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은 실시간으로 지형을 파괴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기술: 개발팀은 복셀(Voxel) 기반 시스템을 구현하여 플레이어가 지형을 실시간으로 깎아낼 수 있게 했습니다. 흙, 퇴적물 등 내부 구조까지 층층이 표현됩니다.
디자인: 정교하게 설계된 레벨 디자인과 파괴의 자유를 양립시키기 위해, 금속과 같은 핵심 구조물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레벨의 뼈대를 유지합니다.
한계: 성능 유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완전한 물리 시뮬레이션은 배제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지 기둥을 파괴해도 그 위의 천장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상호작용: 이러한 파괴 시스템은 단순히 길을 만드는 것을 넘어, 적의 공격이나 보스전, 물리 오브젝트(가시 돋친 공 등)의 흐름을 제어하는 등 게임플레이 전반에 창의적으로 활용됩니다.
기술적 분석 (그래픽 및 성능)
그래픽 장점:
'마리오 오디세이'보다 시각적으로 크게 발전했습니다.
금속 표면의 셰이더(Shader) 효과나 캐릭터 렌더링, 애니메이션 등은 최고 수준입니다.
그래픽 단점:
원거리 배경이 갑자기 나타나는 팝인 현상이 있습니다.
그림자 품질이 매우 낮고 해상도가 낮아 계단 현상이 심하게 보입니다.
SSAO 효과가 제한적이고, 간접 조명 장면에서 그래픽이 다소 구식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스위치 2'가 지원하는 DLSS 대신 구세대 업스케일링 기술인 AMDFSR1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이미지가 부드럽고 선명도가 떨어집니다. (독 모드에서 1080p∼1200p 가변 해상도)
성능:
전반적으로 초당 60프레임을 목표로 하지만, 특정 상황(아이템 획득, 카메라 전환, 보스전 등)에서 프레임이 30fps로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더블 버퍼링 V-sync 방식 때문입니다.
휴대 모드에서는 '스위치 2'의 VRR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포토 모드를 사용하면 프레임이 30fps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미지 품질과 성능 측면에서 동키콩 바난자는 독 모드에서 충분히 잘 작동하고 휴대 모드에서는 약간 더 잘 구동되지만, 두 가지 모드 다 개선될 여지가 있습니다.
사운드 및 게임플레이 평가
사운드: 분위기에 잘 맞는 매력적인 음악과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하여 매우 훌륭합니다.
게임플레이: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계보를 따르지만, DK 특유의 스피디한 움직임과 파괴 메커니즘 덕분에 훨씬 더 역동적입니다. 게임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빠르게 던져주며, 퍼즐 해결 방법도 꽤 유연해서 반복적인 느낌이 적습니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수준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3D 플랫폼 게임보다 훨씬 자유롭습니다.
최종 결론
'동키콩 바난자'는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점(그림자 품질, 프레임 드랍 등)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2' 시대를 여는 훌륭한 3D 플랫포머 게임입니다. 파괴 가능한 환경이라는 핵심 시스템을 창의적으로 활용했으며, 탄탄한 조작감과 뛰어난 연출 덕분에 강력히 추천할 만한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IP보기클릭)125.180.***.***
Dlss 냅두고 fsr1 을 왜;; 이건 좀 이해가 안가네요 추후 업뎃으로 dlss지원하고 특정보스 프레임 해결되면 좋겠네요
(IP보기클릭)121.125.***.***
60에서 30까지 빠지는건 좀 거슬리긴하네
(IP보기클릭)14.38.***.***
12:50초 아예 30고정으로 돼버리네.
(IP보기클릭)112.144.***.***
확실히 복셀 기반이 성능을 많이 잡아먹나 보네요
(IP보기클릭)122.32.***.***
VRR있어도 제대로 활용을 못하나보군요 아무래도 독모드에서는 쓰지 못하니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나붑니다
(IP보기클릭)220.118.***.***
(IP보기클릭)115.143.***.***
(IP보기클릭)220.84.***.***
사펑도 돌리는데 성능이슈일리가요 보단 최적화이슈겠죠 | 25.07.16 22:11 | | |
(IP보기클릭)122.32.***.***
VRR있어도 제대로 활용을 못하나보군요 아무래도 독모드에서는 쓰지 못하니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나붑니다
(IP보기클릭)14.38.***.***
12:50초 아예 30고정으로 돼버리네.
(IP보기클릭)59.20.***.***
근데 저부분 흙벽 다가오는건 30프레임이 아니라 무슨 10프레임같은데 저게 컨셉인건지 프레임저하인지 모르겠음ㅋㅋㅋ | 25.07.16 21:53 | | |
(IP보기클릭)221.162.***.***
포켓몬 스바마냥 LOD값을 극단적으로 잡은건가 싶기도 하고 아니면 진짜 컨셉인건지 ㅋㅋ | 25.07.16 22:02 | | |
(IP보기클릭)219.104.***.***
(IP보기클릭)112.144.***.***
확실히 복셀 기반이 성능을 많이 잡아먹나 보네요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5.180.***.***
Dlss 냅두고 fsr1 을 왜;; 이건 좀 이해가 안가네요 추후 업뎃으로 dlss지원하고 특정보스 프레임 해결되면 좋겠네요
(IP보기클릭)221.162.***.***
스위치1으로 개발하다가 넘어와서 그런걸로 추측하더라구요 | 25.07.16 22:03 | | |
(IP보기클릭)121.152.***.***
(IP보기클릭)58.29.***.***
(IP보기클릭)125.180.***.***
아마 그게 큰거같습니다 추후 업뎃 기대해봐야죠 | 25.07.16 21:50 | | |
(IP보기클릭)59.20.***.***
추후업데이트로 가능한건가요? 제가 이쪽은 아예 몰라서 | 25.07.16 21:54 | | |
(IP보기클릭)211.34.***.***
글고보니, 스위치2도 지포스엿죠? DLSS안쓴게 의아하긴하지만, FSR도, 제가 PC에선 라데온을 쓰는데 나쁘지 않습니다. 3.1~4.0으로 올라가면서 성능이 상당히 좋아요. | 25.07.16 21:55 | | |
(IP보기클릭)125.180.***.***
게임발매되고 최적화 업뎃은 지원 여부는 제작자 맘인데 왠만하면 해준다고 봐야죠 스위치1개발하다가 스위치2는 런칭 했는데 퍼스트 런칭작은없고 그나마 개발중인 이겜을 급하게 전환하느라 최적화 신경 많이 못쓰고 스의치1개발하던가 가져와서 오브젝트 이런거 더추가하고 깡성능으로 밀어붙인 느낌이 강합니다 | 25.07.16 21:57 | | |
(IP보기클릭)211.34.***.***
어제 스위치1용으로 나온,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세일 8800원 하길래 삿는데 스위치2 깡성능으로 그냥 4K 까지 해상도가 올라가더군요. 제작사가 신경도 안썻는데 근데 캐바케인게, 깡성능이 먹히는겜도잇고, 그냥 자글자글 스위치1 그데로 돌아가는겜도잇고 일단 로딩은 확실 모든겜이 하위호환에선 빠른거같고 | 25.07.16 21:59 | | |
(IP보기클릭)125.180.***.***
문제는 스위치2는 dlss3.0기반이고 현재 겜에 적용된 fsr은 1 입니다 스위치1그대로 가져와서 오브젝트좀 추가하고 깡성능으로 밀어 붙인거 같아요 런칭작이 없으니 급하게 선회하다보니 생긴 문제 같음.. | 25.07.16 21:59 | | |
(IP보기클릭)118.45.***.***
스위치2가 DLSS를 지원하기때문에 DLSS로 바꾸는것도 닌텐도 및 개발팀의 의지만 있다면 가능하겠죠. 현세대 플스나 엑박은 엔디비아 GPU가 아니라서 의지가 있어도 DLSS 지원이 절대 불가능하지만 스위치2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미 사펑2077과 스파6 스위치2 버전이 DLSS를 지원하고 있기도 하고요. FSR1은 업스케일링 기술 중에서도 폐급 수준으로 구려서 바꿔주면 좋을거 같습니다. 지금보다 해상도 더 떨궈도 DLSS 쓰는게 FSR1보단 훨씬 선명하게 보일거에요. | 25.07.16 22:09 | | |
(IP보기클릭)49.170.***.***
(IP보기클릭)27.124.***.***
스위치1 때 초기 퍼스트 오딧세이 ,야숨 이랬지만 재미있게 했죠. | 25.07.16 21:55 | | |
(IP보기클릭)211.34.***.***
스위치2 즐기는, 지금보면 성능 참 뭐같앗던 스위치1에서도 젤다 야슘 나왓을때 와와 하고 8년전에 즐겻던거 같아요. 닌텐도 최적화 잘해줄겁니다. 젤다 신작 | 25.07.16 21:57 | | |
(IP보기클릭)211.234.***.***
재미를 떠나서 최적화 나쁘면 무슨 게임이든 말 나오는데 마카 다음으로 나오는 첫 퍼스트겜이 이러면 좀.. | 25.07.16 22:19 | | |
(IP보기클릭)211.34.***.***
(IP보기클릭)121.125.***.***
60에서 30까지 빠지는건 좀 거슬리긴하네
(IP보기클릭)118.45.***.***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246.***.***
(IP보기클릭)119.69.***.***
엑박 lfc 작동 안해요? 만날 플5 vrr 까는 레파토리가 플5는 lfc 없고 엑박은 lfc 있어서 작동한다 그 이야기였을건데요. | 25.07.16 22:12 | | |
(IP보기클릭)121.139.***.***
1. 트리플 버퍼링 사용 시 메모리를 더 먹습니다. 2. 엑박은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플스는 hdmi vrr을 지원하고 둘 다 lfc를 지원해서 vrr을 off되는 일은 없습니다. | 25.07.16 22:13 | | |
(IP보기클릭)220.84.***.***
그냥 스위치1에서 개발하다 그래픽만 좋게해서 가지고온듯 이게 아니면 설명이안됨 | 25.07.16 22:15 | | |
(IP보기클릭)1.246.***.***
lfc작동합니다 그래서 40프레임까지는 vrr이 작동하죠 40까지가 한계인데 그건 프리싱크 버전의 한계에요 플스는 그게 안되는거구요 | 25.07.16 22:15 | | |
(IP보기클릭)1.246.***.***
엑박 프리싱크는 40프레임까지일꺼에요. 그 이하로 내려가면 꺼져요. 플스도 비슷할꺼구요. 예를들어 디아블로 로당하거나 할때 일시적으로 프레임이 떨어질때가 있는데 바로 30프레임으로 추락해서 미동도 안하다가 바로 프레임 튀어오르죠. 비슷하게 프레임 드랍심한 게임에서 종종 발생합니다. | 25.07.16 22:20 | | |
(IP보기클릭)122.32.***.***
엑박은 OS에서 LFC를 지원해서 게임개발할때 신경 쓸일이 없지만 플스는 그렇지 않아서 각각의 게임에서 직접 프레임 뻥튀기를 해줘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게임내에서 LFC가 구현이 안되어있거나 VRR을 강제로 활성화 시킨 게임들은 48프레임 이하로 내려가면 티어링 생기거나 30프레임 고정시키거나 둘중 하나죠 | 25.07.16 22:38 | | |
(IP보기클릭)125.179.***.***
(IP보기클릭)125.179.***.***
그래도 게임 자체는 100시간도 우스울 수도 있겠네요. 지형을 파괴하고 길을 개척할 수 있다는 게 게임 시간 왕창 늘려줄 거 같습니다. | 25.07.16 22:17 | | |
(IP보기클릭)211.46.***.***
(IP보기클릭)49.174.***.***
(IP보기클릭)183.109.***.***
(IP보기클릭)59.7.***.***
(IP보기클릭)59.6.***.***
(IP보기클릭)27.124.***.***
스위치1때 런칭 타이틀 야숨이 그 프레임이였는데 ....업계 1위..한계?ㅎㅎㅎ | 25.07.16 22:53 | | |
(IP보기클릭)220.76.***.***
(IP보기클릭)222.108.***.***
(IP보기클릭)221.141.***.***
(IP보기클릭)124.5.***.***
(IP보기클릭)125.142.***.***
(IP보기클릭)121.139.***.***
(IP보기클릭)222.239.***.***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61.74.***.***
(IP보기클릭)76.168.***.***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9.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