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쪽 업종으로의 진로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답변해드릴께요.
일단 저는 아주/인하/중앙대 중 한곳에서 전자공학으로 학사와 석사를 전공한 뒤
L사에 입사해 2년 여 다니다, 내년 1월부로 S사로 옮기게 된 칩설계 엔지니어입니다.
업계에 저보다 뛰어나신 분들이 많고, 제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걸 먼저 밝힙니다.
하지만 저도 인터넷에서 조언을 받은 것이 도움이 되어 대학원에 진학하고, 취업하게 되었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올려봅니다.
목차: 비메모리 반도체-대표적인 국내기업-필요로 하는 전공지식-직군의 장점/단점
먼저 비메모리 반도체란?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메모리반도체에서 세계적인 강자라면,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한국 기업들은 약자입니다.
비메모리 반도체로는 CPU, AP, 센서, PMIC, 컨버터, 터치 등이 있습니다.
메모리에 비해 설계 난이도가 높고 수율이 낮은 대신 수익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위의 표의 출처: http://blog.skhynix.com/1784 ]
대표적인 국내기업
1. 대기업: 삼성전자 DS부문, SK하이닉스, LG전자 SIC센터, 동부하이텍
2. 중견기업: 텔레칩스, TLI, 실리콘마이터스, 실리콘웍스, 매그나칩, 동운아나텍 등
필요로 하는 전공지식(*필요:알면 매우 좋음, **매우 필요:모를 경우 일하는데 불편 ,***필수:모르면 업계에서 일하는게 불가)
1. 회로이론***
2. 전자회로***
3. 디지털 전자회로**
4. 반도체소자**
5. 반도체 집적회로(학교마다 강의명 상이)*
6. 아날로그전자회로(학교마다 강의명 상이)**
7. VLSI설계(학교마다 강의명 상이)*
장점
1. 앞으로 10년 간은 일자리 수요가 많고, 기술집약적인 특성 상 다른 직군에 비해 안정적이다. 또, 국가에서 밀어주는 산업이다.
2. 근무지가 강남-성남에 몰려있다. 그외에 먼 곳이 기흥(삼성전자), 이천(SK하이닉스) 정도.
3. 업계 연봉이 높은 편으로 중견기업 연봉은 非제조업 계열의 대기업 연봉과 비슷하다(초봉이 3천 중반~4천초반)
4. 중견기업에서 커리어를 쌓은 뒤 대기업으로 이직하기가 타직군에 비해 쉽다.
5. 세트 업체로의 취업/이직도 가능하다.
단점
1. 일반적으로 설계직 채용 시에는 석사 학위 이상 혹은 학부연구생/경력 2년 이상을 요구한다.
2. 현직에 있으면서도 계속 공부를 해야 한다 (이점을 장점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3. 야근이 무척 많다. 주말 출근도 각오해야 한다. 특히 프로젝트 막바지에는 집에 가기 어려울 수도 있다.
4. 비메모리 업계의 경우 미국은 커녕 대만보다 기술력이 낮은 분야가 많다.
5. 확실한 판매처가 있는 대기업(삼성, 하이닉스, LG)이라면 모르겠지만,중견기업들은 뒤에 있을 중국의 저가 공세에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IP보기클릭)220.82.***.***
저도 예전에 이런 정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던 대학생 시절이 있었고, 인터넷에서 얻은 약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학과 선배님들에게 정보를 얻었습니다. 메모리에 비해 비메모리 분야는 우리나라 기술력이 부족하지만, 먹거리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정부, 기업, 대학 모두 연구개발 중인 분야입니다. 이런 분야에서 일하다보면 고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궤도에 올리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성취감도 맛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IP보기클릭)220.82.***.***
보통 진로 관련된 내용은 이런 식으로 적어도 되지 않나요?
(IP보기클릭)223.62.***.***
좋은정보네요
(IP보기클릭)121.139.***.***
사견이지만.. 고민갤내에서 이런 글이 정말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많은 도움이 될만한 정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졸업 전.. 신입으로 취업하기 전에, 작성자분같은 선배나 지인이 있었다면 지금쯤 다른 삶을 살고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확실히 본인이 발로 뛰어서 알아보는 정보도 중요하지만, 현직에 계신분들의 경험과 주변인프라에 대한 생각을 전해듣는것도 굉장히 중요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아니지만.. 한때 그쪽방면 전공을 꿈꿨던 사람으로써 ^^; 올려주시는 정보들 귀중하게 새겨듣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IP보기클릭)117.111.***.***
대만은 기술력 좋은 편이 아닌가요 ? 아날로그 설계 할때 tsmc 공정이 비써지만 성능이 젤 좋았던거 같은데.....
(IP보기클릭)223.62.***.***
좋은정보네요
(IP보기클릭)220.82.***.***
감사합니다. | 17.12.19 14:32 | |
(IP보기클릭)121.139.***.***
사견이지만.. 고민갤내에서 이런 글이 정말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많은 도움이 될만한 정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졸업 전.. 신입으로 취업하기 전에, 작성자분같은 선배나 지인이 있었다면 지금쯤 다른 삶을 살고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확실히 본인이 발로 뛰어서 알아보는 정보도 중요하지만, 현직에 계신분들의 경험과 주변인프라에 대한 생각을 전해듣는것도 굉장히 중요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지금은 아니지만.. 한때 그쪽방면 전공을 꿈꿨던 사람으로써 ^^; 올려주시는 정보들 귀중하게 새겨듣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IP보기클릭)220.82.***.***
저도 예전에 이런 정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던 대학생 시절이 있었고, 인터넷에서 얻은 약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학과 선배님들에게 정보를 얻었습니다. 메모리에 비해 비메모리 분야는 우리나라 기술력이 부족하지만, 먹거리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정부, 기업, 대학 모두 연구개발 중인 분야입니다. 이런 분야에서 일하다보면 고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궤도에 올리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성취감도 맛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17.12.19 14:36 | |
(IP보기클릭)121.139.***.***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혹, 다시 이쪽방면 관련 공부하고싶은 생각이 들게 된다면 적극적으로 여쭤보도록 하겠습니다 ^^! | 17.12.19 14:53 | |
(IP보기클릭)117.111.***.***
대만은 기술력 좋은 편이 아닌가요 ? 아날로그 설계 할때 tsmc 공정이 비써지만 성능이 젤 좋았던거 같은데.....
(IP보기클릭)220.82.***.***
TSMC의 파운더리 공정이 좋다는 것 외에도 대만의 비메모리 설계 실력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단점 4번에 그런 취지로 "미국은 커녕 대만보다 기술력이 낮다"라고 적었습니다. | 17.12.19 14:37 | |
(IP보기클릭)219.249.***.***
(IP보기클릭)220.82.***.***
1. 제가 적은 설계는 칩 그러니까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인데, 적으신 내용을 보면 보드(PCB) 쪽 그러니까 나온 칩들을 활용해서 목적에 맞게 보드를 꾸리는 업무 같습니다. 오디오 관련 내용은 잘 모르는 부분이어서 답변드리기 어려울 듯 하네요. 2. 좋은 기업이라는 기준에는 급여, 복지, 사내 분위기, 연속성, 업무 시스템, 재교육 기회, 근무지 등이 있는데 각 개인의 가치관마다 그 기준의 우선순위는 다를겁니다. 3. 영어는 업무 관련 용어를 읽고, 문서를 작성하는데 지장이 없는 수준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 17.12.19 16:24 | |
(IP보기클릭)114.199.***.***
(IP보기클릭)219.249.***.***
쓸데없는거 다따지실분이시네..막연한 미래에 대한 걱정이 바로 고민거리죠..특히나 진로 직업쪽은 신중하게 선택해도 후회하는 사람있습니다. | 17.12.19 16:24 | |
(IP보기클릭)220.82.***.***
보통 진로 관련된 내용은 이런 식으로 적어도 되지 않나요? | 17.12.19 16:25 | |
(IP보기클릭)121.137.***.***
(IP보기클릭)220.82.***.***
독창적인 기술력이 있거나, 확실한 고객이 있는 기업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갈수록 어려워질 겁니다. 현재 대만보다 밀리고, 분야에 따라선 중국에게 이미 추월당한 곳도 있다보니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불안정한 상황에서 인력들은 갈수록 대기업에 몰리고 있고, 그게 개인의 입장에서는 최선의 선택이죠. | 17.12.19 16:30 | |
(IP보기클릭)220.82.***.***
세트도 만들어서 팔고 있는 LG의 경우 AP를 만들지 못해도 디스플레이, 모바일, IoT에 들어가는 드라이버, 파워, 센서, 터치 칩만으로 먹고 살 수는 있을 겁니다. 문제는 삼성, LG에 납품하는 중견기업들이겠죠. 삼성, LG의 자체 제작 칩 비율이 높아져가고 있어서 다들 힘든 상황입니다. | 17.12.19 16:36 | |
(IP보기클릭)14.53.***.***
(IP보기클릭)220.82.***.***
학력, 연봉 관련 내용은 댓글로 적기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이여서 쪽지로 보내겠습니다. | 17.12.23 23:10 | |
(IP보기클릭)211.200.***.***
(IP보기클릭)12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