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흐름이다 어쩌고 하는데
개뿔 아닙니다.
그냥 세뇌당하는거 뿐임.
기업 이익 편향으로 가서 그런거임.
패키지 없애면 중고거래 막아서 기업에 이득이니.
게임은 애초에 태생적으로 중고거래 가치 포함되서 옛날에 비싸게 발매된거임.
이거 모르는 사람들 많을듯.
루리웹-2177666937
(5873233)
출석일수 : 210일 LV.7
Exp.34%
추천 17 조회 4734 비추력 13
작성일 2025.05.02 (14:32:41)
IP : (IP보기클릭)220.76.***.***
시대의 흐름이다 어쩌고 하는데
개뿔 아닙니다.
그냥 세뇌당하는거 뿐임.
기업 이익 편향으로 가서 그런거임.
패키지 없애면 중고거래 막아서 기업에 이득이니.
게임은 애초에 태생적으로 중고거래 가치 포함되서 옛날에 비싸게 발매된거임.
이거 모르는 사람들 많을듯.
(IP보기클릭)118.235.***.***
애초에 그걸 따지려면 닌텐도가 아닌 스팀부터 뭐라고 해야 하긴 하죠...
(IP보기클릭)14.50.***.***
알고도 다 dl로 구매하는데 뭐 크게 신경은 안씁니다.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게임 중에 회사 망해서 구동 안되는 상시 온라인 게임도 있고... 그래도 신경안씁니다. 어차피 게임이야 많고, 지금까지 15년 넘게 게임하면서 옛날 게임 다시 설치해서 한 적은 손에 꼽기도 하고 그냥 그 순간 즐기면 된거
(IP보기클릭)124.49.***.***
실제로 미국에서는 주마다 DL은 구매라는 표현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고 바뀌는 중입니다.
(IP보기클릭)118.235.***.***
저는 이런 고민 하느니 시원한 맥주 한잔 손에들고 현재를 즐기자 라는 말에 이미 넘어감 ㅎㅎㅎㅎ
(IP보기클릭)124.49.***.***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표현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디지털 콘텐츠 판매자는 '구매' 또는 '매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는 점과 사용권이 제한될 수 있는 사항을 명확히 고지해야 합니다 . 이러한 조치는 유비소프트의 '더 크루'와 같은 사례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법안 시행 후, 스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등 주요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구매'라는 표현 대신 '라이선스 부여'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실제로, 밸브의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은 이미 약관을 변경하여 게임 구매와 관련해 '소유권'이 아닌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명시하였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실제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 권한을 부여받는 것임을 명확히 인식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IP보기클릭)14.50.***.***
알고도 다 dl로 구매하는데 뭐 크게 신경은 안씁니다.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게임 중에 회사 망해서 구동 안되는 상시 온라인 게임도 있고... 그래도 신경안씁니다. 어차피 게임이야 많고, 지금까지 15년 넘게 게임하면서 옛날 게임 다시 설치해서 한 적은 손에 꼽기도 하고 그냥 그 순간 즐기면 된거
(IP보기클릭)118.235.***.***
애초에 그걸 따지려면 닌텐도가 아닌 스팀부터 뭐라고 해야 하긴 하죠...
(IP보기클릭)124.49.***.***
실제로 미국에서는 주마다 DL은 구매라는 표현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고 바뀌는 중입니다.
(IP보기클릭)124.49.***.***
https://zdnet.co.kr/view/?no=20240928212442&utm_source=chatgpt.com | 25.05.02 14:53 | |
(IP보기클릭)124.49.***.***
https://news.nate.com/view/20241015n32668?utm_source=chatgpt.com | 25.05.02 14:53 | |
(IP보기클릭)124.49.***.***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표현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디지털 콘텐츠 판매자는 '구매' 또는 '매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는 점과 사용권이 제한될 수 있는 사항을 명확히 고지해야 합니다 . 이러한 조치는 유비소프트의 '더 크루'와 같은 사례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법안 시행 후, 스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등 주요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구매'라는 표현 대신 '라이선스 부여'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실제로, 밸브의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은 이미 약관을 변경하여 게임 구매와 관련해 '소유권'이 아닌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명시하였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실제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 권한을 부여받는 것임을 명확히 인식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IP보기클릭)118.235.***.***
저는 이런 고민 하느니 시원한 맥주 한잔 손에들고 현재를 즐기자 라는 말에 이미 넘어감 ㅎㅎㅎㅎ
(IP보기클릭)22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