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카피로스팅 종류중에 [5]


profile_image


(633960)
1 | 5 | 842 | 비추력 79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5
1
 댓글


(IP보기클릭)121.125.***.***

보통 에스프레소 블랜드나 로스팅이라고 이름붙여서 판매하는 애들은 ..판매하는 커피프랜차이즈들이 에스프레소를 내리기 적합하다 생각되서 그렇게 판매하는것이겠죠..? 그리고 보통 어떤 스타일의 로스팅이라고 딱 말하기 어려운게 카페마다 같은 에스프레소를 내리더라도 어떤 맛이나 향미를 목표로 하는지 다르기때문에.. 로스팅포인트도 카페마다 차이가 많이 날껍니다.
25.02.27 18:58

(IP보기클릭)222.109.***.***

_ Full Frontal
답변감사합니다.^^ | 25.02.28 03:06 | |

(IP보기클릭)218.153.***.***

* 에스프레소추출 전용인가요? = 에스프레소가 붙으면 에스프레소를 위한 배전도(로스팅 포인트)로 의도된 것이라 봐야겠지요. * 스타벅스 = https://www.starbucks.co.kr/coffee/product_list.do 스타벅스의 에스프레소 로스트는 밀크 베버리지의 기본이 되기에, 우유와 시럽을 뚫고 나오는 강렬함을 필요로 하기에 매우 다크다크합니다. * 커피빈 = https://www.coffeebeankorea.com/product/list.asp?no=4 커피빈 또한 스타벅스의 상황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른 것이 있다면 커피빈의 원두는 국내에서 로스팅되어 스타벅스 코리아보다는 컨디션이 괜찮다고 봐야합니다. * 폴바셋 = https://eshop.baristapaulbassett.co.kr:45540/shop/item.php?it_id=1569922526 배전도 정보가 나와있지 않습니다만, 에스프레소로 유명한 브랜드입지요. (사실 아이스크림 맛집입니다.) 폴 바셋 시그니처 블렌드의 원두는 중배전과 강배전 사이로 추정되는 색을 띄고 있(었)습니다. (스타벅스처럼 아주 다크다크하진 않았습니다.) # 스타벅스는 자체적인 기준으로 배전도(로스팅 포인트)를 정의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배전도 기준과 차이가 제법 큽니다. 미디움이라 써있어도 다크하다고 봐야 합니다. ## 배전도가 다크해도 고농도를 노린 드립 추출, 콜드브루잉, 추출수 온도 조절로 쓴맛을 잡아 드립 혹은 에어로프레스 추출 등등.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점드립의 참맛(?)을 위해 일부러 다크한 원두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요.
25.02.27 22:02

(IP보기클릭)222.109.***.***

IMURUK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요새 케맥스로 드립을 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캬라멜함과 단맛을 좋아해서 질문드려봤어요.^^ | 25.02.28 03:06 | |

(IP보기클릭)220.116.***.***

에스프레소용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대부분 블렌드 되었다고 보는게 더 맞다고 생각하고요. 블렌드가 되었다는 것은 부족한 부분은 채워서 균형잡은 맛을 내려고 했다고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로스팅 강도도 중에서 강배전에 맞춰 있을 거에요. 원하시는 맛이 중강배전에서 많이 느낄 수 있는 맛이라서 찾으시는 것 같네요.
25.03.12 14:49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