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시작하기 전에 언더와 오버 스티어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언더스티어는 차가 핸들을 꺾었을때 생각보다 밖으로 나가는 현상. 오버스티어는 차가 핸들을 꺾었을때 생각보다 안으로 나가는 현상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해 앞이 밀리면 언더 스티어이고 뒤가 밀리면 오버 스티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4륜 드리프트는 언더 스티어입니다.
차량특성으로 살펴보면 FF차량은 시종일관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며 FR 차량은 처음에는 언더가 발생하다가 나중에는 오버로 변경되며 MR 차량은 악셀을 열고 가면 처음에는 커다란 언더 스티어가 발생하다가 곧이어 뒤가 흐르면서 스핀에 빠지게 됩니다. 물론 4WD 차량은 초기에는 약한 언더가 발생하나 그 이후로는 비교적 안정된 원을 그리게 됩니다.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1
스티어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타이어 관련
1) 타이어의 종류(구조, 치수, 림폭, 공기압 등)
2) 타이어 특성의 비선형성(Degressive)
3) 구동력의 영향(FF, FR, MR, RR 등)
2. 서스펜션 관련
1) 롤 스티어의 영향(Roll Under Steer Or Roll Over Steer)
2)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스티어 영향
3) 캠버각 변화의 영향
4) 롤 강성의 영향(스프링, 스태빌라이저)
3. 기초량 변화의 영향
1) 차량의 질량
2) 무게 중심의 위치
3) 축간 거리
4) 코너링 파워 (코너링 포스/옆 미끄럼 각도)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2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좀더 쉽게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지 상태 차량의 무게 중심의 위치
2. 주행중 순간 무게 중심의 위치 (악셀시와 브레이킹 시의 차이 등)
3. 구동륜의 위치(전륜, 후륜, 4륜 등)
4. 앞 뒤 스프링 강성의 차이(롤 강성)
5. 앞 뒤 스태빌라이저의 강성 차이(롤 강성)
6. 앞 뒤 쇼바의 감쇠력 차이
7. 앞 뒤 타이어의 구조, 폭, 공기압 차이
8. 앞 뒤 트레드 폭의 차이
9. 전 후륜 캠버각의 차이
10. 전 후륜의 토 값 차이
11. 앞 뒤 스포일러의 상대적 각도, 크기의 차이
12. 서스펜션의 형식(롤 스티어 및 컴플라이언스 스티어)
언더스티어를 보완하는 방법
약간의 오버 스티어를 유도하여 FF차량의 선천적인 문제인 언더 스티어를 보완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1. 정지 상태 차량의 무게 중심을 뒷 쪽으로 옮긴다
2. 주행중 무게 중심을 순간적으로 앞쪽으로 이동시킨다(브레이킹 등으로)
3. 구동륜의 위치가 후륜에 위치할 경우(구동륜의 코너링 포스가 약함)
4. 앞 스프링을 약하게 뒷 스프링을 강하게
5. 뒤 스태빌라이저를 앞 쪽 보다 스프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하게
6. 앞 쇼바는 약하게 뒷 쇼바는 강하게
7. 앞 타이어의 폭을 넓게, 공기압을 높게 뒷 쪽은 좁고 낮게
8. 앞 트레드 폭을 뒷 쪽보다 넓게(앞에만 마이너스 휠)
9. 전륜의 캠버각을 마이너스로 후륜은 플러스로
10. 전륜의 토 값은 인(IN)으로 후륜은 아웃(OUT)으로
11. 뒤 스포일러의 각도를 줄이고 크기를 작게
12. 차고를 앞은 낮게 뒤는 높게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언더를 보완하면 고속으로 코너링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만약 코너링 도중에 브레이크를 밟아서 감속을 하게 되면 뒤가 그대로 미끄러지면서 돌아갈(스핀)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셔야 할 것입니다.
언더스티어는 차가 핸들을 꺾었을때 생각보다 밖으로 나가는 현상. 오버스티어는 차가 핸들을 꺾었을때 생각보다 안으로 나가는 현상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해 앞이 밀리면 언더 스티어이고 뒤가 밀리면 오버 스티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4륜 드리프트는 언더 스티어입니다.
차량특성으로 살펴보면 FF차량은 시종일관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며 FR 차량은 처음에는 언더가 발생하다가 나중에는 오버로 변경되며 MR 차량은 악셀을 열고 가면 처음에는 커다란 언더 스티어가 발생하다가 곧이어 뒤가 흐르면서 스핀에 빠지게 됩니다. 물론 4WD 차량은 초기에는 약한 언더가 발생하나 그 이후로는 비교적 안정된 원을 그리게 됩니다.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1
스티어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타이어 관련
1) 타이어의 종류(구조, 치수, 림폭, 공기압 등)
2) 타이어 특성의 비선형성(Degressive)
3) 구동력의 영향(FF, FR, MR, RR 등)
2. 서스펜션 관련
1) 롤 스티어의 영향(Roll Under Steer Or Roll Over Steer)
2)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스티어 영향
3) 캠버각 변화의 영향
4) 롤 강성의 영향(스프링, 스태빌라이저)
3. 기초량 변화의 영향
1) 차량의 질량
2) 무게 중심의 위치
3) 축간 거리
4) 코너링 파워 (코너링 포스/옆 미끄럼 각도)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2
스티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좀더 쉽게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지 상태 차량의 무게 중심의 위치
2. 주행중 순간 무게 중심의 위치 (악셀시와 브레이킹 시의 차이 등)
3. 구동륜의 위치(전륜, 후륜, 4륜 등)
4. 앞 뒤 스프링 강성의 차이(롤 강성)
5. 앞 뒤 스태빌라이저의 강성 차이(롤 강성)
6. 앞 뒤 쇼바의 감쇠력 차이
7. 앞 뒤 타이어의 구조, 폭, 공기압 차이
8. 앞 뒤 트레드 폭의 차이
9. 전 후륜 캠버각의 차이
10. 전 후륜의 토 값 차이
11. 앞 뒤 스포일러의 상대적 각도, 크기의 차이
12. 서스펜션의 형식(롤 스티어 및 컴플라이언스 스티어)
언더스티어를 보완하는 방법
약간의 오버 스티어를 유도하여 FF차량의 선천적인 문제인 언더 스티어를 보완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1. 정지 상태 차량의 무게 중심을 뒷 쪽으로 옮긴다
2. 주행중 무게 중심을 순간적으로 앞쪽으로 이동시킨다(브레이킹 등으로)
3. 구동륜의 위치가 후륜에 위치할 경우(구동륜의 코너링 포스가 약함)
4. 앞 스프링을 약하게 뒷 스프링을 강하게
5. 뒤 스태빌라이저를 앞 쪽 보다 스프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하게
6. 앞 쇼바는 약하게 뒷 쇼바는 강하게
7. 앞 타이어의 폭을 넓게, 공기압을 높게 뒷 쪽은 좁고 낮게
8. 앞 트레드 폭을 뒷 쪽보다 넓게(앞에만 마이너스 휠)
9. 전륜의 캠버각을 마이너스로 후륜은 플러스로
10. 전륜의 토 값은 인(IN)으로 후륜은 아웃(OUT)으로
11. 뒤 스포일러의 각도를 줄이고 크기를 작게
12. 차고를 앞은 낮게 뒤는 높게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언더를 보완하면 고속으로 코너링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만약 코너링 도중에 브레이크를 밟아서 감속을 하게 되면 뒤가 그대로 미끄러지면서 돌아갈(스핀)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셔야 할 것입니다.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