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한 방법을 그래도 번역한 것이 아닌 개인이 시행착오하면서 겪고 해결한 방법입니다.
상당히 복잡하니, 해당 부분을 보고도 하고자 하는 분만 하시면 됩니다.
엔비디아 + 엔비디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amd 글카를 사용하시면 현재 알려진 대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그래픽카드를 가능하면 메인은 PCIE 3.0x8배수 이상, 보조는 3.0x4배수 이상으로 장착합니다.
- 해상도가 높아질 수록 대역폭이 많이 필요하니 듀얼 설정 시 PCIE 버전이나 배수가 높은 메인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3.0x2 등을 연결해서 쓰시는 분들도 있으시나, 대역폭이 줄어들어 레이턴시가 생기며 인풋렉 등이 생길 수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 PCIE x16 슬롯이 칩셋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레이턴시가 증가하니, 이럴 경우에는 CPU와 연결되는 남는 SSD 라인이 있으면 아래 가이드 대로 연결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 https://quasarzone.com/bbs/qf_vga/views/6250870?cpage=1&commid=6250935
- PCIE 배수 및 버전, 칩셋/CPU 직결 여부는 각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의 메인보드 메뉴얼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2. 게임을 할 모니터를 꼭! 보조 그래픽카드에 연결 시킵니다. (필수)
- 듀얼 이상 모니터일 경우, 메인 그래픽카드에 유튜브나 웹서핑용 모니터 정도는 연결해도 됩니다. (권장하지는 않음)
3. 스팀에서 lsfg를 beta 버전으로 다운로드 합니다.
4. 윈도우11의 경우 그래픽 설정에서 GPU 기본 설정을 메인 그래픽카드로 설정 합니다.
- 윈도우10의 경우 레지스트리 등록 등 과정이 좀 까다롭습니다. 구글링하여 설정해 주세요.
5. NVIDIA 콘트롤 패널의 전역설정에서 OpenGL 렌더링 GPU를 메인 그래픽카드로 설정 합니다.
- 지싱크는 전역 설정에서 켜시고 게임 설정에서는 꺼주세요
- 윈도우 HDR도 키셔도 됩니다.
6. NVIDIA 콘트롤 패널에서 LSFG를 추가합니다. 보통 경로는 \SteamLibrary\steamapps\common\Lossless Scaling 입니다. 이후에 아래 이미지 처럼 설정 해주세요.
- 수직동기화는 게임이든 lsfg든 모두 꺼주세요.
- 그리고 일단은 전역이든 게임이든 lsfg 든 프레임 제한을 해제해 주세요
7. 리바튜너 설치 후, 글로벌 설정에서 모니터 주사율에 맞춰 프레임 제한을 해주세요. 이후 Setup 버튼을 누릅니다.
8. 아래처럼 윈도우 시작 시 최소화, 64비트 애플리케이션 지원 서비스, NVIDIA 리플렉스를 설정 후 리바튜너를 최소화 해놓습니다.
9. 플레이 할 게임을 실행하여 안정적으로 유지 되는 프레임을 확인한 후, NVIDIA 콘트롤 패널의 해당 게임에서 프레임 제한을 설정 합니다.
- 설정 이후 lsfg 실행 시 렌더링 되는 프레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최대 프레임 속도를 해당 프레임으로 조정하여 제한합니다.
10. lsfg를 실행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LSFG 설정을 3.0으로 해주세요
- 모드는 본인이 뻥튀기 하고 싶은 프레임의 배수를 지정해 주세요
- 해상도 스케일은 일단 놔둡니다
- 스케일링으로 화면 품질 업스케일링 하실 분들은 설정법 구글링 확인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닐 경우 스크린샷 처럼 설정해 주세요
- 렌더링의 수직 동기화는 꺼주세요
- 최대 프레임 설정의 경우에는 대기하는 프레임 수를 제한 합니다. 값이 높을수록 레이턴시가 늘어나지만 화면은 부드러워지며, 값이 낮을수록 지연시간은 줄고 화면에서 스터터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삼중 버퍼링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인에게 적당한 값을 넣어 주세요. 1을 권장하지만, 더 부드럽게 하고 싶으신 분은 높이시면 됩니다.
- HDR, G-Sync 는 윈도우 HDR, NVIDIA 콘트롤 패널의 전역 설정과 lsfg에 G-Sync 를 설정한 경우 활성화 해주세요
- 프레임 표시는 켜주세요. 해당 값으로 최대 프레임 제한 및 lsfg의 프레임 생성에 있는 해상도 스케일 값을 조정해야 합니다.
- API 캡쳐의 경우 윈도우 버전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는 정보가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신 버전 윈도우11은 DXGI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마우스의 경우에는 속도 유지 및 커서 확장 정도만 켜시는 것을 권장 합니다.
- GPU / 디스플레이 설정은 중요합니다. 선호하는 GPU를 꼭 서브 그래픽카드로 설정해 주세요
- 출력할 디스플레이는 자동으로 두시면 됩니다.
- 멀티 모니터 사용자 분은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활성화 해주세요
11. 다시 플레이 할 게임을 실행 하시고, 이번에는 lsfg를 실행 합니다. 그리고 플레이 중 생성된 프레임이, 배수 설정된 프레임과 일치하는지 확인 합니다.
- 예시) 30 x4배수 = 120프레임
- 배수에 비해 뻥튀기 된 프레임이 덜 나올 경우, lsfg의 프레임 생성에서 해상도 스케일을 조정하여 120이 되도록 맞춥니다.
- 배수된 최대 프레임이 모니터 주사율을 넘지 않게 해주세요
- (레데리 설정이랑 사펑 설정이랑 섞여서 이 스크린 샷은 4배수 설정으로 찍혔는데, 3배수 일 경우 90 입니다. 이정도는 아시겠쥬? ㅋㅋㅋ 본인이 설정한 배수에 맞는 최대 프레임이 나오는지를 보시면 됩니다.)
이제 다 됐습니다. 게임을 재밌게 플레이 하시면 됩니다.
- 위 내용을 lsfg 프로필로 설정하여, 게임 실행 시 자동으로 실행 되도록 하면 편합니다.
- lsfg의 설정에서 최소화 상태로 자동 실행, 작업 표시줄로 최소화 설정을 해두시면 윈도우 시작 시 시작 프로그램으로 작동하며, 최소화 되어 있어 편합니다.
즐 듀얼 GPU 게임~!
추가할 내용이 있어서 내용 수정 합니다!
NVIDIA 콘트롤 패널의 저지연 모드는 저는 끄고 했습니다.
테스트 해보지는 않았지만, 리바튜너의 NVIDIA 리플렉스 중복이라 끄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세팅 하실 때 NVIDIA 콘트롤 패널 및 인게임에서 리플렉스가 있을 경우 한번 꺼보고 해보세요.
[사펑 x4 배수 120프레임]
[사양]
CPU : 5800x3d
램 : 32GB 3600 CL14
메인보드 : x570 타이치
그래픽카드1 : 3080fe 언더볼팅 (PCIE 4.0x8)
그래픽카드2 : 4080s 언더볼팅 (PCIE 4.0x8)
파워 : 1600w
모니터 3대 : 메인 g95nc (7680x2160 10bit RGB 120fps) + 서브 (qhd x 2 10bit RGB 60fps)
G-Sync 및 HDR 활성화
(IP보기클릭)211.235.***.***
음 그냥 5080을 사는게 낫겠네요
(IP보기클릭)180.68.***.***
라는 생각을 황가놈이든 라시놈이든 해봤지만 둘다 SLI 포기했음 ..
(IP보기클릭)122.40.***.***
찐 유저 정보 ㅊㅊ
(IP보기클릭)175.206.***.***
듀얼오리 하는 이유가 아주 적은 레이턴시에 안정적으로 프레임 뻥튀기 하는거라 평소에 게임하는데 지장 없으면 이런게 있구나라고 넘기면 됨
(IP보기클릭)114.168.***.***
5080/5090이 손에 안들어오는데/구입하더라도 멜팅이슈등이 문제 -> 고사양겜을 돌리긴해야겠는데 부품이 좀 남는다 싶으면 충분히 시도해볼만할듯 lsfg에서 좀더 간편하게 할수있는 방법을 만들어주면 좋겠지만요
(IP보기클릭)122.40.***.***
찐 유저 정보 ㅊㅊ
(IP보기클릭)118.33.***.***
(IP보기클릭)116.47.***.***
내장 그래픽 있는 5700g나 8700g는 어때요? | 25.02.14 15:42 | | |
(IP보기클릭)118.33.***.***
근데 이거 작년부터 쭈욱 써오고 있는 중인데 X2 모드로 FHD 60프레임 정도로 쓰는 중이라 사실 듀얼 그래픽카드는 필요없다능 | 25.02.14 17:53 | | |
(IP보기클릭)211.235.***.***
음 그냥 5080을 사는게 낫겠네요
(IP보기클릭)220.87.***.***
바꾸고 듀얼까지쓰는게 좋은것같아요 4060 싼거뜨면 사서 듀얼쓸듯 | 25.02.14 15:40 | | |
(IP보기클릭)221.147.***.***
(IP보기클릭)175.206.***.***
황젠슨
듀얼오리 하는 이유가 아주 적은 레이턴시에 안정적으로 프레임 뻥튀기 하는거라 평소에 게임하는데 지장 없으면 이런게 있구나라고 넘기면 됨 | 25.02.14 15:20 | | |
(IP보기클릭)180.68.***.***
듀얼 사용하는 이유가 1. 오리에서 사용하는 자원 확보하기 귀찮거나 어렵거나 2. 듀얼로 사용해서 메인 gpu 자원을 100% 사용 위 같은 경우라 저게 아니면 단일 카드로 적당하게 프레임 제한 걸고 오리 켜서 쓰면 되요 | 25.02.14 15:38 | | |
(IP보기클릭)221.147.***.***
이미 지난중에 글썻음요 | 25.02.14 15:39 | | |
(IP보기클릭)211.112.***.***
엔디비아 짱이야~ | 25.02.14 16:14 | | |
(IP보기클릭)182.212.***.***
4090이나 5090 쓰시는 분들은 3070 전후의 그래픽카드를 쓰는 분들의 고충을 몰라요!!! 옵션을 올리고 해상도를 올리자니 프레임이 안 나오고 텍스쳐를 올리자니 비램이 적고 역지사지로 생각해 보셈!! | 25.02.14 16:16 | | |
(IP보기클릭)221.144.***.***
(IP보기클릭)118.235.***.***
듀얼 gpu 쓰는 게 가장 큰 진입장벽이라... | 25.02.14 15:11 | | |
(IP보기클릭)114.168.***.***
5080/5090이 손에 안들어오는데/구입하더라도 멜팅이슈등이 문제 -> 고사양겜을 돌리긴해야겠는데 부품이 좀 남는다 싶으면 충분히 시도해볼만할듯 lsfg에서 좀더 간편하게 할수있는 방법을 만들어주면 좋겠지만요
(IP보기클릭)211.251.***.***
lsfg는 ls안에 있는 기능 이름이지 lsfg가 프로그램 이름이 아님 이것도 이글보고 이름 lsfg로 잘못퍼질까봐 무섭네 | 25.02.14 15:56 | | |
(IP보기클릭)114.168.***.***
아 그렇죠. 오리라고 부르는게 더 나을것같네요 | 25.02.14 16:37 | | |
(IP보기클릭)106.249.***.***
(IP보기클릭)180.68.***.***
보급형 핫산
라는 생각을 황가놈이든 라시놈이든 해봤지만 둘다 SLI 포기했음 .. | 25.02.14 15:14 | | |
(IP보기클릭)106.101.***.***
개인적인 추측이긴 한데 SLI포기한건 SLI를 해 놓으니 ai연산에 사용하기 시작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어요. 이번에 딥씨크 한번 깔아봤는데 4070 ti 12gb로는 부족하다보니 자료를 찾아보니까 3000번대는 sli를 구성해서 램을 확장해서 돌릴수 있더라구요. | 25.02.14 15:34 | | |
(IP보기클릭)121.141.***.***
그게 SLi CF임. 그리고 현세대 게임에서 최주력으로 쓰이는 기술들 거의 대부분이 직전에 형성한 프레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업스케일링을 하건 안티에일리어싱을 하던 하기 때문에 그 '직전에 형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아예 다른 GPU에서 처리시키는 SLi/CF랑 상성이 안 맞습니다. 그래서 DLSS 출시 초창기에 아직 SLi/CF 지원 게임들이 남아 있던 시절 DLSS를 켜면 SLI를 못 쓰고, SLI를 쓰면 DLSS를 못 쓰는 게 대부분이었음. 공존이 어렵습니다. | 25.02.14 16:17 | | |
(IP보기클릭)106.249.***.***
아하.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다음 프레임 형성에 써먹어서 그렇게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어려운 거였네요. | 25.02.14 16:26 | | |
(IP보기클릭)175.223.***.***
그것외에도 화면 반짤라서 위에는 A 밑에는 B글카로 하는 식도 굴렸는데 이경우 중앙쪽에 잘안맞는 경우도 좀 있고 그랬음. | 25.02.14 16:44 | | |
(IP보기클릭)106.249.***.***
...근데 화면 짤라서 연산하는 건 VR 기기에는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주 시야 부분을 메인 그래픽 카드로 연산하고, 주변시야 부분을 보조 그래픽 카드로 연산하면 시선 돌렸을 때 초점 맞는 속도보다 빠르게 전환시킬 수만 있다면 위화감 없이 보여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데. 아니면 그냥 그런 목적의 그래픽 카드를 따로 개발하는 게 더 나으려려나요? | 25.02.14 16:49 | | |
(IP보기클릭)175.223.***.***
주 시야라고 하면 중간에 원형이던 사각이던 하여간 그런식으로 계산한다는건데, 그영역을 판단하고 연산분배하는 등 소위 잡다한시간이 너무 걸리죠. 안그래도 인풋렉에 민감한 VR에선 좋은 방식은 아닙니다. 예전에 CF나 sli도 인풋렉 증가가 꽤 컸거든요 | 25.02.14 16:53 | | |
(IP보기클릭)106.249.***.***
아하. 감사합니다. | 25.02.14 16:54 | | |
(IP보기클릭)118.235.***.***
그게 있었는데요 없읬습니다. | 25.02.14 17:51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80.68.***.***
가능 할 걸요 애초에 내장 그래픽 사용하는 사람이 오리 즐겨 사용했던 거라 | 25.02.14 15:39 | | |
(IP보기클릭)106.101.***.***
4k 환경에서 783d 내장을 서브로 돌려볼까 싶은데 후기에서는 힘들어 한다고 나와 있어서요. | 25.02.14 15:43 | | |
(IP보기클릭)211.234.***.***
그건 화면 출력기 수준이라 어떤 해상도로도 무리고 피닉스를 써도 4k는 무리입니다 | 25.02.14 15:52 | | |
(IP보기클릭)112.187.***.***
오리를 담당할 글카의 성능이 1070, 1660S 급 이상은 되야하는데 아직 현존하는 그 어느 내장 그래픽도 1060조차 넘지 못해서 내장으로 오리 돌리는건 힘들어보입니다. | 25.02.16 06:05 | | |
(IP보기클릭)117.111.***.***
(IP보기클릭)112.172.***.***
(IP보기클릭)211.171.***.***
(IP보기클릭)211.36.***.***
30프레임 뻥튀기 써봤는데 괜찮더라구요 가끔 왜곡이 있긴한데 크게 거슬리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왜곡에서 오는 디메리트보다 프레임 상승으로 인한 어드밴티지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 25.02.14 16:08 | | |
(IP보기클릭)211.36.***.***
특히 강제 30프레임 제한걸린 게임은 선택지가 없어서.. | 25.02.14 16:09 | | |
(IP보기클릭)118.33.***.***
개발자 피셜...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자기가 하는 게임 강제 프레임 30 맞추면 된다고 합니다 프레임 제한 거는걸 인-게임 설정에서 하지말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하는 걸 추천한다고 함 | 25.02.14 17:56 | | |
(IP보기클릭)118.33.***.***
개발자 피셜 자기가 목표로하는 프레임에 맞춰서 쓰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60프레임이 목표면 실제 프레임 30으로 제한 걸어놓고, X2 모드로 돌리는게 성능과 품질 전부 잡을 수 있다고 함 이게 DLSS랑 다르게 그래픽카드에 부하가 좀 많이 걸려서 DLSS처럼 무제한으로 풀어놓고 하는건 추천 안한다네요 | 25.02.14 17:57 | | |
(IP보기클릭)211.36.***.***
아뇨아뇨 저는 그런이야기가 아니었고 강제로 30프레임 제한걸린 게임들 이야기한거였어용 선택지가 없어서 lsfg 쓸수밖에 없다는 거였는데 오해의 소지가 있었나보네요 | 25.02.14 18:35 | | |
(IP보기클릭)221.147.***.***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8.33.***.***
글쎄 뭐 사람마다 민감한 사람들은 못 견뎌할 수 있지만 일단 저 같은 어중간한 게이머 입장에서는 일단 LSFG로 FPS 멀티게임은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사펑이나 위쳐할때 레이턴시 못 느끼겠던데요? 그리고 애초에 FPS 멀티게임은 DLSS FG도 켜는게 아니라고 들었음.. 지나치게 낮은 프레임으로 그 X4 모드 땡기지 않는한 레이턴시 거슬릴 일은 없을 겁니다. 애초에 입력지연 문제는 멀티게임할때 네트워크 지연 + 입력 지연 2중으로 레이턴시 걸려서 게임 플레이 경험 말아먹는게 문제지 싱글 게임만 할때는 X2 로 돌리면 그냥 극도로 민감한 감각을 가진 분들 아닌 이상 그다지 불편 없을 겁니다 어젯 밤에도 30 프레임 제한 걸고, X2모드로 위쳐3 레이트레이싱 풀옵션 돌리는데 입력 지연은 느껴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 25.02.14 18:38 | | |
(IP보기클릭)112.186.***.***
리바튜너를 쓰면 리플렉스로 프레임리밋 걸수 있어서 어떻게든 됨 | 25.02.16 23:56 | | |
(IP보기클릭)222.109.***.***
? 리바튜너로 리플렉스 강제 가능? | 25.02.18 19:43 | | |
(IP보기클릭)1.221.***.***
(IP보기클릭)118.33.***.***
이게 이론상 프레임을 X64 모드까지 땡길 수 있다고 하던데 그건 안해봐서 모르겠고 듀얼 그래픽카드로 저거 하는 분들은 프레임 때문에 하는게 아니라 레이턴시 줄이려고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25.02.14 18:40 | | |
(IP보기클릭)35.216.***.***
(IP보기클릭)175.223.***.***
표현도 안될 뿐더러 재수없으면 한 프레임에 a프레임과 a+1프레임이 공존하는 소위 티어링 현상이 나올수 있습니다 | 25.02.14 16:46 | | |
(IP보기클릭)118.235.***.***
(테어링) | 25.02.14 16:57 | | |
(IP보기클릭)175.223.***.***
(티어링) | 25.02.14 16:58 | | |
(IP보기클릭)58.225.***.***
찢어진다는 의미의 tearing이라면 발음기호상으로 [ tέəriŋ ]이라서 엄밀히 말하면 테어링으로 읽는게 맞음 예를 들어 둠슬 형님의 명대사 찢고죽여라'rip and tear' 작중에서 립 앤 테어라고 나오잖아요 뭐 티어링이든 테어링이든 어차피 외래어라 알아들을 수 있으면 별 상관은 없지만요 | 25.02.14 18:40 | | |
(IP보기클릭)112.186.***.***
주사율을 넘기면 지싱크(짭싱크)가 꺼집니다 | 25.02.16 23:57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5
둘다 해봤는데 저같은 hdr과 울트라와이드 환경에선 afmf가 더 나았습니다. | 25.02.14 17:29 | | |
(IP보기클릭)121.143.***.***
(IP보기클릭)112.186.***.***
효과 있습니다 CPU병목으로 60프레임 딸랑 나오는 SPT타르코프를 하고 있는데 도저히 프레임이 안나오는 환경에서 120, 180을 즐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25.02.16 23:58 | | |
(IP보기클릭)59.23.***.***
(IP보기클릭)59.0.***.***
(IP보기클릭)49.165.***.***
(IP보기클릭)218.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