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기타] 근데 키카드는 왜 논란이 되었나용 [17]


profile_image_default


(5062580)
0 | 17 | 1830 | 비추력 136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7
1
 댓글


(IP보기클릭)60.90.***.***

BEST
유저의 입장에서 보면 키카드 자체에 게임이 들어있는 것도 아니고 구입해봤자 결국 다운로드 해야하니 논란이 된겁니다 물론 키카드 역시 물리카드이니 중고로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닌텐도가 혹시라도 서버를 닫으면 게임자체를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 이런 걱정 또한 일리가 있는거구요 하지만 게임 제작사의 입장에서는 이게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게 키카드가 아닌 일반 게임카트리지의 제조단가가 예를 1만원이라고 친다면 덤핑처리 조차 되지않는 불량재고가 1만개 있다면 단순계산으로 1억원이 나옵니다 키카드는 용량이 거의 없는 물건이니 폐기처분 해도 별로 아깝지 않으니 이 돈을 절약해도 소형 제작사에겐 큰 도움이 되죠
25.07.29 17:55

(IP보기클릭)180.65.***.***

BEST
스위치2의 기본 저장 공간이 작은 편인데다 익스프레스 규격의 SD카드는 비싸고 대용량 SD카드(30만원대)는 구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 보통 패키지 구매는소장과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서인데 키카드는 자체에 게임이 안들어있으니 소장의 메리트도 낮고, 게임 용량 풀로 다운로드 해야하니 저장공간 확보의 메리트가 아예 없죠. 결국 패키지 구매의 장점이 중고 판매 가능하다는 거 빼곤 남는게 없어서 많은 사람이 싫어하죠.
25.07.29 23:23

(IP보기클릭)118.235.***.***

BEST
이전부터 광디스크나 게임 카트리지만으로는 구동을 못 하는 게임이 많긴 했지만(압축 데이터를 본체 공간에 설치, 발매당일 추가 패치, 필수 데이터 다운로드 등등, )아예 데이터가 없는 DL 및 플레이 권한 인증키로 못박고 내놓은 건 키 카드가 최초입니다. 안 그래도 본체 용량도 빠듯한데 아직 비싼 신형 저장장치 규격을 써서 용량 확장도 힘든 게 겹쳐지니 불만이 크게 나오는 거죠.
25.07.30 07:41

(IP보기클릭)123.143.***.***

BEST
간단한 거죠. 카트리지를 꼽았는데 여전히 게임을 다운로드를 해야하니까요 (물론 이전에도 Doom 같이 카트리지 꽂아도 대용량 업데이트가 필요한 게임도 있긴 했습니다만, 논외로 치고) 사실 카트리지라는 게 싱글벙글 사와서 꼽고 바로 게임을 하는 것에 메리트가 있었던 것인데 카트리지 꼽고도 온전한 게임을 다 다운로드 해야하는거면 굳이 왜? 그냥 이샵에서 다운받고 말지? 하고 갸우뚱하게 되니 논란이 된 거죠 ㅋㅋ 물론 DL인데도 이후 중고로 처분할 수 있다거나, 카트리지임에도 동시에 DL이니 로딩이 더 빠르다 같은 부수적인 장점도 있긴 합니다.
25.07.30 18:03

(IP보기클릭)223.38.***.***

BEST
키카드 게임 받으면 많으면 60~70 기가 용량 먹는데 게임 3~4개 깔면 용량 없겠죠? sd익스 메모리 1테라 30만원 넘죠? 돈많으면 1테라 sd넣고 dl 다 사겠죠
25.07.29 17:55

(IP보기클릭)60.90.***.***

BEST
유저의 입장에서 보면 키카드 자체에 게임이 들어있는 것도 아니고 구입해봤자 결국 다운로드 해야하니 논란이 된겁니다 물론 키카드 역시 물리카드이니 중고로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닌텐도가 혹시라도 서버를 닫으면 게임자체를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 이런 걱정 또한 일리가 있는거구요 하지만 게임 제작사의 입장에서는 이게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게 키카드가 아닌 일반 게임카트리지의 제조단가가 예를 1만원이라고 친다면 덤핑처리 조차 되지않는 불량재고가 1만개 있다면 단순계산으로 1억원이 나옵니다 키카드는 용량이 거의 없는 물건이니 폐기처분 해도 별로 아깝지 않으니 이 돈을 절약해도 소형 제작사에겐 큰 도움이 되죠
25.07.29 17:55

(IP보기클릭)122.35.***.***

프린♡
우와 감사합니다 ^^ | 25.07.29 18:38 | |

(IP보기클릭)223.38.***.***

BEST
키카드 게임 받으면 많으면 60~70 기가 용량 먹는데 게임 3~4개 깔면 용량 없겠죠? sd익스 메모리 1테라 30만원 넘죠? 돈많으면 1테라 sd넣고 dl 다 사겠죠
25.07.29 17:55

(IP보기클릭)122.35.***.***

루리웹-1520529317
용량이 많이먹네요 | 25.07.29 18:39 | |

(IP보기클릭)180.65.***.***

BEST
스위치2의 기본 저장 공간이 작은 편인데다 익스프레스 규격의 SD카드는 비싸고 대용량 SD카드(30만원대)는 구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 보통 패키지 구매는소장과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서인데 키카드는 자체에 게임이 안들어있으니 소장의 메리트도 낮고, 게임 용량 풀로 다운로드 해야하니 저장공간 확보의 메리트가 아예 없죠. 결국 패키지 구매의 장점이 중고 판매 가능하다는 거 빼곤 남는게 없어서 많은 사람이 싫어하죠.
25.07.29 23:23

(IP보기클릭)118.235.***.***

BEST
이전부터 광디스크나 게임 카트리지만으로는 구동을 못 하는 게임이 많긴 했지만(압축 데이터를 본체 공간에 설치, 발매당일 추가 패치, 필수 데이터 다운로드 등등, )아예 데이터가 없는 DL 및 플레이 권한 인증키로 못박고 내놓은 건 키 카드가 최초입니다. 안 그래도 본체 용량도 빠듯한데 아직 비싼 신형 저장장치 규격을 써서 용량 확장도 힘든 게 겹쳐지니 불만이 크게 나오는 거죠.
25.07.30 07:41

(IP보기클릭)60.90.***.***

windraven00
많은 사람들이 몰라서 그렇지 사실 이짓을 가장 먼저 시도한건 닌텐도가 아니라 소니입니다 PSVITA의 경우 카트리지 용량이 4G 밖에 안되기에 일부 게임들은 완전판을 즐기려면 돈을 지불하고 추가로 다운받아야 했는데 완전한 게임을 소유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키카드 시스템과 차이가 없죠 이것 때문에 소니도 욕을 무진장 처먹었는데 이런게임이 많이 발매되지 않아 묻혀서 그렇지 원조는 소니입니다 | 25.07.30 10:00 | |

(IP보기클릭)118.235.***.***

프린♡
그런 말이 안 나오는 건 아닌데, 보통 답변으로 ‘그래도 그 때는 온전한 게임 데이터가 들어 있긴 했다고!’ 라고 하더군요. | 25.07.30 10:38 | |

(IP보기클릭)60.90.***.***

windraven00
게임을 반조각을 나눴으니 절대 온전한 게임이라고 할 수 없죠 많은 게임제작사들이 4G 용량은 너무 부족하다고 소니에게 하소연을 했으나 카트리지 생산단가를 아끼고 싶었던 소니는 "4G가 모자라면 그럼 두장으로 내라"고 말한 건 유명한 일화죠 닌텐도와는 다르게 악성재고가 생기면 소니가 떠안는 방식이다 보니 어떻게든 이 돈을 절약하고 싶었던 겁니다 | 25.07.30 11:00 | |

(IP보기클릭)210.100.***.***

프린♡
뭐 저 발언을 하는 분들은 그냥 그런 방식 자체가 불쾌한 분들이라 어쩔수가 없더군요. | 25.07.30 19:56 | |

(IP보기클릭)118.235.***.***

프린♡
비타 장기사용자인데 그런거 전혀 없어요 거짓된 정보네요 | 25.07.31 10:26 | |

(IP보기클릭)60.90.***.***

샤크샤브

자신이 모른다고 거짓된 정보 취급을 하는 건 옳지 않습니다 이 두 게임 모두 마지막 편을 별도로 다운받아야 하는 방식이라 그 당시엔 많은 논란이 있었죠 제작사의 변명은 용량이 모자라서 이렇게 출시한다고 했으나 그럼 돈을 따로 받고 팔지 말았어야죠 추가 DLC도 아니고 마지막 편이면 게임의 일부분에 속하니까요 | 25.07.31 11:06 | |

(IP보기클릭)118.235.***.***

프린♡
일부가 아니라 딱2개면 망했겠죠 전부 추가다운로드였네요 | 25.07.31 11:17 | |

(IP보기클릭)60.90.***.***

샤크샤브
두개뿐이 아니라 그냥 예로 2개만 말한 겁니다 그리고 숫자가 중요한게 아니고 어쨌거나 이런 방식은 닌텐도가 처음은 아니라는 점이죠 세가 역시 드림캐스트 시기에 모뎀으로 다운받는 방식을 시도했었는데 도저히 아니다 싶었는지 이쪽은 진짜로 2개만 냈습니다 즉 한마디로 키카드 비스무레한 시스템은 옛날부터 있었던 방식이고 닌텐도는 좀 더 발전시켰을 뿐입니다 아무래도 스위치2가 요즘 가장 핫한 게임기라 좀 더 주목을 받는 이유도 있구요 | 25.07.31 12:13 | |

(IP보기클릭)118.235.***.***

프린♡
그겜을 구매하지 않아서 그러지만 인터넷보니 코드동봉이라고 하지 어디에도 따로 돈주고 팔았다는 내용 없는데 확실한 내용인가요 지금까지 비타쓰면서 용량부족해서 나머지를 돈주고 샀다는건 생전 처음 들어보네요 | 25.07.31 12:26 | |

(IP보기클릭)60.90.***.***

샤크샤브
그 코드동봉이란게 결국 키카드 시스템이라구요 그냥 수동으로 입력하냐 아니면 물리매체가 자동으로 인식하냐 차이일 뿐이죠 어쨌거나 결과적으로 마지막 편을 따로 다운받아야 하니 온전한 게임을 소유할 수 없다는 점에서 키카드 시스템과 똑같죠 일부 게임은 용량이 모자라는 이유(?)로 코드동봉을 통해 추가로 다운받게 했고 일부 게임은 명목상 추가스토리로 별도로 판매했지만 따지고 보면 요즘 DLC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고 사실상 추가 스토리 라기 보다는 그냥 진엔딩 즉 마지막 편을 따로 판 셈이었죠 그당시 DLC 라는 개념조차 흔치 않던 시절이기도 하고 많이 묻혀서 사람들이 잘 몰라서 그렇지 자료들을 찾아보면 게임업계 흑역사는 많아요 | 25.07.31 13:47 | |

(IP보기클릭)123.143.***.***

BEST
간단한 거죠. 카트리지를 꼽았는데 여전히 게임을 다운로드를 해야하니까요 (물론 이전에도 Doom 같이 카트리지 꽂아도 대용량 업데이트가 필요한 게임도 있긴 했습니다만, 논외로 치고) 사실 카트리지라는 게 싱글벙글 사와서 꼽고 바로 게임을 하는 것에 메리트가 있었던 것인데 카트리지 꼽고도 온전한 게임을 다 다운로드 해야하는거면 굳이 왜? 그냥 이샵에서 다운받고 말지? 하고 갸우뚱하게 되니 논란이 된 거죠 ㅋㅋ 물론 DL인데도 이후 중고로 처분할 수 있다거나, 카트리지임에도 동시에 DL이니 로딩이 더 빠르다 같은 부수적인 장점도 있긴 합니다.
25.07.30 18:03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