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원재료 중에 우유 계란이 생산자가 책정하기 때문에 (원유 가격 연동제)
시장경제에 맞지 않게 돌아간다
시장 완전 자유화를 해야한다 = 국내 사정 보면 안 되고 수입을 해서 물가를 낮추자
물론 그로인한 엄청난 리스크도 생겨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기 때문에
저 분은 공정위가 빵가격 문제를 발표를 미룬 이유에 저런 이유이지 않을까 예상함
결국 농민들이 희생해야한다라는 결과라서
한국에 빵은 주식이 아니라 부식이라서
저렴한 빵값인 나라는 저렴해야해서 저렴한거다
비교해야한다면 우리나라 쌀과 비교해야함
그러면 누구는 빵이 비싸서 안 먹지 저렴해지면 먹는다
라는 말에 천원짜리 빵 그렇게 자주 먹느냐라고 말함
빵을 많이 먹는 국가 대부분은 공장빵이 비중이 크지만
한국에 빵은 부식이고 공장빵보다 베이커리빵 비중이 크기 때문에
기준이 베이커리빵이다보니 지표에서도 가격이 유독 튄다
실제로 한국에 빵하면
이런 맨빵보다는 좀 더 맛있는 빵을 기대하긴함
이후 유통에 대해 지적하는데
유통에 대해 문제가 없는게 아니다
과일 야채 시장은 유통에 문제가 있다
중개상들은 거래액의 4~7% 수수료를 받는 노리스크 개꿀사업인것
사람들은 도매상을 건너뛰자고 하지만
그렇다고
농가 직거래의 메리트가 너무 없음...
이래저래 돌고돌아 결론은
시장 개방해야 저렴해진다는 결론...
근데 시장개방이 어려운게
한국이 옛날에 한번 덤탱이 당해서..
일부 사람들은 전세계 곡물가격이 다 뛰어오른데다가 한중일이 먹는 쌀 다 비싸졌다 하지만
5년은 너무 독소조항 아니냐..
(IP보기클릭)124.153.***.***
(IP보기클릭)211.185.***.***
유통업 하는 회사들 영업이익률 해봐야 10% 정도라고 하는데 노리스크로 20%라고 하니 ㄹㅇ 개꿀업이라고 함 | 25.08.11 22:5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