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cf00\uc774\ud31d","rank":1},{"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0},{"keyword":"\ud2b8\ub9ad\uceec","rank":0},{"keyword":"\uc5e0\ubc14\uace0","rank":7},{"keyword":"\uba85\uc870","rank":3},{"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4},{"keyword":"\uc57c\uad6c","rank":-1},{"keyword":"@","rank":1},{"keyword":"\uac74\ub2f4","rank":-4},{"keyword":"\ub9d0\ub538","rank":-3},{"keyword":"\ub9c8\ube44m","rank":-7},{"keyword":"\ub9c8\ube44M","rank":1},{"keyword":"\uc6d0\uc2e0","rank":-1},{"keyword":"\ubc31\uc885\uc6d0","rank":"new"},{"keyword":"\uc6d0\ud53c\uc2a4","rank":2},{"keyword":"\uc18c\uc804","rank":"new"},{"keyword":"\ub9c8\ube44","rank":2},{"keyword":"\uc820\ub808\uc2a4","rank":-2},{"keyword":"\ub358\ud30c","rank":-1}]
(IP보기클릭)121.152.***.***
굳이 필요없다고 봅니다. 어차피 usb-c는 DP alt 출력에서 hdmi 2.1 컨버팅 하는 용도지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캡쳐보드(4k hdr 기준), 바이패스 전환 스위치 등의 제품을 살펴보면 유일하게 쿨링팬이 들어간게 스위치2 독입니다. 제가 추측하는 바로는 스위치2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구형 공정으로 제작된 칩(Realtek RTD2175N-CG, 2173 개량형 '19)을 사용해서 발열이 커지고 열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쿨링팬이 필요한거라 보여집니다. 보통 컴팩트형 제품(커넥터 포함)은 바디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열전도도가 높고 최신 칩을 사용하여 발열이 적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당장 위의 제품만 하더라도 CS5563('24)의 고성능 칩이라 충분히 가능한거지요.
(IP보기클릭)14.58.***.***
스위치 2 내부에 서드 파티 독 걸러내는 기능이 있어서 상황이 확실해질 때까진 되도록이면 서드 파티 안 쓰는 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 언제 막힐지도 모르고, 어떻게 기기에 불이익이 올지도 몰라서요... 게다가 독 모드 시 4K 출력이니 쿨링 문제도 필요합니다.
(IP보기클릭)14.58.***.***
스위치 2 내부에 서드 파티 독 걸러내는 기능이 있어서 상황이 확실해질 때까진 되도록이면 서드 파티 안 쓰는 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 언제 막힐지도 모르고, 어떻게 기기에 불이익이 올지도 몰라서요... 게다가 독 모드 시 4K 출력이니 쿨링 문제도 필요합니다.
(IP보기클릭)103.25.***.***
갑자기 든 생각인데 본체 독을 사용할때 쿨러가 필요할정도로 발열이 나는걸텐데 저렇게 일체형은 어떻게 해소하는걸까요?
(IP보기클릭)121.152.***.***
굳이 필요없다고 봅니다. 어차피 usb-c는 DP alt 출력에서 hdmi 2.1 컨버팅 하는 용도지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캡쳐보드(4k hdr 기준), 바이패스 전환 스위치 등의 제품을 살펴보면 유일하게 쿨링팬이 들어간게 스위치2 독입니다. 제가 추측하는 바로는 스위치2의 단가를 줄이기 위해 구형 공정으로 제작된 칩(Realtek RTD2175N-CG, 2173 개량형 '19)을 사용해서 발열이 커지고 열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쿨링팬이 필요한거라 보여집니다. 보통 컴팩트형 제품(커넥터 포함)은 바디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열전도도가 높고 최신 칩을 사용하여 발열이 적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당장 위의 제품만 하더라도 CS5563('24)의 고성능 칩이라 충분히 가능한거지요. | 25.07.05 18:38 | |
(IP보기클릭)211.195.***.***
새로 알아갑니다. 만약 저 이유로 쿨러 단거라면 향후 3년쯤 뒤에는 쿨러가 없거나 최소화된 녀석도 나올 수 있겠네요. | 25.07.07 11:05 | |
(IP보기클릭)1.227.***.***
댓글보고 해당제품 구매했습니다! 단지 화면을 뽑아내는기능인데 왜 쿨러가필요한걸까 항상궁금했거든요. 정말 고급정보 감사합니다!(. .) | 25.07.08 17: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