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스위치를 한대만 쓰던 사람 = 기존과 다른점 없음
혼자서 스위치를 용도별로 여러개 굴리던 사람 = 좋아짐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사람 = 약간 나빠짐
저는 스위치 라이트는 외출용으로, OLED모델은 집에서 주로 썼는데요
주기기는 라이트에 설정을 해둔 상태였습니다.
때문에 OLED스위치에서 게임을 실행할때마다 인터넷 접속해서 실행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게 거슬렸는데
버추얼 게임 카드가 생기니 그 메시지를 보지 않아도 되어서 아주 편안해졌습니다.
주로 양쪽에다가 다른 게임을 설치해서 썼다보니 이게임은 저기, 저게임은 여기 이렇게 세팅하는게 편해져서 좋고
양쪽 다 설치해서 하던 게임도 그냥 버튼 한방이면 여기,저기 옮겨다닐 수 있으니 불편한 점이 없습니다.
다만 게임을 설치할때 다운로드 버튼이 숨겨져있고 버추얼 게임카드를 본체에 세팅해야 받아지는데
이렇게 되면 다른기기에 세팅된 권한을 뺏어오게 됩니다.
권한 변경 없이 게임만 받고 싶은 경우는 설정 가서 온라인 라이선스 설정을 켜줘야 다운로드만 할 수 있는 기능이 노출됩니다.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경우는 동시에 같은 게임을 못하게 된것 말고는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게임을 하는 경우는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즐기는건 계속 가능합니다.
근데 동시에 같은 게임은 이전에도 닌텐도에서 공식적으로는 불가능 하다고 표기했던거라 오히려 기존이 버그였다고 봐야할거 같습니다.
이것도 멀티플레이 게임이 아닌 경우 한쪽은 인터넷 연결을 끊고 실행하면 되긴 하네요.
근데 버추얼게임카드 기능이 스위치 두대을 붙여서 페어링 하도록 되어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꼭 근접해서 페어링을 해야하는것과 두대로 제한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게임을 옮겨다닐때는 두대가 근접할 필요도 없고 심지어 스위치 본체가 아닌 인터넷으로도 가능하거든요.
이거는 나중에 제약이 풀리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추가된 기능인지 모르겠는데 계정에 연결된 스위치 목록이 나옵니다.
라이트 같은 경우는 컬러 까지 맞춰서 노출이 되는거 같고
조이콘은 따로 구입한 제품이라 본체에 있던것과 색상이 다른데 센스있게 새 조이콘에 맞춰서 나오네요. ㅎㅎ
스위치를 한대만 쓰던 사람 = 기존과 다른점 없음
혼자서 스위치를 용도별로 여러개 굴리던 사람 = 좋아짐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사람 = 약간 나빠짐
저는 스위치 라이트는 외출용으로, OLED모델은 집에서 주로 썼는데요
주기기는 라이트에 설정을 해둔 상태였습니다.
때문에 OLED스위치에서 게임을 실행할때마다 인터넷 접속해서 실행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게 거슬렸는데
버추얼 게임 카드가 생기니 그 메시지를 보지 않아도 되어서 아주 편안해졌습니다.
주로 양쪽에다가 다른 게임을 설치해서 썼다보니 이게임은 저기, 저게임은 여기 이렇게 세팅하는게 편해져서 좋고
양쪽 다 설치해서 하던 게임도 그냥 버튼 한방이면 여기,저기 옮겨다닐 수 있으니 불편한 점이 없습니다.
다만 게임을 설치할때 다운로드 버튼이 숨겨져있고 버추얼 게임카드를 본체에 세팅해야 받아지는데
이렇게 되면 다른기기에 세팅된 권한을 뺏어오게 됩니다.
권한 변경 없이 게임만 받고 싶은 경우는 설정 가서 온라인 라이선스 설정을 켜줘야 다운로드만 할 수 있는 기능이 노출됩니다.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경우는 동시에 같은 게임을 못하게 된것 말고는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게임을 하는 경우는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즐기는건 계속 가능합니다.
근데 동시에 같은 게임은 이전에도 닌텐도에서 공식적으로는 불가능 하다고 표기했던거라 오히려 기존이 버그였다고 봐야할거 같습니다.
이것도 멀티플레이 게임이 아닌 경우 한쪽은 인터넷 연결을 끊고 실행하면 되긴 하네요.
근데 버추얼게임카드 기능이 스위치 두대을 붙여서 페어링 하도록 되어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꼭 근접해서 페어링을 해야하는것과 두대로 제한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게임을 옮겨다닐때는 두대가 근접할 필요도 없고 심지어 스위치 본체가 아닌 인터넷으로도 가능하거든요.
이거는 나중에 제약이 풀리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추가된 기능인지 모르겠는데 계정에 연결된 스위치 목록이 나옵니다.
라이트 같은 경우는 컬러 까지 맞춰서 노출이 되는거 같고
조이콘은 따로 구입한 제품이라 본체에 있던것과 색상이 다른데 센스있게 새 조이콘에 맞춰서 나오네요. ㅎㅎ

(IP보기클릭)14.58.***.***
음, 어디까지나 명칭이 "패밀리"니까요 ㅎㅎ 실제로 자주 얼굴을 맞대고 지내는 가족/친구들끼리 모여서 저렴하게 온라인 구독하세요~ 라는 의도여서 근거리 통신은 빼지 않을 것 같아요. 이게 허용되면 지금처럼 인터넷으로 모인 사람 누구나 패밀리가 되면 게임을 대여하거나 대여 받을 수 있게 되니까, 일종의 인증 장치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기한은 있어도 게임 공유가 패밀리 누구에게라도 가능해지는 시스템이라 기업 입장에선 원하지 않을 것 같네요)
(IP보기클릭)175.114.***.***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경우는 동시에 같은 게임을 못하게 된것 말고는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 엄청 바뀐거 아닌가요?
(IP보기클릭)14.58.***.***
음, 어디까지나 명칭이 "패밀리"니까요 ㅎㅎ 실제로 자주 얼굴을 맞대고 지내는 가족/친구들끼리 모여서 저렴하게 온라인 구독하세요~ 라는 의도여서 근거리 통신은 빼지 않을 것 같아요. 이게 허용되면 지금처럼 인터넷으로 모인 사람 누구나 패밀리가 되면 게임을 대여하거나 대여 받을 수 있게 되니까, 일종의 인증 장치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기한은 있어도 게임 공유가 패밀리 누구에게라도 가능해지는 시스템이라 기업 입장에선 원하지 않을 것 같네요)
(IP보기클릭)59.86.***.***
(IP보기클릭)122.32.***.***
두분이서 동시에 같은 게임을 하시려는게 아니라면 지장 없습니다 | 25.05.01 13:35 | |
(IP보기클릭)59.86.***.***
지장이 있냐 없냐의 문제가 아니라 가능했던 게 안 되니까 묘한 기분이 든다는 겁니다. 일부 게임은 그 방법으로 몇 번 같이 즐긴 적이 있거든요. 일종의 편법이였다고 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요. | 25.05.01 13:40 | |
(IP보기클릭)59.7.***.***
어머니와 게임하신다니 부럽네요. | 25.05.01 20:09 | |
(IP보기클릭)175.114.***.***
두명이서 라이브러리 공유해서 쓰던 경우는 동시에 같은 게임을 못하게 된것 말고는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 엄청 바뀐거 아닌가요?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210.122.***.***
3대의 기기를 쓰신다면 설정 가서 온라인 라이선스 설정을 켜시면 버추얼 게임카드를 세팅하지 않아도 됩니다 | 25.05.13 08: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