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c2a4\ud0c0\uc138\uc774\ube44\uc5b4","rank":1},{"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ce74\uc81c\ub098","rank":2},{"keyword":"\ub864","rank":3},{"keyword":"\ud2b8\ub9ad\uceec","rank":-2},{"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2},{"keyword":"\ub9bc\ubc84\uc2a4","rank":4},{"keyword":"\uba85\uc870","rank":0},{"keyword":"\ub358\ud30c","rank":-3},{"keyword":"\uc601\ud3ec\ud2f0","rank":6},{"keyword":"\uc820\ub808\uc2a4","rank":4},{"keyword":"\ub2c8\ucf00","rank":0},{"keyword":"\u3147\u3147\u3131","rank":4},{"keyword":"\uc6d0\uc2e0","rank":4},{"keyword":"@","rank":5},{"keyword":"\ub9d0\ub538","rank":-6},{"keyword":"\uc18c\uc8042","rank":-3},{"keyword":"\uc6d0\ud53c\uc2a4","rank":4},{"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6},{"keyword":"\uc544\uc774\uc628","rank":-1},{"keyword":"\uac74\ub2f4","rank":0},{"keyword":"\uc2a4\ud0c0","rank":"new"}]
(IP보기클릭)218.234.***.***
VRR은 가변 주사율이라는 뜻이고, 말그대로 고정 주사율이 아닌 실시간으로 변동될수 있는 주사율이라는 얘기입니다. 이것으로 이득볼수 있는 부분은 1. 60프레임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지만, 성능 문제로 50~60프레임으로 출렁이는 경우 이럴때 스터터링(화면 회전시 툭툭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 주사율을 출렁이는 프레임과 동기화 시켜서 스터터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잡아줌.. 2. 고정프레임이 되어 있는 게임 중, VRR을 지원하면 프레임 해제옵션을 줘서 60프레임 고정인 게임이 60프레임 이상 나오는데 다만 필연적으로 해제를 하면 60~90프레임 구간정도로 마구 프레임이 출렁이게 됨.. 그럼 VRR이 활성화되면 1번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것.. 3. 그리고 가끔 40프레임 밸런스모드가 VRR이 있어야 한다고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40프레임 밸런스모드는 120hz만 지원되면 됨... 3배수 주사율로 40프레임에 동기화 시켜주는 방식임.
(IP보기클릭)211.48.***.***
V-Sync는 버티컬 싱크로나이제이션이라는 말이고, 한국어로 수직동기화입니다.. 수직동기화는 내 디스플레이의 주사율 제한이 60hz인데 프레임은 그 이상 뿌려지고 있을 때, 흔히 테어링이라고 하는 화면이 상하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미처 없어지지 못한 전 화면과 새로 생성된 화면이 마구 겹치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 수직동기화는 모니터 출력에 맞춰 강제로 렌더링을 30내지는 60프레임으로 제한 걸어 화면이 상하가 찢어지는 화면을 발생 시키지 않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직동기화는 강제로 프레임 제한을 거는 만큼 입력지연이 발생됩니다.
(IP보기클릭)211.36.***.***
프레임보간은 전혀 다른 기술이고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입니다. 프레임하고 주사율이 정비례로 안맞으면 비는 구간이 생겨서 실제 프레임보다 더 끊겨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주사율이 동기화되면 이부분이 개선이 됩니다. 처음부터 프레임이 고정이면 별 차이 없는데 프레임이 출렁일때 효과가 좋아요.
(IP보기클릭)211.36.***.***
Pc에서 프리싱크 g싱크 기능이 해당 기능인데 표준화되면서 붙은 이름이라 보시면 됩니다.
(IP보기클릭)218.234.***.***
VRR은 HDMI 2.1 버전에 기본 탑재이며, Nvidia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G싱크라는 자사의 기술을 넣어서 VRR보다 더 좋은 성능으로 쓰고 있음.. 다만 G싱크를 포함시키는 디스플레이는 가격이 더 비쌈.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211.36.***.***
프레임보간은 전혀 다른 기술이고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입니다. 프레임하고 주사율이 정비례로 안맞으면 비는 구간이 생겨서 실제 프레임보다 더 끊겨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주사율이 동기화되면 이부분이 개선이 됩니다. 처음부터 프레임이 고정이면 별 차이 없는데 프레임이 출렁일때 효과가 좋아요.
(IP보기클릭)211.36.***.***
dream5
Pc에서 프리싱크 g싱크 기능이 해당 기능인데 표준화되면서 붙은 이름이라 보시면 됩니다. | 25.04.04 11:34 | |
(IP보기클릭)211.234.***.***
이름만 봐서는 잘 안 와닿았는데 게임과 디스플레이 싱크 맞추는 거라고 보면 되겠군요. 이쪽 부분은 실제 보지않으면 잘 와닿지않나요? 좀 찾아봐야겠네요. 친절한 답변들 감사합니다! | 25.04.04 11:56 | |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211.234.***.***
지원하는 모니터가 따로 있나보군요. 그러면 휴대모드때 요긴하겠네요… | 25.04.04 11:56 | |
(IP보기클릭)218.234.***.***
VRR은 가변 주사율이라는 뜻이고, 말그대로 고정 주사율이 아닌 실시간으로 변동될수 있는 주사율이라는 얘기입니다. 이것으로 이득볼수 있는 부분은 1. 60프레임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지만, 성능 문제로 50~60프레임으로 출렁이는 경우 이럴때 스터터링(화면 회전시 툭툭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 주사율을 출렁이는 프레임과 동기화 시켜서 스터터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잡아줌.. 2. 고정프레임이 되어 있는 게임 중, VRR을 지원하면 프레임 해제옵션을 줘서 60프레임 고정인 게임이 60프레임 이상 나오는데 다만 필연적으로 해제를 하면 60~90프레임 구간정도로 마구 프레임이 출렁이게 됨.. 그럼 VRR이 활성화되면 1번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것.. 3. 그리고 가끔 40프레임 밸런스모드가 VRR이 있어야 한다고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40프레임 밸런스모드는 120hz만 지원되면 됨... 3배수 주사율로 40프레임에 동기화 시켜주는 방식임.
(IP보기클릭)218.234.***.***
RogueMaster
VRR은 HDMI 2.1 버전에 기본 탑재이며, Nvidia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G싱크라는 자사의 기술을 넣어서 VRR보다 더 좋은 성능으로 쓰고 있음.. 다만 G싱크를 포함시키는 디스플레이는 가격이 더 비쌈. | 25.04.04 12:30 | |
(IP보기클릭)211.234.***.***
감사합니다. 사실 FPS에 신경써서 게임을 하는 스타일은 아니라서 확 와닿진 않네요. 아이폰 전세대랑 현세대 쓰면서 애니메이션 체감 정도만 기억하는… ㅋㅋ | 25.04.04 13:55 | |
(IP보기클릭)175.211.***.***
혹시 V-sync 와 VRR 하고 어떤 차이인지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 25.04.04 23:28 | |
(IP보기클릭)211.48.***.***
V220V
V-Sync는 버티컬 싱크로나이제이션이라는 말이고, 한국어로 수직동기화입니다.. 수직동기화는 내 디스플레이의 주사율 제한이 60hz인데 프레임은 그 이상 뿌려지고 있을 때, 흔히 테어링이라고 하는 화면이 상하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미처 없어지지 못한 전 화면과 새로 생성된 화면이 마구 겹치면서 발생하는 현상인데, 수직동기화는 모니터 출력에 맞춰 강제로 렌더링을 30내지는 60프레임으로 제한 걸어 화면이 상하가 찢어지는 화면을 발생 시키지 않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직동기화는 강제로 프레임 제한을 거는 만큼 입력지연이 발생됩니다. | 25.04.05 12:41 | |
(IP보기클릭)118.235.***.***
와ㅜ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ㅠ | 25.04.05 16: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