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cd95\uad6c","rank":11},{"keyword":"\ub9d0\ub538","rank":1},{"keyword":"\uc6d0\uc2e0","rank":-2},{"keyword":"@","rank":1},{"keyword":"PC","rank":9},{"keyword":"\uc720\ud76c\uc655","rank":-2},{"keyword":"\ud6c4\ubc29","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2},{"keyword":"\uc18c\uac10","rank":"new"},{"keyword":"\ub77c\uc624","rank":-1},{"keyword":"\uc2a4\ud300\ud310","rank":"new"},{"keyword":"\uc6cc\ud574\uba38","rank":-6},{"keyword":"\uc815\ubcf4","rank":"new"},{"keyword":"\ud38c","rank":"new"},{"keyword":"\uc2a4\ud300","rank":"new"},{"keyword":"\uc9c8\ubb38","rank":"new"},{"keyword":"vr","rank":"new"},{"keyword":"\ud3ec\uce08","rank":"new"},{"keyword":"\uc871\ud1a0","rank":-12},{"keyword":"\uadf8\ub9ac\ub4dc\ub9e8","rank":-1}]
59.13.***.***
책 읽으며 계속해서 사유하는 것으로 정신적 성숙도에 경험치를 계속해서 줌. 단순히 지식의 정도가 커지는게 아니라 보다 깊게 생각할 수 있게 됨. 그러면 저런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있음.
222.114.***.***
진짜 요즘애들 깊게생각하는게 ㅈ도안됨 ㅅㅂ 읽지도않고 3줄요약타령만 처하는거 목비틀고싶어진다
118.44.***.***
사고는 언어를 통해서 하고 언어의 지평이 넓어지면 곧 사고의 지평이 넓어짐
59.22.***.***
차라리 "유투브같은 영상에 비해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이런식으로 물어봤으면 나았을텐데
223.39.***.***
14.56.***.***
“글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정신적으로 성숙해짐. 장르가 중요한게 아니야.
59.13.***.***
장르에는 귀천이 없음. 장르 안에 귀천이 있는거지.
59.22.***.***
차라리 "유투브같은 영상에 비해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이런식으로 물어봤으면 나았을텐데
14.56.***.***
책 읽기의 장점이 뭐야? 유튜브 보면 내용파악 쌉가능인데? | 23.01.30 16:53 | | |
14.56.***.***
아씨 물음표 안달았다!! 아니 이게 제 의견이 아니고요 ㅠㅠ | 23.01.30 16:53 | | |
211.231.***.***
같은내용을 습득하더라도 독서는 반추하는 시간을 가져서 머릿속에 깊게 새길 수 있고 자신만의 의견을 만들 수 있음 유튜브는 보는 당장은 알더라도 머릿속에서 금방 휘발됨 어휘력 증가는 추가능력이고 | 23.01.30 18:00 | | |
14.32.***.***
59.9.***.***
59.13.***.***
책 읽으며 계속해서 사유하는 것으로 정신적 성숙도에 경험치를 계속해서 줌. 단순히 지식의 정도가 커지는게 아니라 보다 깊게 생각할 수 있게 됨. 그러면 저런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있음.
59.13.***.***
루리웹-5576260728
모든 라노벨이 불쏘시개인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단언함 | 23.01.30 16:52 | | |
14.5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글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정신적으로 성숙해짐. 장르가 중요한게 아니야. | 23.01.30 16:54 | | |
223.39.***.***
루리웹-5576260728
왜 무쓸모야 읽단 뭐라도 읽어야지 다른것도 읽어 | 23.01.30 16:54 | | |
59.1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5576260728
장르에는 귀천이 없음. 장르 안에 귀천이 있는거지. | 23.01.30 16:54 | | |
221.138.***.***
루리웹-5576260728
글읽는버릇을 들임으로써 다른 책을 읽고 접할기회가 많이 생김 됐냐? | 23.01.30 16:55 | | |
221.138.***.***
대가리나쁜거자랑하는것도 아니고 | 23.01.30 16:56 | | |
121.142.***.***
이건 아닌듯.. 그래도 분별은 해야지 | 23.01.30 16:56 | | |
14.56.***.***
루리웹-5576260728
응 너의 무자비한 시비 덕에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이 드는거 보니까 나는 문학적 성숙을 겪은거같아^^ | 23.01.30 16:57 | | |
59.0.***.***
루리웹-5576260728
그것도 다 나름의 쓸모가 있다. 판타지 소설이라고해서 아무짝에 쓸모없지않음. 그 세계가 눈에 보이는게 아니라 글로 적혀있으니 읽어가면서 그 세계를 구현화해서 이야기를 진행시켜가는건 읽는 사람의 뇌임. 그리고 뇌는 쓸수록 좋지 | 23.01.30 16:59 | | |
221.138.***.***
루리웹-5576260728
그걸 네가 어떻게 단언하고 이야기함? ㅋㅋㅋ 본인 인증도 안된 분탕용 계정 들고와서 여러사람 피곤하게 하지말고 퇴근준비나해라 ㅋㅋㅋ | 23.01.30 17:00 | | |
121.100.***.***
루리웹-5576260728
정말 의미없는 문장을 줄줄이 나열한 히틀러가 쓴 나의 투쟁같은 책이 아닌 이상 어느 정도 정돈된 문장 구성을 가진 책이면 충분히 도움됨 만화책만 보더라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도 함. | 23.01.30 17:00 | | |
223.39.***.***
루리웹-5576260728
그래 알았어 | 23.01.30 17:02 | | |
59.13.***.***
아... 쟤 일부러 저러는거구나; 괜히 신경쓸뻔했네 | 23.01.30 17:03 | | |
221.138.***.***
아 의미 없는 이야기였나? 여기서 분탕글이나 싸질르는거보면 어차피 골방개백수인생일텐데 ㅋㅋ | 23.01.30 17:07 | | |
59.0.***.***
루리웹-5576260728
추천 도서에 있든 없든 책을 읽음으로써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게 책을 읽는 이유가 되고 책을 읽으며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뇌는 운동한다. 당신은 책을 안 읽는 것 같으니 추천 도서라도 좀 읽고 사세요. | 23.01.30 17:07 | | |
125.250.***.***
루리웹-5576260728
그 라노벨이라도 좀 읽어라 진짜ㅋㅋ | 23.01.30 18:07 | | |
211.50.***.***
121.166.***.***
부럽. 책읽기를 정말 좋아했는데 .. 고등학교 들어가서 첫 국어시험에서 좌절했음. | 23.01.30 17:22 | | |
49.168.***.***
121.148.***.***
책들 교정안된거 볼때마다 자기네가 출판한 책도 제대로 안보는거 같은데 다른 책을 볼거라고 생각함? ㅋㅋㅋ | 23.01.30 16:46 | | |
118.44.***.***
사고는 언어를 통해서 하고 언어의 지평이 넓어지면 곧 사고의 지평이 넓어짐
59.12.***.***
222.114.***.***
진짜 요즘애들 깊게생각하는게 ㅈ도안됨 ㅅㅂ 읽지도않고 3줄요약타령만 처하는거 목비틀고싶어진다
61.40.***.***
1단어 요약좀 | 23.01.30 16:47 | | |
220.75.***.***
2줄이네 3줄요약좀(실제로 본 댓글) | 23.01.30 16:53 | | |
175.121.***.***
현실이라고 믿고 싶지 않은 현실이군요 | 23.01.30 17:43 | | |
175.197.***.***
125.179.***.***
222.101.***.***
221.153.***.***
61.81.***.***
61.40.***.***
121.141.***.***
118.235.***.***
223.39.***.***
118.43.***.***
223.39.***.***
121.100.***.***
AI도 학습없이는 ↗도 안되는데... | 23.01.30 16:54 | | |
168.131.***.***
121.100.***.***
59.13.***.***
223.38.***.***
121.100.***.***
만화책만 많이 읽어도 도움이 되긴함 요즘 애들 학습만화도 많이 읽는데 그것도 충분히 좋은 독서고 습관 | 23.01.30 16:58 | | |
223.38.***.***
근데 퇴근하고 행정 경영 전공책 3시간 보는데 그것도 책 읽는걸로 쳐줍니까? 필기시험 봐야되서... | 23.01.30 19:48 | | |
203.247.***.***
118.235.***.***
210.123.***.***
121.178.***.***
59.10.***.***
ㅋㅋ 드라마는 원래 그런거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정보찾기용으로 유튜브는 진짜 못보겠습니다 글로쓰면 한두줄이면 되는걸 원하는 정보 나올때까지 몇분이나 보고있어야 하니 고역이더군요 | 23.01.30 23:27 | | |
58.231.***.***
172.226.***.***
172.226.***.***
이런 소리 하는게 내가 (인문학계열) 대학원생 입장이라 꼰대 소리 하는 걸지는 모르겠다만, 제대로 된 정보는 대부분 세 줄 요약 같은 걸 할 수가 없음. 요약을 하더라도, 그걸 읽는 사람이 그 요약을 올바르게 풀어서 받아들일 최소한의 기반이 있어야 요약된 내용을 주고받을 수 있음. 컴퓨터 파일로 예를 들더라도 파일 압축 기술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그걸 전송받은 쪽에서 압축을 올바르게 해제할 스킬이 있어야 그걸로 주고받을 수 있는거지, 받는 쪽에서 압축 풀 기반도 없으면서 무작정 ‘내용 요약 좀’ ‘압축 좀’ 한다고 그게 제대로 전달 될 리가… 그래서 난 개인적으로, 인터넷에서 긴 글 읽기 싫은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라 생각하지만(개인 취향이기도 하고, 가독성 문제 때문에 책은 잘 읽어도 인터넷 글 긴 건 잘 못 읽겠다 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 대뜸 3줄 요약 운운하는 사람들은 좀 별로임… 글을 짧게 요약해 쓰면서도 원문 내용을 그대로 담는 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도 아니고, 제대로 된 전달이 되기도 어려움. 그나마의 핵심 전달이라도 되려면 받는 쪽에서도 그 정도의 준비와 기반이 있어야 가능함. 해당 주제에 관해 수용자 본인이 얼마나 어떤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도 알 수 없는 입장에서 뭘 어떻게 요약해달라는 건지 모르겠음 | 23.01.30 17:20 | | |
14.56.***.***
한 예로 철학적인 내용에 대해 인터넷에서 서로 이야기를 한다치면, 그냥 혈액형별 성격차이나 MBTI 같은 유사과학 흥미거리 수준의 대화라면 별 상관없겠지만 깊이 있는 철학 주제들은 절대 3줄 요약 같은거 할 수 없음. 이런 주제는 단어 하나 사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내용이 완전 달라지기도 하고, 같은 단어를 어떤 학자가 사용했느냐에 따라 미묘한 의미 차이가 발생함. 번역상의 문제도 있어서 어떤 민감한 단어는 단어 하나 사용에도 따로 부연설명이 필요한 경우도 많음. 이런 내용을 억지 축약, 요약하려면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특정 철학 사상을 대표 학자의 이름으로 퉁치는 방법임. "그 부분은 화이트헤드가 ㅇㅇㅇ(저서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하면 끝임(사실 논문이 이런 식으로 쓰여짐) 근데 이런 식의 대화가 통하려면 최소한 수용자 역시 화이트헤드가 누군지, 무슨 주장을 했는지, 대표 저서는 어떤게 있는지를 상호간 알고 있어야 요약이 가능하다는 뜻... 이런 준비도 없이 그냥 글 길이가 길다고 무턱대고 "3줄 요약요~" 하면 요약할 방법이 없음. | 23.01.30 17:48 | | |
59.14.***.***
한줄평 : "도구는 인간의 뇌를 바꾼다. 이는 인터넷, 모바일, 기타 IT기술도 마찬가지이다. 그 방향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잘 판단해야 한다." 요약 : 1. 뇌는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며, 우리의 반복된 행동과 사고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구조를 변형한다. 이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가 있다. 2. 뇌가 어느 방향으로 적응하고나면, 그 반대방향으로 행동하거나 사고하기란 무척 힘들다. 뇌가 변화하며 일방적인 활동에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이다. 3. 인터넷과 모바일 등 최신 IT기술은 우리 뇌를 즉각적인 반응과 새로운 정보에만 민감하게 만들어 깊은 생각과 창의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부분을 억제한다. 4. 이러한 작용을 통해 인터넷의 집중적인 활용은 기억력, 집중력,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이해(스키마), 문제해결에 대한 분석력 등을 저하시킨다. 5. 하지만 인터넷사용은 우리 뇌를 빠른 판단과 연결성, 정보를 찾는 능력을 길러준다. 6. 어떤 부분이 맞는지는 본인의 판단이다. 다만 진정한 지식인은 인터넷에 맞춰진 뇌를 가진 사람은 아닐 것이다. 출처는 https://lifegame-levelup.tistory.com/16
61.253.***.***
210.94.***.***
117.111.***.***
12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