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zen AI 시리즈의 모델명과 이 모델명이 코어울트라 200V를 보고 급하게 바뀌었다는 걸 알려줍니다
CPU 모델명 바꾸는 김에 내장그래픽의 모델명도 10씩 올렸다는군요
NPU가 없는 데탑 출신 라이젠과 모바일 출신 라이젠 AI로 분리가 될 거라고 합니다
코어당 4MB L3캐시를 가진 젠5 4코어 L3 16MB
+
코어당 1MB L3캐시를 가진 젠5c 8코어 L3 8MB
구조로 젠5c 코어는 라이젠 4000번대처럼 L3캐시가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PCIe 레인은 전세대에서 4개가 줄어들어서 계획으론 dGPU 탑재기는 두번째 M.2 슬롯을 위한 레인이 잡혀있지 않다고 합니다
실제 제품에선 회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두번째 SSD 슬롯을 구현하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ASUS는 x8 dGPU + x4 M.2 + x2 M.2 + (x2 GPP)
MSI는 x4 dGPU + x4 M.2 + x4 M.2 + (x2 GPP)
리그 오브 레전드 4060 측정 1080P 최하옵, 1080P 최고옵, 1440P 최하옵, 1440P 최고옵
PCIE x4와 x8의 차이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라 리뷰어는 글카에 x8을 배정하고 버리는 레인없이 모든 레인을 활용하는 ASUS의 방식을 선호한다고 하는군요
LPDDR5x 메모리 지원은 위와 같이 나뉜다고 합니다
FP8, FP7, FP7r2로 패키지의 파편화가 심했던 전세대와 달리 FP8 패키지로 통일이 되고 25년에는 일반 DDR5 지원 제품도 출시된다고 합니다
엘리트북 등 썬더볼트4가 탑재된 AMD 노트북도 간간히 보이게 되었는데 이건 USB4 탑재 된 제품에다 추가로 비용을 들여서 인텔이 지정한 실험실에서 인증절차를 문제없이 끝내면 썬더볼트4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는 거라는군요
포트 버전은 높더라도 지원하는 대역폭의 한계치는 낮은 걸 알려줍니다
본격적으로 벤치마크 보여주기에 앞서 측정 CPU, 전력세팅 등을 알려줍니다
타임스파이와 달리 실제 게임인 사펑2077의 경우 15W에서 780M이 가장 좋았다고 하며 16CU와 12CU의 차이도 그렇게 크지 않았다고 합니다
AMD가 공식자료로 위와 같은 슬라이드를 배포했지만 이건 SPL 15W, sPPT 28W 300초의 결과로 실질적으론 sPPT 구간인 28W로 돌아간 자료라고 알려줍니다
왼쪽부터 싱글코어, 멀티코어, 온라인게임, AAA게임, 내장그래픽 성능 순위
AI 9 HX 370은 HS시리즈처럼 전력을 먹으면서 HX시리즈의 성능을 내는 1650Ti급 성능의 iGPU를 가진 가장 밸런스가 잡힌 만능 CPU로 나왔으며
멀티코어 성능이 필요없고 내장그래픽 성능만 필요한 거라면 AI 9 365로 충분해 보인다고 정리합니다
체급이 커져서 그런지 20W부터 힘을 내는 느낌이군요...
(IP보기클릭)61.101.***.***
차세대 콘솔 성능 향상폭이 기대되는데
(IP보기클릭)118.235.***.***
실기 성능 나왔는데 1080p 기준 사펑 고오쓰가 평균 80프렘 나오던 ㄷㄷㄷ
(IP보기클릭)118.33.***.***
50W 를 먹는 1650Ti 보다 성능이 좋으면서 CPU+VGA+AI 가속까지 있고 전력도 30W 밑으로 먹으면.. 랩탑 시장은 거의 다 먹을 수 있는거 아닐까요?
(IP보기클릭)61.101.***.***
차세대 콘솔 성능 향상폭이 기대되는데
(IP보기클릭)118.129.***.***
(IP보기클릭)118.235.***.***
실기 성능 나왔는데 1080p 기준 사펑 고오쓰가 평균 80프렘 나오던 ㄷㄷㄷ
(IP보기클릭)118.33.***.***
50W 를 먹는 1650Ti 보다 성능이 좋으면서 CPU+VGA+AI 가속까지 있고 전력도 30W 밑으로 먹으면.. 랩탑 시장은 거의 다 먹을 수 있는거 아닐까요?
(IP보기클릭)210.108.***.***
(IP보기클릭)220.73.***.***
랩탑 바꿀때가 다가온다 요효효효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