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외국] SW2 조이콘 스틱 센서 외형은 SW1 과 거의 동일하다 [6]


profile_image

profile_image (480463)
2 | 6 | 1127 | 비추력 11669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6
1
 댓글


(IP보기클릭)125.180.***.***

BEST
그냥 봐도 다른데요. 플스패드나 엑박패드 까봐도 아날로그 생긴건 다 비슷해요.
25.06.07 13:56

(IP보기클릭)211.36.***.***

BEST
너무 비전문적인....이걸보고 어찌 알까 싶네요
25.06.07 14:01

(IP보기클릭)125.180.***.***

BEST
그냥 봐도 다른데요. 플스패드나 엑박패드 까봐도 아날로그 생긴건 다 비슷해요.
25.06.07 13:56

(IP보기클릭)211.36.***.***

BEST
너무 비전문적인....이걸보고 어찌 알까 싶네요
25.06.07 14:01

(IP보기클릭)1.54.***.***

zr부분 1이랑 똑같이 걍 똑딱이 클릭인데 왜 누름이슈가 나지..
25.06.07 14:17

(IP보기클릭)121.174.***.***

이 영상의 핵심은 외형이 동일하다가 아니라 원리가 동일하다 입니다. 홀 이팩트 센서라던지 TMR이라던지 각종 아날로그 스틱 신기술이 나온 마당에 조이콘2는 기존 아날로그 스틱과 원리가 동일한 개선품을 사용했고, 결국 언젠가는 물리적인 내구도 문제가 있을거라는 지적이죠. 뭐, 눈에 보이지 않는 보강이 있을 거라거나, SL SR에 자석이 붙어있어서 홀 이팩트 센서는 못쓰더라도 차폐한 TMR은 가능하지 않냐는 이야기가 영상 리플에 달리고 있고요. 개인적으로 주목한 부분은 LR버튼이 조이콘1과 같다는 부분이네요. 이거 아날로그 스틱보다 덜할 뿐이지 내구성이 좋지는 않습니다. 종종 LR버튼 인식이 안된다는 글이 올라오는데 전혀 개선이 안되어 있어서 의식적으로 좀 살살 눌러야 오래 쓸 수 있을거에요.
25.06.07 14:20

(IP보기클릭)125.180.***.***

자유의날개
TMR이라든가 홀이펙트 모듈은 특성상 소형화가 어렵습니다. 전통적인 저항을 사용하는 아날로그라도 품질에 따라 내구성은 다릅니다.듀얼센스가 특히 심했던거고 스위치정도 보급량과 발매시기를 보면 납득할만한 불량 수준이죠. 괜히 소모품이 아닙니다. | 25.06.07 16:01 | |

(IP보기클릭)119.203.***.***

밑을 받쳐주고 있던 쇠판이 눌림으로 휘어서 마찰 센서가 제대로 닿지 않아 오작동이 나는 원인도 있었죠 그래서 밑판 쪽에 명함 두께의 종이를 덧대어 해결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졌는데 조이콘 2는 다른 영상 찾아보니 밑판이 두꺼워졌고 휨 방지로 가운데 볼록하게 덧대어져 있는 걸로 보아 스위치 1보단 드리프트가 덜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25.06.07 17:32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