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H/W] MS 보고서 : 스냅드래곤 X 엘리트, M3보다 싱글스레드 성능 낮고 더 고전력 [35]




profile_image (5688488)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2853 | 댓글수 35
글쓰기
|

댓글 | 35
1
 댓글


(IP보기클릭)119.149.***.***

BEST
크롬같은 현대적 브라우저는 기본이 탭 하나당 프로세스 따로 돌려서 멀티스레드 쓰는 방식인데 멀티를 얼마나 쓰냐니...
24.05.21 22:52

(IP보기클릭)119.149.***.***

BEST
이미 아마존은 그라비톤으로 잘만 인스턴스 돌리고 있습니다.
24.05.21 22:53

(IP보기클릭)221.154.***.***

BEST
m3가 너무 고성능이라 그렇지 스냅이 후진건아니에요
24.05.21 21:54

(IP보기클릭)221.147.***.***

BEST
싱글코어만 갈구는건 주로 게임이고, 사실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쓰는 모든 프로그램 (OS, 브라우저, 생산성 프로그램들)은 멀티코어 잘 쓰고 있습니다
24.05.21 22:23

(IP보기클릭)221.147.***.***

BEST
음... 사실상 게임 말고는 싱글코어성능이 크게 중요한 분야는 딱히 없다는 설명이 되게 어려우신가 보군요 ㅎㅎ;; 물론 싱글코어 성능이 좋으면 좋기야 하지만... 멀티코어 성능도 중요한 시대라는 것이 그렇게 받아들이기 어려우신가 봅니다..
24.05.21 22:44

(IP보기클릭)49.172.***.***

성능 낮고 고전력이면 개똥 아닌가? 전기는 조낸 쳐묵는데 성능이 안 나와 프레스핫이나 불도저가 생각나는군
24.05.21 21:13

(IP보기클릭)221.154.***.***

BEST
루리웹-4963726889
m3가 너무 고성능이라 그렇지 스냅이 후진건아니에요 | 24.05.21 21:54 | | |

(IP보기클릭)172.225.***.***

이럴줄알았다 X엘리트가 화룡칩인데 근데 이럼 맥북보다 빠르다는 건 뭐가 빠르다는거지
24.05.21 21:19

(IP보기클릭)118.32.***.***

님들이 말하는 M의 아버지를 말해야하면 스티브잡스에게 MAC에 대해 전권을 부여받고 A4부터 기반을 잡고 방향을 제시한 짐캘러이고 그 누비아 3명은 짐캘러의 방향성에 탑승해 M을만들어낸 팀원일 뿐임 애플 CPU팀은 ARM보다 인원이 더 많고 ARM과도 디자인 협업이 허용된 유일한 곳이 애플임
24.05.21 21:38

(IP보기클릭)118.32.***.***

루리웹-8347986997
windows 스냅드래곤이 성능 문제가 아님 저건 서버에서나 쓰는 디자인임 수냉이든 공랭 박아야 커버 가능한 수준의 발열이고 어느 ㅁㅊㄴ들이 하이엔드 - 미들 - 미들을 구현하는 정신 나간 짓을 하는지 모르는 물건이고 윈도우즈 ARM은 A64를 번역하는 번역기로 돌아가는 것이라 네이티브는 또 아님 여기 참여하는 팀도 있을텐데 얼마나 참가할지는 모르겠고 그렇게 따지면 뻥 벤치이고 오히려 A64 계열 CPU보다 구린거야 GPU 성능? 벤치도 내장 GPU 테스트는 AMD 인텔 애플은 QHD급 옵션이고 퀄컴 및 안드로이드 계열은 FHD 옵션임 옵션 자체가 다름 | 24.05.21 21:48 | | |

(IP보기클릭)175.197.***.***

루리웹-8347986997
디멘시티가 A5시리즈를 빼버리고 빅미들로만 구성하지 않았음? | 24.05.21 22:09 | | |

(IP보기클릭)175.19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8347986997
정신나갔다고 말하기엔 평가가 나쁘진 않은데.....오히려 지금 앎 리틀코어 전성비가 망한 수준 아님? 미들코어보다 더 구린 수준일텐데.(정확히 말하면 빅/미들이 몇년 내내 발전하는데 리틀만 발전이 느림) | 24.05.21 22:19 | | |

(IP보기클릭)118.3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류오동
그건 안드로이드 계열에 들어가는 제조사들이 미들을 애플의 리틀처럼 못만들어서 그런 것일텐데 | 24.05.21 22:20 | | |

(IP보기클릭)175.19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8347986997
정작 똑같이 ARM 레퍼런스 다 갖다 쓰는 디멘/스냅/엑시 중에서 A5시리즈 싹 버리고 빅미들로만 구성한 디멘시티가 전성비가 제일 나은 게 함정. | 24.05.21 22:24 | | |

(IP보기클릭)118.3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8347986997
그런데 안드로이드 계열에 들어가는 CPU ARM 제조사들의 착각이 가이드도 없고 뚜렷한 성과 없는 RISC-V로 간다고하는데 그건 지금까지 뚜렷한 성과를 낸 짐캘러나 가능한 것이지 가이드 주고 자기들이 디자인사서 커스텀 하는데도 못만드는데 전향을? 애플 엔지니어 데려간다고 M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짐캘러처럼 성과를 낸적이 없는데 전향 몇년이 지나도 ARM 디자인 쓰고 있겠지 RISC-V도 비공개 라이선스 가능이라 공개 안해도 되는데 ㅋ | 24.05.21 22:27 | | |

(IP보기클릭)119.149.***.***

루리웹-8347986997
윈도 arm이 네이티브가 아니란건 뭔소리?? | 24.05.21 22:36 | | |

(IP보기클릭)221.147.***.***

루리웹-5570802028
잘 모르고 하시는 말씀 같네요... Windows는 커널을 비롯해서 일부 드라이버 말고는 거의다 ARM 네이티브입니다. | 24.05.21 22:49 | | |

(IP보기클릭)222.108.***.***

싱글 스레드가 중요한가 싶기도 클럭을 2배 올리는데는 제곱의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코어2개는 2배의 에너지니까 효율이 좀 낮아도 멀티코어 돌리는게 전력소모는 확실히 적은데 게다가 요즘은 프로그램 자체를 멀티코어에 맞춰서 짜니
24.05.21 21:57

(IP보기클릭)118.32.***.***

anotherA
대부분 처리는 싱글이함 멀티를 얼마나 쓰는지 모르겠지만 그걸 다 쓰는 소프트웨어가 몇 없음 진짜 다 쓰는 건 정말 손에 꼽음 님들이 하는 게임도 대부분 싱글이고 처리량 높은 곳에서 멀티를 사용하는 구조임 처음부터 멀티를 풀로 댕기지 않음 그리고 특히 모바일은 멀티 개념이 없고 대부분이 싱글임 | 24.05.21 22:14 | | |

(IP보기클릭)221.147.***.***

BEST
루리웹-8347986997
싱글코어만 갈구는건 주로 게임이고, 사실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쓰는 모든 프로그램 (OS, 브라우저, 생산성 프로그램들)은 멀티코어 잘 쓰고 있습니다 | 24.05.21 22:23 | | |

(IP보기클릭)118.32.***.***


ㅋㅋㅋ 님 CPU 구조를 뭐라고요 어디서 멀티를 ㅋㅋㅋ 멀티는요 게임이 제일 많이 쓰고 또 모바일에서 뭐가 멀티를 ㅋㅋ 생산성 프로그램 안드로이드에 로직이나 파이널컷 같이 갈구는 생산성 프로그램이 있음 ㅋㅋㅋ 그저 뭐 하나 뛰우면서 하면 렉 걸리는 안드로이드에서 멀티 ㅋㅋ | 24.05.21 22:30 | | |

(IP보기클릭)221.147.***.***

루리웹-8347986997
게임말고 cpu 성능이 많이 필요할정도로 겁나 갈구면서 싱글코어인 프로그램이 뭐가 있는데요? ㅎㅎ | 24.05.21 22:34 | | |

(IP보기클릭)118.32.***.***


추가로 말해주지만 님이 말하는 건 C2D나 프레스캇 페놈에서도 가눙했던거에요 ㅋㅋㅋ 셀러론에서도 가눙하고요 ㅋㅋ 차음부터 멀티를 다 쓰는게 어딨어 싱글 쓰다가 안되면 넘기는거지 ㅋ | 24.05.21 22:37 | | |

(IP보기클릭)221.147.***.***

루리웹-8347986997
결국 모바일이든 PC 환경이든 저부하 프로그램들이 겁나 많이 돌아가는 구조에, 고부하 프로그램들은 다 멀티코어에 맞게 프로그래밍 되기 떄문에 현대시스템에서 싱글코어 클럭"만" 중요한 건 게임만 남았어요. 따라서 댓글말대로 싱글은 게임 말고는 사실 완전 중요한 지표는 아니게 된것이 맞습니다... | 24.05.21 22:38 | | |

(IP보기클릭)118.32.***.***


위에 적었잖아 ㅋㅋㅋ 게임 니네가 좋아하는 원신 같은 오픈 월드 아.. 안드로이드는 옵션이 애플보다 떨어져서 다운 그런게 없으려나 ㅋㅋ | 24.05.21 22:39 | | |

(IP보기클릭)118.32.***.***


아이고 뭔 멀티를 얼마나 쓴다고 ㅋㅋㅋ 그거 싱글로 커버치다가 성능 떨어지면 넘기는 구조여 ㅋㅋ 혼자 뇌내 망상 하지마 님이 말하는 건 프레스캇도 가능한거라니까 ㅋㅋ | 24.05.21 22:39 | | |

(IP보기클릭)221.147.***.***

루리웹-8347986997
음... 게임 말고 멀티코어 안쓰고 cpu 겁나 갈구는게 뭐가 있는지 대답좀 해주실래요?? ㅎㅎ | 24.05.21 22:41 | | |

(IP보기클릭)118.32.***.***


아 안드로이드는 성능이 떨어져서 코어 하나당 웹 쓰고 동영상보는 것임 ㅋㅋ 와 신박하네 ㅋㅋ | 24.05.21 22:42 | | |

(IP보기클릭)221.147.***.***

BEST
루리웹-8347986997
음... 사실상 게임 말고는 싱글코어성능이 크게 중요한 분야는 딱히 없다는 설명이 되게 어려우신가 보군요 ㅎㅎ;; 물론 싱글코어 성능이 좋으면 좋기야 하지만... 멀티코어 성능도 중요한 시대라는 것이 그렇게 받아들이기 어려우신가 봅니다.. | 24.05.21 22:44 | | |

(IP보기클릭)119.149.***.***

루리웹-8347986997
멀티코어 쓰는 프리미어나 베가스 같은 건 취급도 안하나봄 | 24.05.21 22:50 | | |

(IP보기클릭)119.149.***.***

BEST
루리웹-8347986997
크롬같은 현대적 브라우저는 기본이 탭 하나당 프로세스 따로 돌려서 멀티스레드 쓰는 방식인데 멀티를 얼마나 쓰냐니... | 24.05.21 22:52 | | |

(IP보기클릭)175.197.***.***

1.반도체의 전력 소모는 주파수에 비례하며, 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2.반도체의 성능은 면적(복잡도)이 2배 증가할 때 √2배 증가하며, 전력소모는 면적에 비례한다.
24.05.21 22:08

(IP보기클릭)175.197.***.***

류오동
결국 앎도 엑팔육에 적용되던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하는 듯함. 100W도 안 먹는 상태에서 벌써부터 저러는데 200W 넘게 먹는 고사양 데스크탑 라인은 어떻게 할 것이며, 대놓고 400W 500W씩도 퍼먹는 엔터프라이즈는 어떻게 감당하려고. 아주 먼 미래는 모르겠지만 당분간은 ARM도 어느 정도 상한선에 막혀서 고생할거같음. | 24.05.21 22:11 | | |

(IP보기클릭)118.32.***.***

류오동
그냥 애플한번 이겨보려고 뻥 벤치에 저렇게 구조 잡는 것으로 보이는데 재들은 지금 서버를 만드는거지 모바일 랩탑과 데스크탑 구조에서 돌아가는 제품을 만드는게 아닌 것 같아요 근데 ARM 서버를 AMD처럼 만든다? 저렇게 만든다 동시 고객 1000명 못받을껄요 ㅋ | 24.05.21 22:16 | | |

(IP보기클릭)119.149.***.***

BEST
루리웹-8347986997
이미 아마존은 그라비톤으로 잘만 인스턴스 돌리고 있습니다. | 24.05.21 22:53 | | |

(IP보기클릭)119.149.***.***

루리웹-8347986997
네오버스 같은 빅칩도 이미 발표한지 한참 됐구요 | 24.05.21 22:56 | | |

(IP보기클릭)175.197.***.***

루리웹-5570802028
네오버스 같은 애들은 저클럭 다코어 병렬 구성이라 본문의 쟤네들과는 지향점이 다르지 않던가요. 본문의 엘리트는커녕 맛폰에 들어가는 스냅 디멘 같은 애들보다도 클럭이 더 떨어지는 걸로 아는데. (네오버스V2=X3 아키텍처 베이스) | 24.05.21 23:12 | | |

(IP보기클릭)119.149.***.***

류오동
물론 지향점은 다르죠. 첫 작인 그라비톤부터 아마존이 전성비 챙기려고 나온 라인이니. Arm 서버가 이미 상용화된지 꽤 됐다는 얘기입니다 | 24.05.21 23:16 | | |

(IP보기클릭)175.195.***.***

루리웹-5570802028
둘다 연산 보단 단순 전송 저장등에 주로 쓰이지않음?? 연산이 필요한게 아니라 제공하는 램,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폭만 필요할때 소위 x86보다 싸서 쓰는걸로 아는디 | 24.05.21 23:24 | | |

(IP보기클릭)119.149.***.***

Kerty
저도 그라비톤은 안써봐서 솔직히 성능은 잘 모릅니다. 아마존 지들 말로는 다양한 연산도 가능하다고 하긴 하니까요. 절대성능이야 당연히 떨어지겟죠 | 24.05.21 23:32 | | |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1)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0)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5)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352195 공지 국내외 언론 및 웹진 불펌 금지. (2) 관리자 6 183026 2010.06.22
2304013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423 2024.06.14
2304012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480 2024.06.14
2304010 ETC 디젤Diesel 10 9229 2024.06.14
2303993 ETC lille 6 6861 2024.06.14
2303983 ETC 에루디토 8 3542 2024.06.14
2303976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654 2024.06.14
2303974 H/W 스퀴니 2 3504 2024.06.14
2303973 H/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625 2024.06.14
2303972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608 2024.06.14
2303971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636 2024.06.14
2303968 H/W 루리웹-475507 1 2279 2024.06.14
2303967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509 2024.06.14
2303964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311 2024.06.14
2303963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173 2024.06.14
2303951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181 2024.06.13
2303933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598 2024.06.13
2303932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85 2024.06.13
2303931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666 2024.06.13
2303926 ETC GPixel 15 8607 2024.06.13
2303921 H/W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002 2024.06.13
2303920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31 2024.06.13
2303906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265 2024.06.13
2303905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1300 2024.06.13
2303902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288 2024.06.13
2303901 참고 펨붕베스트저장소 6 5127 2024.06.13
2303892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6 878 2024.06.13
2303891 H/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89 2024.06.13
2303890 H/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914 2024.06.13
글쓰기 55287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