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기타] 앞으로 패키지 없어지면 겜 구매=사용권 구매 [8]


profile_image_default


(5873233)
17 | 8 | 4734 | 비추력 13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8
1
 댓글


(IP보기클릭)118.235.***.***

BEST
애초에 그걸 따지려면 닌텐도가 아닌 스팀부터 뭐라고 해야 하긴 하죠...
25.05.02 14:50

(IP보기클릭)14.50.***.***

BEST
알고도 다 dl로 구매하는데 뭐 크게 신경은 안씁니다.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게임 중에 회사 망해서 구동 안되는 상시 온라인 게임도 있고... 그래도 신경안씁니다. 어차피 게임이야 많고, 지금까지 15년 넘게 게임하면서 옛날 게임 다시 설치해서 한 적은 손에 꼽기도 하고 그냥 그 순간 즐기면 된거
25.05.02 14:41

(IP보기클릭)124.49.***.***

BEST
실제로 미국에서는 주마다 DL은 구매라는 표현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고 바뀌는 중입니다.
25.05.02 14:52

(IP보기클릭)118.235.***.***

BEST
저는 이런 고민 하느니 시원한 맥주 한잔 손에들고 현재를 즐기자 라는 말에 이미 넘어감 ㅎㅎㅎㅎ
25.05.02 18:02

(IP보기클릭)124.49.***.***

BEST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표현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디지털 콘텐츠 판매자는 '구매' 또는 '매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는 점과 사용권이 제한될 수 있는 사항을 명확히 고지해야 합니다 . 이러한 조치는 유비소프트의 '더 크루'와 같은 사례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법안 시행 후, 스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등 주요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구매'라는 표현 대신 '라이선스 부여'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실제로, 밸브의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은 이미 약관을 변경하여 게임 구매와 관련해 '소유권'이 아닌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명시하였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실제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 권한을 부여받는 것임을 명확히 인식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25.05.02 14:54

(IP보기클릭)14.50.***.***

BEST
알고도 다 dl로 구매하는데 뭐 크게 신경은 안씁니다.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게임 중에 회사 망해서 구동 안되는 상시 온라인 게임도 있고... 그래도 신경안씁니다. 어차피 게임이야 많고, 지금까지 15년 넘게 게임하면서 옛날 게임 다시 설치해서 한 적은 손에 꼽기도 하고 그냥 그 순간 즐기면 된거
25.05.02 14:41

(IP보기클릭)118.235.***.***

BEST
애초에 그걸 따지려면 닌텐도가 아닌 스팀부터 뭐라고 해야 하긴 하죠...
25.05.02 14:50

(IP보기클릭)124.49.***.***

BEST
실제로 미국에서는 주마다 DL은 구매라는 표현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고 바뀌는 중입니다.
25.05.02 14:52

(IP보기클릭)124.49.***.***

(IP보기클릭)124.49.***.***

(IP보기클릭)124.49.***.***

BEST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표현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디지털 콘텐츠 판매자는 '구매' 또는 '매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는 점과 사용권이 제한될 수 있는 사항을 명확히 고지해야 합니다 . 이러한 조치는 유비소프트의 '더 크루'와 같은 사례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예고 없이 삭제되거나 접근이 제한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법안 시행 후, 스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등 주요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구매'라는 표현 대신 '라이선스 부여'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실제로, 밸브의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은 이미 약관을 변경하여 게임 구매와 관련해 '소유권'이 아닌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명시하였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실제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 권한을 부여받는 것임을 명확히 인식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25.05.02 14:54

(IP보기클릭)118.235.***.***

BEST
저는 이런 고민 하느니 시원한 맥주 한잔 손에들고 현재를 즐기자 라는 말에 이미 넘어감 ㅎㅎㅎㅎ
25.05.02 18:02

(IP보기클릭)222.109.***.***

국전 9층, 갓챠 매장으로 많이들 바뀐걸 보면 대충 추세가 어떤지 알 수 있죠.
25.05.03 18:39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