이면 대산전기학원 온라인만 한다면 배울학 추천드립니다. 여긴 강사진이 다 기술사분들이라 스펙이 넘사벽... 전기기사 자격증 얘기하자면 엄청 길어질텐데요 투입되는 노력대비 아웃풋이 너무 안나오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요즘은 그냥 공공기관 또는 대기업 가점용이라서 더 저평가되었지요 (이렇게 되지가 거의 10년 넘었으니...) 공부는 그냥 시간 꾸준히 들이시면 됩니다. (개인 편차가 워낙 커서...) 저 학원 다닐때 중국어학과 출신 아주머님과 초졸이신 어르신과 같이 공부해서 모두 합격했었네요.
25.11.16 16:33

(IP보기클릭)211.235.***.***

3주완성
아하 그정도군여.혹시 온라인은 대산전기별로인가여.? | 25.11.16 16:57 | |

(IP보기클릭)182.221.***.***

'이론지식을 완벽하게 숙지하고 난 뒤, 그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풀것이다.' 공부하실때 절대 이런 방향으로는 접근하지 마세요. 장담하는데, 뭐빠지게 이론강의 다떼고나서 기출문제 풀려고하면 하나도 안풀리고 눈앞이캄캄해질겁니다. 공부할때 반드시 기출문제풀이가 주가 되어야 합니다. 기출문제들의 유형별 풀이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몸에 익히는게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추천하는 방법은 7~10♥♥♥ 기출 문제를 구해서 최신 1♥♥♥을 먼저 풀어보세요. 당연히 아는게 없으니 못풀겁니다. 문제 해설을 읽어보고 그걸 그대로 한번 풀어보세요. 이해가 안되는거 투성이겠지만 그냥 그대로 모르면 모르는대로 풀어보는겁니다. 그 다음에 이론강의로 넘어가세요. 기출문제에서 미리 예습이 된 상태라 이론강의가 좀 더 머릿속에 잘 들어올겁니다. 그렇게 이론강의를 다 들었으면 다시 기출문제를 푸는데 풀수있는건 풀고 못풀겠는건 그냥 틀리세요. 틀린건 해설을 보면서 그 풀이과정을 제대로 숙지하는겁니다. 이렇게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계속 푸세요. 1회차당 80~90점이 나올때까지. 이 정도 되면 시험을 쳐도 될만큼 준비가 된겁니다. 기출회독을 할때 절대 답만 외우면 망합니다. 풀이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숙지해야합니다. 풀이과정을 보면서 모르겠는건 이론강의를 참고하시구요. 유트브서 이윤규 변호사의 기출회독법 검색해보시고 그 방법으로 공부해 보세요. 개인적으로 교재랑 강의는 다산에듀, 이우순 강사의 린치핀에듀 추천드립니다.
25.11.16 18:17

(IP보기클릭)121.138.***.***

이론을 완전버리면 안되고요. 가능하면 기사 산기 같이시작하세요. 큰차이도안나요. 자격증 기사는 대다수 기출에서 잘나오니 기출반복하시면 되요
25.11.16 18:54

(IP보기클릭)112.212.***.***

전기,건축,정보,소방 기사 자격증 보유 한 상태 입니다. 그 중 전기기사가 최고인 이유는 노년까지 일 할 수 있는 장점 입니다. 전기기사 비전공자이고 필기는 한번에(기출로) 합격 실기는 6번 도전에 마지막에 합격 했습니다. 실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물 회차를 노려야 할것에요.)
25.11.16 20:35

(IP보기클릭)59.16.***.***

기사 산기 둘다 공부했고 최종결과가 기사는 낙방 산업기사 합격입니다. 많은 분들이 말하는 것처럼 기사를 공부하면서 시험은 산기도 같이 치는게 좋습니다. 보통 같은 장소에서 오전 오후 시험치는데 제가 2번정도 쳐본 결과 산기가 대략 5~10점정도 더 받더군요. 물론 그 회차의 합격률이 크게 좌우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산기라도 얻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산기와 기사의 차이는 기계용량과 선임을 걸수 있는 기간의 차이입니다. 기사는 154kv이상도 걸수 있지만 산기는 못걸죠. 문제는 154정도 되면 임원들이 기술사 인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나이가 있으시다면 어차피 못갑니다. 선임을 걸 수 있는 기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복합한거 뺴고 기사는 2년 산업기사는 경력 4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기 1년 실기 6개월 정도 걸렸고 필기는 다산에듀 실기는 기출은 다산에듀 이론은 오장육부를 썼습니다. 제 경험입니다만. 동영상 강의에 투자를 좀 해야합니다. 모든 문제에 대한 강의가 있는게 좋더군요. 필기를 3번 떨어지면서 나름 이론은 했다고 생각했는데 기출 풀면서 강의 없으면 못풀겠는데? 하던게 한두개가 아니였습니다. 자격증이 다 그렇지만 이건 완전히 엉덩이 싸움입니다. 처음 필기 책을 펴고 강의를 들으면 이건 뭔소린가 싶으실겁니다. 임피던스 어드미턴스 서셉턴스부터 막히기 시작합니다. 머리에 안들어옵니다. 죽어라 해도 까먹죠. 1회차 버티고 들으십시요. 그리고 2회차부터 머리에 들어오기 시작할겁니다. 2회차 끝나고 3회독을 하시는 분도 계시는데 전 2회독 하고 그냥 기출 별로 안풀고 시험치니 붙더군요. 기사 산기 둘다. 실기는.. 그냥 기출입니다. 이건 인터넷에 방법 많긴 한데 출퇴근 암기 회사에서 짬짬히 암기 그리고 기출 기출... 다들 실기에서 기출문제 단순 암기문제 모두 암기 기출문제 70점 이상! 을 외치시는데 전 보통 60점 안밖이였고 기출 단순 암기 문제도 다 못외웠습니다. 이런 경우 난 왜이리 뒤쳐지나? 하고 고민하지고 마시고 꾸준히 시험 보십시요. 6번 기회중 쉽게 나오는 회차가 분명히 있을겁니다. (전 산기 50%떄 합격률일때 64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중요한건 자책하지 마시고 포기하지 말고 계속 해야 한다는 겁니다. 하루 1시간이라도. 가급적 도서관같은거 끊고 가서 하시는게 좋습니다. 많은 분들이 전기기사(산업기사) 장농이니 뭐니 합니다. 하지만 이 자격증 제한을 풀고(기사2년 산기4년)나면 나이 먹어서도 취업자리 제법 있습니다. 65세넘어서 집근처 꼬마빌딩중 선임을 걸어야 하는 빌딩들이 종종 있습니다. 거기 소장1명 미화1명 경비1명 이게 다인 경우 소장자리가 보통 전기선임자입니다. 터널쪽도 있을것이고 자리는 제법 많습니다. 물론 경력을 쌓아야 겠죠. 제 최종 자격증은 공조냉동 기사&기능사, 에너지 기능사, 가스기능사, 소방관리1급, 그리고 전산업기사입니다. 뭐 아파트 소장할생각은 없는터라 주택관리는 안할 예
25.11.16 21:27

(IP보기클릭)211.235.***.***

루리웹-9143957384
감사합니다 나이는 20대라 시설쪽들어왓기는한데 다니면서 도전할려고요 | 25.11.16 22:03 | |

(IP보기클릭)183.100.***.***

전기쪽 쌍기사 있는 현직자입니다. 저도 대학은 비전공자이고 회사 다니면서 땄습니다 이론 버리시면 필기야 기출 뺑뺑이로 대충 커버되지만 실기 때 아예 문제풀이가 안될 겁니다. 저는 필기, 실기 다 다산에듀로 했습니다. 비전공자+일하면서 취득하시는거면 최종합격까지 1년은 잡으셔야 합니다. 관련 지식 아예 없으시면 인터넷에 있는 전기기능사 무료강의 한번 듣고 기사 들으시는거 추천드려요
25.11.16 23:09

(IP보기클릭)183.100.***.***

Impossibilium
강사는 본인 스타일에 맞는 분이 최곱니다. 필기 강의는 유투브에 무료로 널려있으니 들어보고 결정하세요 | 25.11.16 23:11 | |

(IP보기클릭)211.235.***.***

Impossibilium
넵 감사합니다 대산전기 필기듣고 실기들으려 생각중입니다. | 25.11.17 07:28 | |

(IP보기클릭)125.134.***.***

BEST
전기기사(쌍기사) 경력 18년차 입니다. 20대때부터 시설관리 했고 벌써 낼 모레 40대 중반이네요. 현재는 시설관리에서 공공기관(공기업) 정직원 근무 중입니다. 공공기관은 전기기사가 아직도 제일 중요하고요, 민간업체 뺑뺑이 돌지 마시고요 공공기관으로 이직 준비하면서 자격증 준비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민간도 대기업 직영도 있어봤는데, 걍 공공기관이 낫습니다; 저도 고등학교때 수포자였는데, 전기기사는 수학문제가 많이 나오긴 하는데 1차는 수학이랑 상관없습니다. 2차는 좀 다른 얘기.... 여하튼 화이팅 하십시요! 저도 20대때 시설관리 들어와서 맞교대 하면서 멘탈잡으면서 공부 했던 기억이 나네요;;
25.11.17 09:07

(IP보기클릭)222.114.***.***

도다리
시설관리로 공공기관보면 무기계약직 밖에 자리가 없더군요.. | 25.11.20 16:31 | |

(IP보기클릭)223.39.***.***

BEST
얄리알리얄롸숑
공공기관 잡알리오나 이런데 보시면 모집 많이 합니다. 타이밍이 중요하니 갖추면서 기회보시면 자리 나옵니다. 그리고 간혹 일부 공공기관은 무기계약직도 나쁘지 않아요. 호봉만 없는거지 연봉인상은 똑같이 됩니다. 단지 정직에 비해 처우가 조금 안좋겠죠. 자격증 따면서 스텝업 한다 생각하고 잡알리오나 카페 같은데 눈팅 많이 하시면 올라와요. 그리고 꼭 범위를 한정해서 시설관리직으로만 보지마시고 넓게 기술직 모집으로 보시면 좋을듯. 하는일은 비슷해요. 그리고 채용형 인턴으로 수시모집하는기관도 있으니 잘 보시면 있습니다. 화이팅! | 25.11.22 07:56 | |

(IP보기클릭)106.101.***.***

필기 공부 할때 전력공학 및 전기기기 파트는 이론 공부 꼭 해두세요. 실기 수변전등 할때 중복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전자기학의 경우는 수식 한번 유도 해볼정도만 되면, 왠만한 문제들은 풀수 있습니다. ! 그리고 20♥♥♥치 최소 8회독 하시면 무난하게 필기는 합격 할수 있습니다 :) ! 화이팅입니다 !
25.11.17 15:21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2.118.***.***

주변 사람들에게 듣기로는 필기는 전기치트키가 좋다던데... 저는 노란돼지 강의로 듣다가 기능장 경력이 되서 기능장으로 드리프트 해서 취득했습니다.
25.11.17 19:08

(IP보기클릭)118.220.***.***

경영학 전공인데 약 1년 반 정도 고생해서 전기 쌍기사 따고 이직해 현장일 배우는 중인 현직자입니다. 필기는 CBT라 운 좋아서 기출딸로 넘길 가능성이야 있지만, 실기에서 무조건 피 보니 이론 챙기는 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실기는 계산식까지 평가 대상에 들어가기 때문에 계산 잘못하면 바로 0점 처리니 이론 단단히 잡고 가는 게 중요. 참고로 필기 과목 중에 전기자기학이 수학&물리적으로 제일 어렵긴 한데, 웃긴 게 이 과목은 실기에서는 단 1도 안 나옵니다. 물론 실기 때 특정 개념 쉽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기학 이론 끌어와 설명하는 강사나 교재들도 있긴한데 중요한 부분은 아니니 그거 감안하고 공부 계획 짤 때 참고하세요.
25.11.17 23:12

(IP보기클릭)182.221.***.***

Nefarian
자기학은 그냥 문답 10년치만 보고 가시면 10개 이상은 맞출겁니다 | 25.11.18 07:52 | |

(IP보기클릭)118.220.***.***

도다리
이분 말씀이 맞습니다. 진기자기학이 대학교에선 양자역학까지 얽혀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수학&물리학적으로 엄청 어려운데, 전기기사 자기학은 이런 수준으로 안 들어가기 때문에 시험 문제로 나올 만한 이론들이 다 정해져 있을 수 밖에 없는 구조. 때문에 수학적으로 딸리더라도 주요 공식이랑 개념만 잘 외운 후 기출 풀어서 감 잡으면 비전공도 7~80점 쉽게 받습니다. 저도 유튜브에 전기치트키인가? 거기서 자기학 30년치 기출 분석해서 자주 나오는 공식 및 개념 20선으로 압축해 놓은 거 있던데 그거만 달달 외우고 윗분 말씀대로 10♥♥♥치 풀면서 감만 잡은 뒤에 자기학은 뒷전으로 미루고 실기 미리 대비한다는 마음으로 전력공학이랑 KEC 한 줄이라도 더 외우려고 노력한 기억 나네요 ㅋㅋ | 25.11.18 19:09 | |

(IP보기클릭)210.101.***.***

저 평가라고 말을 하지만 일단 가지고 있으면 꽤나 사용하기 쏠쏠합니다. 물론 큰 기대와 큰 가치를 바라면 안 되겠지만 그냥 연금 밖고 나서도 일좀 하겠다와 나름 연줄 관리도 잘하면 나이들어서도 직장을 구입하는 데 유리합니다. 보통 나이드신 분이 하는 일이 경비나 미화나 잡역일 정도가 일반적인에 그래도 어디 시설팀 반장이나 과장 정도 명함 정도 가지고 일할 수 있습니다. 위에 계신 분들 말이 전부다 맞기에 반박하는 글은 못 적겠고.. 그래도 따두시면 좋아요.
25.11.19 09:27

(IP보기클릭)14.37.***.***

대산전기학원은 우리나라에서 전기자격증에 관한한 최고의 교육처로 유명하죠. 노량진에서 수십년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국에서 몰려드는 곳입니다. 저는 90년대후반에 다녔더랬죠. 기사, 공사, 소방이 기본 자격증세트 일겁니다. 영어같은거까지 하신다면 KT같은 공기업도 갈수있고, 대기업도 갈수있겠죠
25.11.22 13:02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