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cf00\uc774\ud31d","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c2e0\uc9c0","rank":"new"},{"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0},{"keyword":"\ud2b8\ub9ad\uceec","rank":-2},{"keyword":"@","rank":-1},{"keyword":"\uba85\uc870","rank":1},{"keyword":"\uac74\ub2f4","rank":4},{"keyword":"\ub2c8\ucf00","rank":4},{"keyword":"\ub9d0\ub538","rank":0},{"keyword":"\ub9bc\ubc84\uc2a4","rank":-5},{"keyword":"\uae40\uc7ac\ud658","rank":-3},{"keyword":"2\ub9cc\uc6d0","rank":1},{"keyword":"\uc57c\uad6c","rank":"new"},{"keyword":"\uc18c\uc8042","rank":-8},{"keyword":"\ub358\ud30c","rank":-5},{"keyword":"\ub9c8\ube44m","rank":-2},{"keyword":"\uc6d0\ud53c\uc2a4","rank":"new"},{"keyword":"\uc18c\uc804","rank":"new"},{"keyword":"\uc544\uc774\uc5b8\ud558\ud2b8","rank":"new"}]
(IP보기클릭)175.211.***.***
그거 소용없음 어차피 탄산빠지는 거는 뚜껑 열때 + 저렇게 내부 공기로 나가는게 99%라서...
(IP보기클릭)116.47.***.***
공기와 닿는 표면적이 적어져서 탄산 빠지는 속도가 늦춰짐 그냥 둔거보다는 덜빠지더라
(IP보기클릭)175.206.***.***
애들이 유게에서 유머하는거잖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마 상식적으로 콜라가 남을리가 있나
(IP보기클릭)175.223.***.***
한달 지났으면 새로사자
(IP보기클릭)166.104.***.***
뒤집는건 의미 없음
(IP보기클릭)122.32.***.***
탄산을 왜 보존식으로 써요
(IP보기클릭)133.5.***.***
ㄴ라는 느낌이 드는것일 뿐임. 예전에 그 뭔 방송에서 뒤집는거, 공기빼는거 등등 여러 방법이 나왔는데, 실제로 차이가 0.X%대여서 사람이 체감하기는 불가능하다함.
(IP보기클릭)61.74.***.***
펩시는 맛있어서 하루컷하고 코카콜라는 몇일뒀단거지?
(IP보기클릭)114.200.***.***
저기압이면 물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이 줄어서 오히려 탄산이 빠질텐데 ?
(IP보기클릭)58.76.***.***
저기압이 문제가 아니라 탄산이 올라오면서 찌그러진 내부 공간을 다시 펴버린다. 아무 쓸모 없음.
(IP보기클릭)49.171.***.***
(IP보기클릭)59.31.***.***
먹을만큼 먹고 작은 피티 움기는 것도 괜찮음 | 20.02.18 11:31 | | |
(IP보기클릭)223.39.***.***
오히려 역효과 저러면 페트병이 원래 형태로 돌아오려는 탄성 때문에 내부 압력이 낮아져서 녹아있던 탄산이 오히려 나옴. 기체가 액상에 잘 녹는 방법은 저온,고압 상태라서 입구 잘 밀봉하고 냉장보관 하는게 제일임 | 20.02.18 12:24 | | |
(IP보기클릭)39.7.***.***
공감. 이게 답임 | 20.02.18 14:01 | | |
(IP보기클릭)182.214.***.***
탄산이 빠져나가는 이유부터 잘못 생각하고 있음. 먹다남은 콜라 탄산이 계속 빠져나가는 건 뚜껑을 열 때 일부 나가는 것도 있지만 먹다 남아서 공기로 찬 공간으로 계속 이산화탄소가 흘러나오는 것임. 페트병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힘 때문에 압력이 조금 줄어들겠지만 그게 얼마나 된다고 큰 차이를 보이겠음? https://if-blog.tistory.com/m/5116 | 20.02.19 02:41 | | |
(IP보기클릭)116.255.***.***
해보고나 얘기하셈... 훨씬 탄산 오래감 | 20.02.19 08:29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25.143.***.***
위:
ㄴㄴ 저기압에서 더 빨리빠짐 그냥 공기와 닿는 표면적을 줄이는거뿐임 | 20.02.18 11:15 | | |
(IP보기클릭)211.36.***.***
아 표면적이구나 | 20.02.18 11:16 | | |
(IP보기클릭)118.42.***.***
표면적도 표면적인데 내부 빈 공간 자체를 줄여서 탄산이 빠질 공간 자체를 없앤다는게 큼. | 20.02.18 11:52 | | |
(IP보기클릭)119.197.***.***
이게 잘못된게 공기가 없다고 탄산이 안빠지는게 아님. 탄산주입할때 공기가 필요없듯이 다시 액체에서 기체로 분리될때도 마찬가지. 예로 공기뺀 콜라를 흔들어보면 순식간에 부품. 다만 공기가 없으면 흔들림이 적고 그러면 에너지를 덜받으니 덜 빠져나거는것뿐 | 20.02.18 11:55 | | |
(IP보기클릭)175.203.***.***
https://if-blog.tistory.com/m/5116 뚜껑을 연 상태에서 병을 찌그러뜨린 후 다시 뚜껑을 닫아 보관하게 되면, 병 안의 빈 공간이 적어져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올 공간도 적어지기 때문에 김이 빠지는 것을 조금은 막을 수 있습니다. 어차피 한 번 뚜껑을 열면 완벽한 밀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병 밖으로 나오는 기체의 양은 비슷하다고 하면, 이산화탄소가 음료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 자체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대로는 화학2 반응속도 파트에서 배우는 부분이라 보통 모르는게 정상임. | 20.02.18 12:07 | | |
(IP보기클릭)119.197.***.***
와... 이런걸 교육부에서 만들었다니.. 반응속도 파트에서라면 공기가 탄산과 반응하는 식이 존재해야되는데, 그런게없이 탄산은 H2O와 CO2가 H2CO3로 가압되어 만들어졌다가 다시 돌아오는과정이라 공기중 특정성분이 위 반응식에 개입할 여지가 없어서 의미없음. 오히려 공기가 많으면 공기중 CO2가 이산화탄소가 물에서 빠져나가는걸 막는걸 도와주겠지(화2 반응속도파트 배웠으니 알꺼야). | 20.02.18 12:24 | | |
(IP보기클릭)119.197.***.***
구겼을때 복원이 불가능한 용기라면 구겨놓는게 맞는데.. 손만놓아도 다시 펴지려고하는 페트병이니까 그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거고 난.. | 20.02.18 12:25 | | |
(IP보기클릭)175.203.***.***
그 탄성에 의한 기압차가 용기를 구겨 빈 공간을 줄여 낮추는 분압차에 비하면 의미없을 정도로 작아서 저게 효과가 있는거. | 20.02.18 12:28 | | |
(IP보기클릭)119.197.***.***
와... 그러네 내가 잘못생각하고 있었다.... | 20.02.18 12:35 | | |
(IP보기클릭)119.197.***.***
진짜 오랜만에 생각해봤다 설명 고마워 | 20.02.18 12:36 | | |
(IP보기클릭)125.132.***.***
(IP보기클릭)175.208.***.***
...............
해봤는데 뒤집어도 빠짐 | 20.02.18 11:10 | | |
(IP보기클릭)175.211.***.***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
그거 소용없음 어차피 탄산빠지는 거는 뚜껑 열때 + 저렇게 내부 공기로 나가는게 99%라서... | 20.02.18 11:10 | | |
(IP보기클릭)219.254.***.***
...............
해봤는데 기분탓인가 더 빨리 빠지는거같던데 ㅎ | 20.02.18 11:12 | | |
(IP보기클릭)112.163.***.***
뒤집는 과정에서 흔들리면서 빠지는거같더라 | 20.02.18 11:14 | | |
(IP보기클릭)166.104.***.***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
뒤집는건 의미 없음 | 20.02.18 11:12 | | |
(IP보기클릭)210.210.***.***
장기보관할 땐 의미 있긴 함 뒤집으면 출구가 없어지니 나오는데 한계가 있긴 있거든 한 달쯤 지나서 먹어보면 뒤집은 건 남아있고 안 뒤집은 건 다 빠짐 | 20.02.18 11:15 | | |
(IP보기클릭)175.223.***.***
케장사생팬
한달 지났으면 새로사자 | 20.02.18 11:16 | | |
(IP보기클릭)122.32.***.***
케장사생팬
탄산을 왜 보존식으로 써요 | 20.02.18 11:17 | | |
(IP보기클릭)166.104.***.***
페트병 기준 안뜯은 콜라나 뜯은콜라나 밀봉력엔 차이가 없는데, 안뜯은 콜라를 한달씩 놔둬도 김이 빠지진 않음. 뜯은 콜라 안뒤집어놨다고 김빠진다는건 그냥 뚜껑을 꽉 안잠궈서 그럴것. | 20.02.18 11:21 | | |
(IP보기클릭)175.197.***.***
페트병 콜라 안 뜯은거도 오래 두면 빠지던데.. | 20.02.18 11:35 | | |
(IP보기클릭)121.142.***.***
페트병 기준 뜯은 콜라와 안뜯은 콜라의 밀봉력은 어마어마하게 차이납니다. 처음 뜯을 때 병 목에 있는 프라스틱 고리가 잡아주는 힘이 엄청난데 차이가 없으면 콜라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2일 이었겟죠 | 20.02.18 11:36 | | |
(IP보기클릭)166.104.***.***
플라스틱 고리 그거 없어도 꽉 돌려서 잠그면 거기서 거기던데. 평범한 페트병 잠그는 정도로 말고 힘 더 써서 돌리면 됨 | 20.02.18 11:49 | | |
(IP보기클릭)182.214.***.***
플라스틱 고리는 그냥 새거라는 거 표시용임. 꽉 잠그면 똑같지 1~2일 오버임.... | 20.02.19 02:42 | | |
(IP보기클릭)27.179.***.***
...............
뒤집지마요. 다시 돌릴때 더 빠지잖아. | 20.02.18 11:51 | | |
(IP보기클릭)116.47.***.***
공기와 닿는 표면적이 적어져서 탄산 빠지는 속도가 늦춰짐 그냥 둔거보다는 덜빠지더라
(IP보기클릭)133.5.***.***
Ruforn
ㄴ라는 느낌이 드는것일 뿐임. 예전에 그 뭔 방송에서 뒤집는거, 공기빼는거 등등 여러 방법이 나왔는데, 실제로 차이가 0.X%대여서 사람이 체감하기는 불가능하다함. | 20.02.18 11:13 | | |
(IP보기클릭)218.235.***.***
표면적이 아니라 탄산이 빠져나와서 공기로 있을 공간 자체를 줄이는거임 | 20.02.18 11:26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75.20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드로드
애들이 유게에서 유머하는거잖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마 상식적으로 콜라가 남을리가 있나 | 20.02.18 11:15 | | |
(IP보기클릭)223.62.***.***
코카콜라는 남기게됨 | 20.02.18 11:28 | | |
(IP보기클릭)110.70.***.***
(IP보기클릭)59.0.***.***
(IP보기클릭)182.227.***.***
게이일수도 있지 왜그래여 | 20.02.18 11:14 | | |
(IP보기클릭)124.56.***.***
여자 손이라고 다 가늘고 이쁘고 그런건아니지.. | 20.02.18 11:28 | | |
(IP보기클릭)114.200.***.***
저기압이면 물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이 줄어서 오히려 탄산이 빠질텐데 ?
(IP보기클릭)175.198.***.***
이게 맞을거 같은데 | 20.02.18 11:15 | | |
(IP보기클릭)58.127.***.***
이게맞다 용기가원상복귀되려는 힘때문에 내부가저기압되서 탄산이 더빠지면 더빠지지 덜빠지진않고 보존하려면 고압으로해줘야하는데 가정에서 될리가... | 20.02.18 11:17 | | |
(IP보기클릭)166.104.***.***
그래서 뚜껑 대신 끼우는 작은 펌프 있음. 몇천원 하던가 | 20.02.18 11:22 | | |
(IP보기클릭)110.70.***.***
플라스틱 찌그러진게 왜 원상복구 되려고 하는데? | 20.02.18 11:27 | | |
(IP보기클릭)110.70.***.***
위의 방법은 기압하곤 상관 없다 | 20.02.18 11:28 | | |
(IP보기클릭)124.56.***.***
찌그러지는게 아니니까요 님이 직접 해보셈 새거 따서 컵에 따르고 빈 공간 없게 누른뒤에 뚜껑닫고 열면 누른 모양 그대로있나 | 20.02.18 11:30 | | |
(IP보기클릭)121.154.***.***
복원력이 조금이라도 있는거 아님 ? | 20.02.18 11:32 | | |
(IP보기클릭)121.154.***.***
열경화성 플라스틱에다 열가한거도 아닐테고 | 20.02.18 11:33 | | |
(IP보기클릭)110.70.***.***
그렇게 안되게 짤처럼 확실하게 찌그러뜨려야지 | 20.02.18 11:34 | | |
(IP보기클릭)124.56.***.***
짤처럼 저렇게 많이 먹은 상태를 얘기하는게 아니라 사진은 왜 저걸 올린지는 모르겠지만 본문을 보면 안넘칠 정도로 빈 공간 없앤 후에 뚜껑을 닫는다라고 되어있어요 적당히 먹고 꽤 많이 남아있을 때 해당되는거겠죠? 그럴 때 뚜껑 열면 원상복구가 바로되겠죠 | 20.02.18 11:39 | | |
(IP보기클릭)110.70.***.***
이거보고 찾아봤는데 이미 스펀지에서 실험해봤고 덜빠진다고 결론냄 | 20.02.18 11:42 | | |
(IP보기클릭)175.194.***.***
저기압은 일부러 공기빼는 탄산용 펌프뚜껑 쓴 경우고 쟤는 페트병 자체를 찌그러트린거라 기압은 상관없음 그냥 보존용기 사이즈가 작아진거지 | 20.02.18 11:51 | | |
(IP보기클릭)58.127.***.***
무거운걸로 눌러두면 되겠지만 보통 일반 가정집 냉장고에 그리두지는 않지 | 20.02.18 11:54 | | |
(IP보기클릭)125.188.***.***
1, 안에 내용물이 있을 경우에 찌그러짐이 돌아오지 않을 정도로 만들기는 쉽지 않고. 2. 액체에 녹아 있는 기체(탄산 속 이산화탄소)가 다시금 기체 상태로 돌아오면서 부피가 커지니까 팽창함과 동시에 원래 페트병 상태로 원복할 가능성이 있음. 3, 페트병이 원 상태로 돌아오려고 함과 동시에 내부에는 존재하는 기체가 원래 부피보다 커지므로 저기압 상태가 됨. 4,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콜라 속 기체가 밖으로 나와 기압을 유지하려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고, 이는 콜라의 탄산 유지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 20.02.18 12:44 | | |
(IP보기클릭)121.160.***.***
(IP보기클릭)210.179.***.***
(IP보기클릭)61.74.***.***
경단_
펩시는 맛있어서 하루컷하고 코카콜라는 몇일뒀단거지? | 20.02.18 11:17 | | |
(IP보기클릭)126.234.***.***
(IP보기클릭)118.1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0.02.18 11:19 | | |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14.161.***.***
(IP보기클릭)218.235.***.***
애초에 기본뚜껑으로도 공기는 거의 밀봉됨 탄산이 나올 공간 자체를 줄여버리는 저 방법이 거의 확실함. 대충 찌그러뜨리기만 하면 되겠지 하고 저기압으로 만들면 탄산이 나오면서 공간 원상복구시켜 도로아미타불이니, 공기압따위론 복구 안될정도로 완전히 구겨 찌그러뜨려야함 | 20.02.18 11:29 | | |
(IP보기클릭)210.179.***.***
그래봤자 뚜껑여는순간 쓔와악하고 다나감 | 20.02.18 11:30 | | |
(IP보기클릭)218.235.***.***
그 쓔와악 하고 빠져나갈 공기 양 자체를 줄이는 게 위 방법임. 가장 확실한 건 남은 양에 정확히 꽉 차는 용기로 옮기는거지만 그게 매번 있는 게 아니니 | 20.02.18 11:33 | | |
(IP보기클릭)210.179.***.***
구기고-닫고-따기전에 예전에 구긴만큼 구긴채로-열면 좀 나을지도 모르겠는데, 일단 실험에서 일반인이 느낄수도 없을정도의 차이라니까 별 의미없긴할듯. | 20.02.18 11:36 | | |
(IP보기클릭)175.223.***.***
페트병이면 밀봉해도 미세하게 세나감 반대로 정수기 물통이면 절대 안새나가서 콜라를 정수기통에 넣어 장기보관하면 터짐 | 20.02.18 12:01 | | |
(IP보기클릭)119.197.***.***
예전에 구긴만큼 구김-> 개빡센게 맨손으로 탄산을 물에 녹이는거... | 20.02.18 12:07 | | |
(IP보기클릭)112.169.***.***
(IP보기클릭)211.210.***.***
(IP보기클릭)58.76.***.***
팔.로미
저기압이 문제가 아니라 탄산이 올라오면서 찌그러진 내부 공간을 다시 펴버린다. 아무 쓸모 없음. | 20.02.18 11:29 | | |
(IP보기클릭)58.76.***.***
저 원리를 쓰려면 피스톤같이 단단하면서 내부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용기여야 함. | 20.02.18 11:29 | | |
(IP보기클릭)218.235.***.***
그게 저기압잡은거 아님? 탄산 공기압이야 별 거 아니니 탄산 기압따위론 회복 안될정도로 완전히 구겨 찌그러뜨려야함. 대충 누른뒤 뚜껑닫아서 찌그러진것처럼만 만들면 안되고 | 20.02.18 11:31 | | |
(IP보기클릭)110.70.***.***
기압이 탄산 나올 압보다 높아야 성립되는거 아뇨? | 20.02.18 11:33 | | |
(IP보기클릭)119.197.***.***
계란밥1호
탄산은 공기가 없어도 액체에서 분리됨.. 공기가 필요했으면 그렇게 찌그려 닫고 흔들면 안펴져야 되는데 전혀아님.. | 20.02.18 12:05 | | |
(IP보기클릭)218.152.***.***
(IP보기클릭)182.227.***.***
(IP보기클릭)175.121.***.***
(IP보기클릭)112.186.***.***
(IP보기클릭)175.200.***.***
(IP보기클릭)1.223.***.***
(IP보기클릭)61.97.***.***
여기도 의견이 분분한데.. 저도 솔직히, 무슨 방법을 써도 그닥 다를 바가 없다고 느꼈네요. 이 분 말씀처럼, 밀폐를 잘 해 놨더라도 어차피 뚜껑 돌리는 순간 대부분 빠지더라고요.. | 20.02.18 11:30 | | |
(IP보기클릭)222.236.***.***
(IP보기클릭)175.208.***.***
(IP보기클릭)115.94.***.***
공기를 다 빼야되는데 다 안뺀거 아냐? | 20.02.18 11:34 | | |
(IP보기클릭)182.31.***.***
(IP보기클릭)175.127.***.***
(IP보기클릭)121.185.***.***
(IP보기클릭)112.220.***.***
(IP보기클릭)219.252.***.***
(IP보기클릭)175.120.***.***
(IP보기클릭)211.54.***.***
켜라
(IP보기클릭)211.54.***.***
결론은 빈공간을 만들면 안됨 | 20.02.18 11:43 | | |
(IP보기클릭)119.197.***.***
ㅇㅇ 그렇다고 꾸겨넣으란 얘기랑은 완전다름. 그렇게되면 탄산이 빠져나올 공간을 주는거니까.. 근데 누가 매번 콜라를 먹고 꽉맞는병에 옮겨담아.. | 20.02.18 12:03 | | |
(IP보기클릭)110.70.***.***
(IP보기클릭)1.238.***.***
(IP보기클릭)220.74.***.***
(IP보기클릭)221.150.***.***
(IP보기클릭)58.120.***.***
(IP보기클릭)175.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