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프트의 정의
차량의 구동성 특징
FF (Front engine - Front drive 프론트엔진 - 전륜구동)
4WD (4 Wheel drive 4륜 구동)
FR (Front engine - Rear drive 프론트엔진 - 후륜구동)혹은
RR (Rear engine - Rear drive 리어엔진 - 후륜구동)
MR (Midship engine - Rear drive 미드쉽엔진 - 후륜구동)
* 엔진(engine) 특성상 배치에 따라 구동(drive)이 틀려집니다.
드리프트(Drift)는 주로
FR (Front engine - Rear drive 프론트엔진 - 후륜구동)혹은
RR (Rear engine - Rear drive 리어엔진 - 후륜구동)
MR (Midship engine - Rear drive 미드쉽엔진 - 후륜구동)
*차량 등이 많이 쓰입니다.
드리프트는 차량 기술의 테크닉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하므로 꼭 위 같은 구동차량만으로 드리프트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차량으로 코너를 빠져 나가는 도중에 타이어의 그립력 한계를 넘어 리어가 미끄러질 때, 이를 Con.T 카운터 스티어(차의 조향 축을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틀어서 차의 자세를 바로잡는 것)의 양과 엑셀링으로 조절하여 차가 스핀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게 해 주는 레이싱에서 사용되는 고급 기술 중의 하나입니다.
Con.T 카운터 스티어의 각이 커지면 커질수록 화려하게는 보이나, 실제적인 랩 타임에서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레이싱 중에는 최대한 엑셀링만으로 빠져 나가는 '제로 카운터'를 사용하게 되며, 카운터는 정말 부득이한 상황에서만 나오게 됩니다. 또한 타이어의 내구성도 현저히 떨어지고 타이어의 표면의 열과 마모가 심해져 접지력에도 치명적입니다.
앞에서의 '주로'라는 표현에서 직감하셨겠지만, FF(전륜구동)차나 4WD(사륜구동)차량에서도 구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F나 4WD에서는 고의적으로 미끄러뜨리기 보다는 한계를 넘어간 코너링에서 리어가 어쩔 수 없이 흐르게 되면 이를 카운터 스티어로 바로잡는 정도로만 사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화의 추격 장면처럼 멋지게 뒤를 미끄러뜨리는 것은 FR또는 RR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FR 드리프트에 열광하는 매니아들이 많은 것입니다. (RR구조는 흔치 않고 가격이 비싸므로 고유층 매니아가 아닌 이상 유지하기 많이 힘듭니다.)
그 이유는, 차의 뒷 부분, 즉 리어를 원하는 만큼 멋지게 미끄러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너에 진입하기 전부터 차를 옆으로 하여 슬라이드를 시작하면서 카운터를 최대한 준 후, 엑셀을 약간 과도하게 밟은 상태로 유지하면, CP(클리핑 포인트)에 다다를 때 까지 드라이버는 차를 계속하여 옆으로 미끄러뜨릴 수가 있습니다. 직접 보시면 영화에서의 추격씬 보다도 훨씬 화려해 보입니다.
늘어 놓는 것은 여기까지만 하고, 기본적으로 드리프트는 '레이싱의 한계 코너링에서 나오는 짧고 순간적인 드리프트'와 '화려하게 보이기 위해 차의 방향을 코너와 최대한 직각으로 배치 시키고 이를 유지하는 즐기기형 드리프트'의 두 가지가 있다는 것만 이해하고 들어가기로 하겠습니다.
드리프트 테크닉의 기본 (FR과 MR, RR에서 적용)
① 최대한 빠른 속도로 코너에 진입.
② 풀 브레이킹하여 하중을 프론트에 집중. 어설픈 브레이킹과 오버스피드는 슬라이드시에 코스 이탈을 부른다.
③ 스티어링을 꺽을 시점(스피드)까지 브레이크를 약간 남겨놓는다. 이때, 힐 앤드 토우를 구사하여, RPM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드리프트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킹에 의한 프론트로의 「하중이동」이 필수조건 입니다. 코너에 상당한 경사가 있는 경우에는 액셀 조작만으로 하중을 이동시켜서 드리프트로 이행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기본중의 기본만을 설명하겠습니다. 드리프트는 결국 테일(후륜)의 그립력을 잃게 만들어 미끄러뜨려야 하는데, 후륜에 하중이 남아있다면 그립력을 잃게 만들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FR차로 충분한 하중이동 없이 드리프트를 시도하면 언더 스티어를 보이게 되어 가드레일을 들이받거나 코스 아웃해 버리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풀 브레이킹을 하여 하중을 최대한 이동시키고, 타이어가 락 상태가 될 때 브레이크를 살짝 풀어주면, 하중은 전륜에 남아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것이 ②∼③을 진행하는 요령입니다.
④ 원하는 시점에 브레이크에서 발을 뗌과 동시(액셀은 ON 상태로)에 스티어링을 꺽으면 테일 슬라이드 시작.
⑤ 테일 슬라이드가 시작되면 스티어링을 센터보다 약간 반대편으로 꺽어준다 (액셀은 ON상태).
⑥ 테일의 흐름에 맞추어 바로 카운터를 주면서 액셀을 미묘하게 ON/OFF하여 드리프트 상태를 유지.
이때 엑셀의 양과 카운터 각을 미묘하게 조작해 주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밟으면 그립을 완전히 잃고 180도 혹은 그 이상의 스핀을 부르게 됩니다. 따라서, 많이 미끄러진다 싶으면 엑셀을 약간 풀고 카운터 각을 크게 하고, 안미끄러진다 싶으면 좀 더 밟아주면서 카운터 각을 작게 만드는 것이죠.
⑦ CP에 가까워지면 엑셀 조작으로 후륜의 그립을 찾아주면서 스티어링을 센터로.
⑧ 코너를 통과. 드리프트 성공!
CP에 가까워지면 코너를 빠져 나가기 위해 '그립력을 회복시키는 일'이 가장 중요해 집니다. 따라서 엑셀을 풀어 주어서 그립을 차츰 되찾게 만들어 주면서, 그 정도에 따라서 카운터를 제로로 만들어 주어 결국 빠져나갈 코너와 차의 방향을 일치시켜 주는 것입니다.
FF차량에서도 거의 비슷하지만,
1. 진입속도가 훨씬 빨라야 하며,
2. 모든 조작이 FR이나 MR/RR에 비하여 반 템포 정도 빨라야 한다
는 점에 유의하세요 (다른 구동방식에 비해서 진입 속도가 빠른 만큼 위험하며, 더욱 고 난이도의 감각을 요한다는 이야기임).
또, ②∼③에서 언더스티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⑤와 D⑥에서는 엑셀 ON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FF차량은 엑셀 ON하면 바로 그립을 회복하기 때문에 ⑦의 상황이 올 때까지 엑셀 조작은 금물입니다.
드리프팅과 하중 이동
1. SIDE (E-BRAKE = Engine brake)
2. SHIFT LOCK
3. POWER OVER
1. SIDE (E-BRAKE = Engine brake)
브레이킹 = 클러치(3단->2단변속 RPM 유지 및 사이드) = 엑셀링, 카운터
POWER OVER
브레이킹 = 클러치(상동 변속) = 풀악셀, 카운터
이상 깜장곰이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 )
차량의 구동성 특징
FF (Front engine - Front drive 프론트엔진 - 전륜구동)
4WD (4 Wheel drive 4륜 구동)
FR (Front engine - Rear drive 프론트엔진 - 후륜구동)혹은
RR (Rear engine - Rear drive 리어엔진 - 후륜구동)
MR (Midship engine - Rear drive 미드쉽엔진 - 후륜구동)
* 엔진(engine) 특성상 배치에 따라 구동(drive)이 틀려집니다.
드리프트(Drift)는 주로
FR (Front engine - Rear drive 프론트엔진 - 후륜구동)혹은
RR (Rear engine - Rear drive 리어엔진 - 후륜구동)
MR (Midship engine - Rear drive 미드쉽엔진 - 후륜구동)
*차량 등이 많이 쓰입니다.
드리프트는 차량 기술의 테크닉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하므로 꼭 위 같은 구동차량만으로 드리프트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차량으로 코너를 빠져 나가는 도중에 타이어의 그립력 한계를 넘어 리어가 미끄러질 때, 이를 Con.T 카운터 스티어(차의 조향 축을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틀어서 차의 자세를 바로잡는 것)의 양과 엑셀링으로 조절하여 차가 스핀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게 해 주는 레이싱에서 사용되는 고급 기술 중의 하나입니다.
Con.T 카운터 스티어의 각이 커지면 커질수록 화려하게는 보이나, 실제적인 랩 타임에서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레이싱 중에는 최대한 엑셀링만으로 빠져 나가는 '제로 카운터'를 사용하게 되며, 카운터는 정말 부득이한 상황에서만 나오게 됩니다. 또한 타이어의 내구성도 현저히 떨어지고 타이어의 표면의 열과 마모가 심해져 접지력에도 치명적입니다.
앞에서의 '주로'라는 표현에서 직감하셨겠지만, FF(전륜구동)차나 4WD(사륜구동)차량에서도 구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F나 4WD에서는 고의적으로 미끄러뜨리기 보다는 한계를 넘어간 코너링에서 리어가 어쩔 수 없이 흐르게 되면 이를 카운터 스티어로 바로잡는 정도로만 사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화의 추격 장면처럼 멋지게 뒤를 미끄러뜨리는 것은 FR또는 RR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FR 드리프트에 열광하는 매니아들이 많은 것입니다. (RR구조는 흔치 않고 가격이 비싸므로 고유층 매니아가 아닌 이상 유지하기 많이 힘듭니다.)
그 이유는, 차의 뒷 부분, 즉 리어를 원하는 만큼 멋지게 미끄러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너에 진입하기 전부터 차를 옆으로 하여 슬라이드를 시작하면서 카운터를 최대한 준 후, 엑셀을 약간 과도하게 밟은 상태로 유지하면, CP(클리핑 포인트)에 다다를 때 까지 드라이버는 차를 계속하여 옆으로 미끄러뜨릴 수가 있습니다. 직접 보시면 영화에서의 추격씬 보다도 훨씬 화려해 보입니다.
늘어 놓는 것은 여기까지만 하고, 기본적으로 드리프트는 '레이싱의 한계 코너링에서 나오는 짧고 순간적인 드리프트'와 '화려하게 보이기 위해 차의 방향을 코너와 최대한 직각으로 배치 시키고 이를 유지하는 즐기기형 드리프트'의 두 가지가 있다는 것만 이해하고 들어가기로 하겠습니다.
드리프트 테크닉의 기본 (FR과 MR, RR에서 적용)
① 최대한 빠른 속도로 코너에 진입.
② 풀 브레이킹하여 하중을 프론트에 집중. 어설픈 브레이킹과 오버스피드는 슬라이드시에 코스 이탈을 부른다.
③ 스티어링을 꺽을 시점(스피드)까지 브레이크를 약간 남겨놓는다. 이때, 힐 앤드 토우를 구사하여, RPM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드리프트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킹에 의한 프론트로의 「하중이동」이 필수조건 입니다. 코너에 상당한 경사가 있는 경우에는 액셀 조작만으로 하중을 이동시켜서 드리프트로 이행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기본중의 기본만을 설명하겠습니다. 드리프트는 결국 테일(후륜)의 그립력을 잃게 만들어 미끄러뜨려야 하는데, 후륜에 하중이 남아있다면 그립력을 잃게 만들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FR차로 충분한 하중이동 없이 드리프트를 시도하면 언더 스티어를 보이게 되어 가드레일을 들이받거나 코스 아웃해 버리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풀 브레이킹을 하여 하중을 최대한 이동시키고, 타이어가 락 상태가 될 때 브레이크를 살짝 풀어주면, 하중은 전륜에 남아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것이 ②∼③을 진행하는 요령입니다.
④ 원하는 시점에 브레이크에서 발을 뗌과 동시(액셀은 ON 상태로)에 스티어링을 꺽으면 테일 슬라이드 시작.
⑤ 테일 슬라이드가 시작되면 스티어링을 센터보다 약간 반대편으로 꺽어준다 (액셀은 ON상태).
⑥ 테일의 흐름에 맞추어 바로 카운터를 주면서 액셀을 미묘하게 ON/OFF하여 드리프트 상태를 유지.
이때 엑셀의 양과 카운터 각을 미묘하게 조작해 주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밟으면 그립을 완전히 잃고 180도 혹은 그 이상의 스핀을 부르게 됩니다. 따라서, 많이 미끄러진다 싶으면 엑셀을 약간 풀고 카운터 각을 크게 하고, 안미끄러진다 싶으면 좀 더 밟아주면서 카운터 각을 작게 만드는 것이죠.
⑦ CP에 가까워지면 엑셀 조작으로 후륜의 그립을 찾아주면서 스티어링을 센터로.
⑧ 코너를 통과. 드리프트 성공!
CP에 가까워지면 코너를 빠져 나가기 위해 '그립력을 회복시키는 일'이 가장 중요해 집니다. 따라서 엑셀을 풀어 주어서 그립을 차츰 되찾게 만들어 주면서, 그 정도에 따라서 카운터를 제로로 만들어 주어 결국 빠져나갈 코너와 차의 방향을 일치시켜 주는 것입니다.
FF차량에서도 거의 비슷하지만,
1. 진입속도가 훨씬 빨라야 하며,
2. 모든 조작이 FR이나 MR/RR에 비하여 반 템포 정도 빨라야 한다
는 점에 유의하세요 (다른 구동방식에 비해서 진입 속도가 빠른 만큼 위험하며, 더욱 고 난이도의 감각을 요한다는 이야기임).
또, ②∼③에서 언더스티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⑤와 D⑥에서는 엑셀 ON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FF차량은 엑셀 ON하면 바로 그립을 회복하기 때문에 ⑦의 상황이 올 때까지 엑셀 조작은 금물입니다.
드리프팅과 하중 이동
1. SIDE (E-BRAKE = Engine brake)
2. SHIFT LOCK
3. POWER OVER
1. SIDE (E-BRAKE = Engine brake)
브레이킹 = 클러치(3단->2단변속 RPM 유지 및 사이드) = 엑셀링, 카운터
POWER OVER
브레이킹 = 클러치(상동 변속) = 풀악셀, 카운터
이상 깜장곰이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 )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20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