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최근

[유머]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65]





0
분리수거
 
  • 스크랩
  • |
  • URL 복사
  • |
  • |
  • |
  • |
  • 네이버로공유
  • |
  • |

  • 댓글 | 65
    1
     댓글


    59.13.***.***

    BEST
    책 읽으며 계속해서 사유하는 것으로 정신적 성숙도에 경험치를 계속해서 줌. 단순히 지식의 정도가 커지는게 아니라 보다 깊게 생각할 수 있게 됨. 그러면 저런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있음.
    23.01.30 16:41

    222.114.***.***

    BEST
    진짜 요즘애들 깊게생각하는게 ㅈ도안됨 ㅅㅂ 읽지도않고 3줄요약타령만 처하는거 목비틀고싶어진다
    23.01.30 16:43

    118.44.***.***

    BEST
    사고는 언어를 통해서 하고 언어의 지평이 넓어지면 곧 사고의 지평이 넓어짐
    23.01.30 16:42

    59.22.***.***

    BEST
    차라리 "유투브같은 영상에 비해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이런식으로 물어봤으면 나았을텐데
    23.01.30 16:39

    223.39.***.***

    BEST

    23.01.30 16:51

    14.56.***.***

    BEST
    “글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정신적으로 성숙해짐. 장르가 중요한게 아니야.
    23.01.30 16:54

    59.13.***.***

    BEST
    장르에는 귀천이 없음. 장르 안에 귀천이 있는거지.
    23.01.30 16:54

    59.22.***.***

    BEST
    차라리 "유투브같은 영상에 비해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이런식으로 물어봤으면 나았을텐데
    23.01.30 16:39

    14.56.***.***

    매실소주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유튜브 보면 내용파악 쌉가능인데? | 23.01.30 16:53 | | |

    14.56.***.***

    반다비
    아씨 물음표 안달았다!! 아니 이게 제 의견이 아니고요 ㅠㅠ | 23.01.30 16:53 | | |

    211.231.***.***

    반다비
    같은내용을 습득하더라도 독서는 반추하는 시간을 가져서 머릿속에 깊게 새길 수 있고 자신만의 의견을 만들 수 있음 유튜브는 보는 당장은 알더라도 머릿속에서 금방 휘발됨 어휘력 증가는 추가능력이고 | 23.01.30 18:00 | | |

    14.32.***.***

    2023년 첫 우문현답
    23.01.30 16:39

    59.9.***.***

    저런 생각도 안하고 살 수 있지.
    23.01.30 16:40

    59.13.***.***

    BEST
    책 읽으며 계속해서 사유하는 것으로 정신적 성숙도에 경험치를 계속해서 줌. 단순히 지식의 정도가 커지는게 아니라 보다 깊게 생각할 수 있게 됨. 그러면 저런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있음.
    23.01.30 16:41

    59.1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모든 라노벨이 불쏘시개인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단언함 | 23.01.30 16:52 | | |

    14.56.***.***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글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정신적으로 성숙해짐. 장르가 중요한게 아니야. | 23.01.30 16:54 | | |

    223.3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왜 무쓸모야 읽단 뭐라도 읽어야지 다른것도 읽어 | 23.01.30 16:54 | | |

    59.13.***.***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장르에는 귀천이 없음. 장르 안에 귀천이 있는거지. | 23.01.30 16:54 | | |

    221.13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글읽는버릇을 들임으로써 다른 책을 읽고 접할기회가 많이 생김 됐냐? | 23.01.30 16:55 | | |

    221.138.***.***

    우후죽순.
    대가리나쁜거자랑하는것도 아니고 | 23.01.30 16:56 | | |

    121.142.***.***

    반다비
    이건 아닌듯.. 그래도 분별은 해야지 | 23.01.30 16:56 | | |

    14.5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응 너의 무자비한 시비 덕에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이 드는거 보니까 나는 문학적 성숙을 겪은거같아^^ | 23.01.30 16:57 | | |

    59.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그것도 다 나름의 쓸모가 있다. 판타지 소설이라고해서 아무짝에 쓸모없지않음. 그 세계가 눈에 보이는게 아니라 글로 적혀있으니 읽어가면서 그 세계를 구현화해서 이야기를 진행시켜가는건 읽는 사람의 뇌임. 그리고 뇌는 쓸수록 좋지 | 23.01.30 16:59 | | |

    221.13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그걸 네가 어떻게 단언하고 이야기함? ㅋㅋㅋ 본인 인증도 안된 분탕용 계정 들고와서 여러사람 피곤하게 하지말고 퇴근준비나해라 ㅋㅋㅋ | 23.01.30 17:00 | | |

    121.10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정말 의미없는 문장을 줄줄이 나열한 히틀러가 쓴 나의 투쟁같은 책이 아닌 이상 어느 정도 정돈된 문장 구성을 가진 책이면 충분히 도움됨 만화책만 보더라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도 함. | 23.01.30 17:00 | | |

    223.3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그래 알았어 | 23.01.30 17:02 | | |

    59.13.***.***

    행인A씨
    아... 쟤 일부러 저러는거구나; 괜히 신경쓸뻔했네 | 23.01.30 17:03 | | |

    221.138.***.***

    우후죽순.
    아 의미 없는 이야기였나? 여기서 분탕글이나 싸질르는거보면 어차피 골방개백수인생일텐데 ㅋㅋ | 23.01.30 17:07 | | |

    59.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추천 도서에 있든 없든 책을 읽음으로써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게 책을 읽는 이유가 되고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뇌는 운동한다. 당신은 책을 안 읽는 것 같으니 추천 도서라도 좀 읽고 사세요. | 23.01.30 17:07 | | |

    125.25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그 라노벨이라도 좀 읽어라 진짜ㅋㅋ | 23.01.30 18:07 | | |

    211.50.***.***

    학생때 국어 성적 좋은 이유가 딱 하나 책읽는거에 익숙하다는거였음.
    23.01.30 16:41

    121.166.***.***

    아리만
    부럽. 책읽기를 정말 좋아했는데 .. 고등학교 들어가서 첫 국어시험에서 좌절했음. | 23.01.30 17:22 | | |

    49.168.***.***

    전에는 독서가 두뇌활동을 더 자극한다고 했는데 요즘 출판사들 뻘짓하는거 보면 정말 맞는가 싶기도 해
    23.01.30 16:42

    121.148.***.***

    부공실사
    책들 교정안된거 볼때마다 자기네가 출판한 책도 제대로 안보는거 같은데 다른 책을 볼거라고 생각함? ㅋㅋㅋ | 23.01.30 16:46 | | |

    118.44.***.***

    BEST
    사고는 언어를 통해서 하고 언어의 지평이 넓어지면 곧 사고의 지평이 넓어짐
    23.01.30 16:42

    59.12.***.***

    저기서 말하는 책이 꼭 종이로 된 도서정가제 부산물을 말하는 것도 아닐 텐데
    23.01.30 16:43

    222.114.***.***

    BEST
    진짜 요즘애들 깊게생각하는게 ㅈ도안됨 ㅅㅂ 읽지도않고 3줄요약타령만 처하는거 목비틀고싶어진다
    23.01.30 16:43

    61.40.***.***

    루리웹-3809746910
    1단어 요약좀 | 23.01.30 16:47 | | |

    220.75.***.***

    루리웹-3809746910
    2줄이네 3줄요약좀(실제로 본 댓글) | 23.01.30 16:53 | | |

    175.121.***.***

    코카콜라ZERO
    현실이라고 믿고 싶지 않은 현실이군요 | 23.01.30 17:43 | | |

    175.197.***.***

    책 읽을때 효과 논문이 한 트럭 이상
    23.01.30 16:44

    125.179.***.***

    그 답을 알기 위해서 책을 읽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23.01.30 16:44

    222.101.***.***

    당장 책 읽기 시켜보면 알지
    23.01.30 16:44

    221.153.***.***

    공부잘하면 공부해서뭐하냐 질문안하지 ㅋㅋ
    23.01.30 16:45

    61.81.***.***

    난 아직 더 읽어야겠다 바로 논리적인 답변을 못하겠네
    23.01.30 16:46

    61.40.***.***

    책의 가장 큰 장점, 영상물 처럼 때려박는 형태의 습득수단이 아니라서 천천히 되새김질 해 볼 수 있음 이 사람의 말이 맞나 아닌가 부터 해서
    23.01.30 16:46

    121.141.***.***

    어떤책을 읽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인간, 인생사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되지.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고
    23.01.30 16:48

    118.235.***.***

    신문만 읽어도 나오는 심심한 사과를 드립니다라는 표현을 하나도 안심심해 이런 댓글 안 달 수 있지
    23.01.30 16:48

    223.39.***.***

    이런 빡대갈스러운 질문이 얼마나 부끄러운지 깨우쳐주지.
    23.01.30 16:50

    118.43.***.***

    책 좀 읽어라 시바 보고서 쓸때 초딩같은 문장 보면 진짜 개빡친다
    23.01.30 16:50

    223.39.***.***

    BEST

    23.01.30 16:51

    121.100.***.***

    동네아찌
    AI도 학습없이는 ↗도 안되는데... | 23.01.30 16:54 | | |

    168.131.***.***

    사실 책이 아니라도 길고 사유할 수 있는 글을 읽는 게 중요하지만 인터넷 환경에서는 빠르게 의견을 전달하는, 발언에 가까운 글을 쓰기 쉬워지다보니까 그런 '사유할 수 있는 긴 글' 을 얻는 데는 책만한 데가 없지 책은 일단 글을 쓰고 다듬고 완성해서 판매를 해야되니까
    23.01.30 16:52

    121.100.***.***

    요즘 애들 문해력이 낫다 뭐 그러면 통계 들고와서 그렇지 않다고 그러고 한자 같은건 단어 독해 도움도 안된다고 책 많이 읽으면 커버칠 수 있다는데... 정작 책을 안읽잖아 ㅎㅎㅎ
    23.01.30 16:52

    59.13.***.***

    전달하려는 내용을 내 걸로 만들기가 가장 편해
    23.01.30 16:54

    223.38.***.***

    그냥 재미로 읽는데? 재밌는게 장점임. 물론 장르소설을 많이 보는게 문제지만.. 베스트셀러도 간간히 본다구..!
    23.01.30 16:54

    121.100.***.***

    체육인
    만화책만 많이 읽어도 도움이 되긴함 요즘 애들 학습만화도 많이 읽는데 그것도 충분히 좋은 독서고 습관 | 23.01.30 16:58 | | |

    223.38.***.***

    체육인
    근데 퇴근하고 행정 경영 전공책 3시간 보는데 그것도 책 읽는걸로 쳐줍니까? 필기시험 봐야되서... | 23.01.30 19:48 | | |

    203.247.***.***

    맨날 3줄요약이나 찾음 : 심심이 독서를 열심히 함 : ChatGPT
    23.01.30 16:55

    118.235.***.***

    사실 3줄요약가능하려면 책을 한권잡고 읽는거말고는 답이 없다
    23.01.30 16:55

    210.123.***.***

    팩트는 말 안한다면서 바로 꽂아버리네 ㅋㅋㅋㅋㅋ
    23.01.30 16:55

    121.178.***.***

    책 좋아하고 속독 달인된 사람은 드라마같은 영상물 보기가 괴로움.
    23.01.30 16:57

    59.10.***.***

    루리웹-0033216493
    ㅋㅋ 드라마는 원래 그런거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정보찾기용으로 유튜브는 진짜 못보겠습니다 글로쓰면 한두줄이면 되는걸 원하는 정보 나올때까지 몇분이나 보고있어야 하니 고역이더군요 | 23.01.30 23:27 | | |

    58.231.***.***

    커뮤니티하고 있으면서 독서를 안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말고..
    23.01.30 17:02

    172.226.***.***

    인터넷 보급 초창기때부터 함께하면서 인터넷에 관한 온갖 환상도 가져봤던 세대인데, 제대로 된 정보를 얻으려면 결국 독서가 제일임. 인터넷은 얇고 방대한 정보는 많은데, 깊이있고 제대로 된 정보는 찾기 어려움. 그나마도 그 중 부정확하고 잘못된 정보가 대다수임. 문제는 확산 속도나 즉각적인 파급력만 강하다보니 잘못된 엉터리 정보가 순식간에 퍼져서 대중화 됨. 이런 저런 엉터리 정보가 가득한데, 다들 ‘옳은 정보’를 찾아 취합하기 보다는 자기 마음에 드는 정보를 선택해 받아들임. 근거는 그냥 나무위…인터넷 어디서 봤다더라 하는게 전부임. 그러고 나면 그 분야 전문지식 가진 사람이 말해도 안 통함. 그래서 요즘은 인터넷이 정보 접근의 허들을 낮췄니, 정보 권력을 민주화 했니 이런 말들에 회의적이 되었음. 제대로 된 정보는 여전히 책(전문 서적)과 논문 등의 전통적인 하드카피 매체에 압도적으로 많이 의존함. 그나마 예전보다는 그런 매체에 접근이 훨씬 쉬워졌고, 그런 정보를 판별하는 스킬을 얻기도 쉬워졌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그 작업은 많은 노력과 공부와 시간-돈의 비용지불이 필요함
    23.01.30 17:09

    172.226.***.***

    드림매냐
    이런 소리 하는게 내가 (인문학계열) 대학원생 입장이라 꼰대 소리 하는 걸지는 모르겠다만, 제대로 된 정보는 대부분 세 줄 요약 같은 걸 할 수가 없음. 요약을 하더라도, 그걸 읽는 사람이 그 요약을 올바르게 풀어서 받아들일 최소한의 기반이 있어야 요약된 내용을 주고받을 수 있음. 컴퓨터 파일로 예를 들더라도 파일 압축 기술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그걸 전송받은 쪽에서 압축을 올바르게 해제할 스킬이 있어야 그걸로 주고받을 수 있는거지, 받는 쪽에서 압축 풀 기반도 없으면서 무작정 ‘내용 요약 좀’ ‘압축 좀’ 한다고 그게 제대로 전달 될 리가… 그래서 난 개인적으로, 인터넷에서 긴 글 읽기 싫은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라 생각하지만(개인 취향이기도 하고, 가독성 문제 때문에 책은 잘 읽어도 인터넷 글 긴 건 잘 못 읽겠다 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 대뜸 3줄 요약 운운하는 사람들은 좀 별로임… 글을 짧게 요약해 쓰면서도 원문 내용을 그대로 담는 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도 아니고, 제대로 된 전달이 되기도 어려움. 그나마의 핵심 전달이라도 되려면 받는 쪽에서도 그 정도의 준비와 기반이 있어야 가능함. 해당 주제에 관해 수용자 본인이 얼마나 어떤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도 알 수 없는 입장에서 뭘 어떻게 요약해달라는 건지 모르겠음 | 23.01.30 17:20 | | |

    14.56.***.***

    드림매냐
    한 예로 철학적인 내용에 대해 인터넷에서 서로 이야기를 한다치면, 그냥 혈액형별 성격차이나 MBTI 같은 유사과학 흥미거리 수준의 대화라면 별 상관없겠지만 깊이 있는 철학 주제들은 절대 3줄 요약 같은거 할 수 없음. 이런 주제는 단어 하나 사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내용이 완전 달라지기도 하고, 같은 단어를 어떤 학자가 사용했느냐에 따라 미묘한 의미 차이가 발생함. 번역상의 문제도 있어서 어떤 민감한 단어는 단어 하나 사용에도 따로 부연설명이 필요한 경우도 많음. 이런 내용을 억지 축약, 요약하려면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특정 철학 사상을 대표 학자의 이름으로 퉁치는 방법임. "그 부분은 화이트헤드가 ㅇㅇㅇ(저서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하면 끝임(사실 논문이 이런 식으로 쓰여짐) 근데 이런 식의 대화가 통하려면 최소한 수용자 역시 화이트헤드가 누군지, 무슨 주장을 했는지, 대표 저서는 어떤게 있는지를 상호간 알고 있어야 요약이 가능하다는 뜻... 이런 준비도 없이 그냥 글 길이가 길다고 무턱대고 "3줄 요약요~" 하면 요약할 방법이 없음. | 23.01.30 17:48 | | |

    59.14.***.***


    한줄평 : "도구는 인간의 뇌를 바꾼다. 이는 인터넷, 모바일, 기타 IT기술도 마찬가지이다. 그 방향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잘 판단해야 한다." 요약 : 1. 뇌는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며, 우리의 반복된 행동과 사고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구조를 변형한다.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가 있다. 2. 뇌가 어느 방향으로 적응하고나면, 그 반대방향으로 행동하거나 사고하기란 무척 힘들다. 뇌가 변화하며 일방적인 활동에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이다. 3. 인터넷과 모바일 등 최신 IT기술은 우리 뇌를 즉각적인 반응과 새로운 정보에만 민감하게 만들어 깊은 생각과 창의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부분을 억제한다. 4. 이러한 작용을 통해 인터넷의 집중적인 활용은 기억력, 집중력,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이해(스키마), 문제해결에 대한 분석력 등을 저하시킨다. 5. 하지만 인터넷사용은 우리 뇌를 빠른 판단과 연결성, 정보를 찾는 능력을 길러준다. 6. 어떤 부분이 맞는지는 본인의 판단이다. 다만 진정한 지식인은 인터넷에 맞춰진 뇌를 가진 사람은 아닐 것이다. 출처는 https://lifegame-levelup.tistory.com/16
    23.01.30 17:17

    61.253.***.***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 만 책이라고 생각하는 능지가 처참한 인사들이 있습니다.
    23.01.30 17:19
    책 읽는게 부담스럽고 뭘 읽어야될지 모르겠다면 가볍게 읽을만한 잡지책 컬럼 글이라던가 심지어 몇 줄에 몇 문장만 띡 박혀있는 에세이 책이라도 읽어보는게 좋음. 당장 뭐 책 속에 지식을 뇌 속에 주입시키는 것보다 일단 글을 읽고 문장을 읽는 습관 길들이기부터 가볍게 시작해야지
    23.01.30 17:21

    117.111.***.***

    독서를 게을리 하고 있었는데, 이 글을 보고 다시 책을 폈습니다...
    23.01.30 18:51

    121.139.***.***

    기분이 좀 릴렉스~ 되는 느낌. 영상은 책의 그 무미건조하고 침착한 느낌이 안 나
    23.01.31 01:41


    1
     댓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3.21
    57774658 공지 유머 게시판 통합 공지 _루리 18 62611 2022.06.30
    질문 질문 휴대폰 공시지원금 질문입니다. (1) 샘프리1997 79 10:12
    바이오하자 질문 DLC팩 보석은 언제 먹을수있나요? (1) 루리웹-6335058389 22 10:16
    바이오하자 질문 총알 일부러 낭비하면 더 많이 총알 주나요? (1) JoonKimDMD 55 10:14
    60906165 잡담 안해시ㅂ 1 10:26
    60906164 잡담 시엘라 1 10:26
    60906163 유머 퍼팩트범골 2 10:26
    60906162 애니/만화 르브론 제임스 4 10:26
    60906161 잡담 홀리주작 10 10:25
    60906160 유머 Cortana 30 10:25
    60906159 유머 THE오이리턴즈! 25 10:25
    60906158 게임 홀릭패밀리 76 10:25
    60906157 유머 riemfke 1 79 10:25
    60906156 잡담 로딩그 23 10:25
    60906155 잡담 노곤한 마왕님 26 10:24
    60906154 잡담 한점한잔 33 10:24
    60906153 잡담 슈텐바이첼 44 10:24
    60906152 잡담 죄수번호 0480235217 34 10:24
    60906151 잡담 ghyu289jd 37 10:24
    60906150 유머 퍼팩트범골 39 10:24
    60906149 잡담 없으면포기한다 52 10:24
    60906148 유머 루리웹-1892834534 1 53 10:24
    60906147 잡담 29250095088 55 10:24
    60906146 애니/만화 토네르 41 10:24
    60906145 잡담 루리웹-8900234780 38 10:24
    60906144 애니/만화 카시마 38 10:24
    60906143 잡담 그려 22 10:24
    60906142 잡담 킴아스 1 44 10:24
    60906141 게임 빗치 1 30 10:24
    60906140 잡담 토키도사야 71 10:23
    60906139 유머 루리웹-6174463494 1 92 10:23
    60906138 애니/만화 뷰티샵 2 66 10:23
    글쓰기 21924498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