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얇은 본체에 넓은 면적의 크기, 매끄러운 소재라 그립감이 안 좋습니다.
특히 누워서 할 때 뭔가 미끄러운 것을 억지로 받치고 하는 느낌이라
손이 금방 지치고 부담이 가네요. 그립 라인 있는 700, 800kg짜리 umpc보다
훨씬 불편하고 힘듬. (스위치2 무게 600kg도 안 되는데)
- 누워서 하려면 진짜 그립 케이스 필수입니다. 진짜! 무조건 누워서 하시는 분들은
그립 케이스도 필수로 사세요.
2.베터리가 많이 딸린다. 보통 배터리가 돌리는 게임 성능빨도 무시 못하는데..
스위치2 전용 게임도 아니고 스위치1 게임, 그 중에서도 사양이 낮은 srpg
파엠 인게이지, 슈로대30 돌리는데도 3시간을 못 버팀.
그래도 스위치1용 저사양 게임은 5,6시간은 버텨야 하는 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혹시 구입 예정이신 분들은 배터리 성능은 기대 좀 많이 낮춰야 할 거 같습니다.
(IP보기클릭)14.58.***.***
배터리는 어쩔 수 없습니다...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지 않는 이상, 배터리를 더 많이 넣었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두껍고 무거워졌을 겁니다. 스위치 문제라기보단 현재 기술의 한계라고 봐야겠네요. 그리고 스위치 1은 코드 번역 방식 하위 호환으로, 곧바로 스위치 2로 돌리는 게 아니라 내부에서 실시간 처리를 해서 돌리는 거라서... 성능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오히려 실시간 처리를 하면서 돌리는 거라 스위치 2보다 배터리 소모가 더 높은 걸 수도요. 현재 배터리 기술 상황 보면, 로갈리나 스팀덱과 같은 UMPC들의 절반 정도 두께인데 배터리 타임은 비슷한 게 더 대단하다고 느껴질 정도입니다.
(IP보기클릭)106.101.***.***
맞습니다. 딱 한계지점을 닌텐도식의 타협점 찾은게 스위치2 라고 생각됩니다. 배터리 늘어나면 무거워지고 더 비싸지고 발열 더 날거고 성능 좋은 하이브리드 기기의 현재 한계같네요. 배터리나 성능이나 어딘가 특출나게 발전하지 않는 이상은 umpc나 스위치류나 계속 이렇게 발전할수밖에 없을거 같네요.
(IP보기클릭)106.101.***.***
800kg...들수나 있을까요 ㅋㅋㅋ 스위치 1도 그렇고 2도 그렇고 휴대모드로 쓰려면 그립감을 올려주는 케이스가 필수 같습니다.
(IP보기클릭)211.189.***.***
닌텐도 웰컴투어 해보면 그렇게 설명되어 있어요
(IP보기클릭)211.36.***.***
스컬앤코 그립케이스 쓰는데 정말 착감기네요 배터리는 백갈리도 있습니다만 비슷하거나 좀 나은정도 인것 같네요
(IP보기클릭)125.142.***.***
(IP보기클릭)60.90.***.***
에뮬방식이 아니라 코드 번역 방식입니다 닌텐도에서 처음엔 에뮬로 해봤는데 배터리가 심각하게 빨리 소모되어 대안으로 채택한게 코드 번역 방식인데 최선을 다 한게 이 정도이니 앞으로 미세공정이 나오지 않은 이상 당분간 해결하기 어려울 듯 해요 | 25.06.09 19:26 | |
(IP보기클릭)106.101.***.***
어디서 나온 정보죠? | 25.06.09 19:40 | |
(IP보기클릭)211.189.***.***
개인과개인이개입된게임
닌텐도 웰컴투어 해보면 그렇게 설명되어 있어요 | 25.06.10 09:27 | |
(IP보기클릭)211.36.***.***
스컬앤코 그립케이스 쓰는데 정말 착감기네요 배터리는 백갈리도 있습니다만 비슷하거나 좀 나은정도 인것 같네요
(IP보기클릭)39.116.***.***
(IP보기클릭)106.101.***.***
800kg...들수나 있을까요 ㅋㅋㅋ 스위치 1도 그렇고 2도 그렇고 휴대모드로 쓰려면 그립감을 올려주는 케이스가 필수 같습니다.
(IP보기클릭)14.58.***.***
배터리는 어쩔 수 없습니다...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지 않는 이상, 배터리를 더 많이 넣었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두껍고 무거워졌을 겁니다. 스위치 문제라기보단 현재 기술의 한계라고 봐야겠네요. 그리고 스위치 1은 코드 번역 방식 하위 호환으로, 곧바로 스위치 2로 돌리는 게 아니라 내부에서 실시간 처리를 해서 돌리는 거라서... 성능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오히려 실시간 처리를 하면서 돌리는 거라 스위치 2보다 배터리 소모가 더 높은 걸 수도요. 현재 배터리 기술 상황 보면, 로갈리나 스팀덱과 같은 UMPC들의 절반 정도 두께인데 배터리 타임은 비슷한 게 더 대단하다고 느껴질 정도입니다.
(IP보기클릭)106.101.***.***
FLOW.T
맞습니다. 딱 한계지점을 닌텐도식의 타협점 찾은게 스위치2 라고 생각됩니다. 배터리 늘어나면 무거워지고 더 비싸지고 발열 더 날거고 성능 좋은 하이브리드 기기의 현재 한계같네요. 배터리나 성능이나 어딘가 특출나게 발전하지 않는 이상은 umpc나 스위치류나 계속 이렇게 발전할수밖에 없을거 같네요. | 25.06.09 19:43 | |
(IP보기클릭)58.126.***.***
(IP보기클릭)211.226.***.***
저한텐 조이콘은 분리해서 쓸일이 별로 없을거 같아서 네오 그립케이스가 딱 좋더군요.
(IP보기클릭)118.235.***.***
프로콘도 두개라 킹실상 분리할일 없을거 같음 그냥 네오그립이 최고존엄임 다른거 비교 뭐 이딴 말도 할 필요없음 그냥 네오그립 하면됨 ㅎㅎㅎ | 25.06.09 20:16 | |
(IP보기클릭)1.237.***.***
저도 네오그립이 편하네요 독에도 바로 들어가고 휴대용 안할시 그냥 프로콘2으로 플레이 합니다. | 25.06.09 22:20 | |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25.135.***.***
(IP보기클릭)220.118.***.***
스위치 누워서 할려면 필수죠
(IP보기클릭)220.118.***.***
(IP보기클릭)218.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