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유니티, ‘유니티 6’에서 고화질 그래픽 구현

조회수 11303 | 루리웹 | 입력 2024.05.22 (14:50:00)
[기사 본문] 22일 오후 1시, 유니티가 'U Day 서울'의 일환으로 '유니티 6과 함께 모바일, VR, PC, 콘솔에서 고화질 그래픽 구현'이라는 제목으로 유니티 6의 렌더링, 조명, VFX 기술의 개선 사항을 정리하고, GPU 라이트 매퍼와 어댑티브 프로브 볼륨을 통해 빠른 이터레이션과 고화질로 전역 조명을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data/news25/05m/22/multi/s_u1.jpg

data/news25/05m/22/multi/s_u2.jpg

유니티 6는 쉐이더를 시각적으로 빌드하는 쉐이더 그래프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샘플을 제공하는데, 그 중 하나가 각 파일이 쉐이더 노드가 되는 로드 레퍼런스이다.

data/news25/05m/22/multi/s_u4.jpg

data/news25/05m/22/multi/s_u5.jpg

쉐이더 그래프의 기능 예제 샘플은 자주 사용되는 기법인 인테리어 큐브 매핑, 버텍스 매핑 등을 소개하며,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해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다.

data/news25/05m/22/multi/s_u9.jpg

쉐이더 성능 최적화를 위해 히트 맵 컬러 노드를 도입했다. 히트 맵을 컬러로 표시하면 어두울수록 코스트가 낮고 밝을수록 코스트가 높게 표시하여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10.jpg

data/news25/05m/22/multi/s_u11.jpg

data/news25/05m/22/multi/s_u12.jpg

data/news25/05m/22/multi/s_u13.jpg

UI 쉐이더는 UI 캔버스 타겟을 사용, UI에 애니메이션 등의 효과를 쉽게 구현하게 해준다.

data/news25/05m/22/multi/s_u14.jpg

data/news25/05m/22/multi/s_u15.jpg

data/news25/05m/22/multi/s_u16.jpg

VFX 그래프에도 새로운 학습 예제와 탬플릿을 제공하는데, 탬플릿은 보다 간단하게 시각 효과를 만들 수 있게 해주며, 나만의 템플릿을 더할 수도 있다.

data/news25/05m/22/multi/s_u18.jpg

data/news25/05m/22/multi/s_u19.jpg

새로운 학습 예제는 VFX 그래프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패키지 매니지에서 사용할 수 있고, HDRP(고해상도 렌더 파이프라인)와 URP(기본 설정된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 모두에 해당된다. 샘플 수는 총 24개이다.

data/news25/05m/22/multi/s_u21.jpg

블랙보드는 편의성을 개선, 모든 내장된 애트리뷰트에 접근할 수 있으며, 커스텀 애트리뷰트 생성도 가능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22.jpg

노드 서치에도 변화가 있는데, 검색을 간소화했고 이니셜로 검색할 수도 있으며, 단축키도 도입했다.

data/news25/05m/22/multi/s_u23.jpg

data/news25/05m/22/multi/s_u24.jpg

URP와 HDRP 기능을 동일하게 하여 카메라 버퍼가 URP에 추가되었고, 씬에 파티클을 뎁스 버퍼를 이용해 충돌 없이 뿌리는 것이 가능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26.jpg

6 웨이 라이팅은 데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연기가 사실적으로 동적 라이트에 반응하게 해준다. 데칼은 표면의 색상 등을 변화시켜 발자국 등을 구현하는데 유용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27.jpg

data/news25/05m/22/multi/s_u29.jpg

콜리전은 이전보다 안정적으로 처리되어 파티클이 표면에 계속 붙어 있을 수 있게 되었다.

data/news25/05m/22/multi/s_u31.jpg

이러한 요소들이 모여 라이팅을 강화시켜 준다. '판타지 킹덤'은 어댑티브 프로브 볼륨(APV)을 이용하여 간접 조명을 처리하며, 밤낮 전환이 용이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32.jpg

data/news25/05m/22/multi/s_u33.jpg

data/news25/05m/22/multi/s_u34.jpg

새로운 라이트 베이킹 아티켁처는 GPU 파워를 활용, 빠른 베이킹을 실현했고, 새로운 베이킹 프로파일로 적절한 워크플로를 선택할 수 있다.

data/news25/05m/22/multi/s_u35.jpg

APV는 간단한 프로브 배치와 빠른 이터레이션을 구현했으며, 라이팅 시나리오와 스카이 오클루전, 픽셀 단위/버텍스 단위 퀄리티 컨트롤을 유용하게 했다.

data/news25/05m/22/multi/s_u36.jpg

data/news25/05m/22/multi/s_u37.jpg

HDRP 물은 물 표면에 대한 쉐이더 재료를 할당한 뒤 물 표면의 변형을 활성화하여 리얼한 수면을 구현하고, 물 속과 산란된 빛, 카메라 효과 등을 차례로 더해 리얼한 물을 그릴 수 있다.

data/news25/05m/22/multi/s_u39.jpg

data/news25/05m/22/multi/s_u40.jpg

HDRP 하늘은 현실적인 일출/일몰을 오존 산란을 더할 수 있으며, 밤 하늘도 포함되어 있어 별 지도, 천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ata/news25/05m/22/multi/s_u42.jpg

data/news25/05m/22/multi/s_u43.jpg

이장원 기자   inca@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관련 정보

기     종

온라인/PC/아이폰/안드로이드/PS4/XBOX ONE/SWITCH/PS5/XSX

발 매 일

장     르

가     격

제 작 사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55
1
 댓글


(IP보기클릭)175.223.***.***

BEST
또 언제 다운로드 껀당 요금 청구할지 모르는데 쓰겠나
24.05.22 17:28

(IP보기클릭)133.232.***.***

BEST
유니티 주가 신저점 갱신중이던데 힘좀내봐라...
24.05.22 15:27

(IP보기클릭)116.121.***.***

BEST
신뢰를 잃은 자.... 쉽지 않겠지....
24.05.22 21:38

(IP보기클릭)211.104.***.***

BEST
그야 이익을 못내고 있으니.. 컨센서스 보면 내년도 적자행진
24.05.22 17:12

(IP보기클릭)221.158.***.***

BEST
응 안써 언제 또 뒤에서 칼찌를라고?
24.05.22 19:34

(IP보기클릭)133.232.***.***

BEST
유니티 주가 신저점 갱신중이던데 힘좀내봐라...
24.05.22 15:27

(IP보기클릭)115.138.***.***

양파양파
언리얼은 괜찮나요? | 24.05.22 22:06 | | |

(IP보기클릭)121.130.***.***

라지사이즈
언리얼은 에픽이 비상장이라 투자를 못해용 | 24.05.23 22:12 | | |

(IP보기클릭)211.36.***.***

주가는 왜 이리 박살나는지....22에 들어갔는데 이러다 20깨지것네
24.05.22 16:49

(IP보기클릭)211.104.***.***

BEST
괴도단
그야 이익을 못내고 있으니.. 컨센서스 보면 내년도 적자행진 | 24.05.22 17:12 | | |

(IP보기클릭)115.138.***.***

aufrechtmelcher
선생님 언리얼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 24.05.22 22:06 | | |

(IP보기클릭)112.149.***.***

라지사이즈
갠적으로 유니티보다는 언리얼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서로 강점인 분야라 달라요. 언리얼은 모바일 보다도 퍼포먼스가 좋은 콘솔, 피씨에 강하고 반대로 유니티는 모바일에서 강점이라서 모바일 점유율이 약 80퍼나 되죠. 아쉬운 점은 언리얼 소유한 에픽게임즈가 비상장이라는 점... | 24.05.22 23:34 | | |

(IP보기클릭)115.138.***.***

aufrechtmelcher
아 에픽게임즈가 비상장이었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 24.05.23 09:04 | | |

(IP보기클릭)114.202.***.***

aufrechtmelcher
그런데 쟤들 모바일 80퍼나 점유했는데 왜 이익이 낮은건가요;; | 24.05.24 01:00 | | |

(IP보기클릭)119.192.***.***

[피젯트레이닝] 토범태영
돈을 적게받거나 안받아서 점유율이 높은거 아니였나?? | 24.05.24 03:51 | | |

(IP보기클릭)114.202.***.***

야생의잡초
엄청 적게 받았나보네;; | 24.05.24 09:28 | | |

(IP보기클릭)122.208.***.***

[피젯트레이닝] 토범태영
원래 아주싸게 팔아서 그럼. 망할거같으니 가격을 올려불렸다가 사람들이 욕해서 . 결국 유저도 떨어지고 주가도 떨어지고. ㅎㅎ | 24.05.27 03:12 | | |

(IP보기클릭)114.202.***.***

클럭워크
회사입장에선 최악이겠넹 ㅎㅎ | 24.05.27 09:07 | | |

(IP보기클릭)175.223.***.***

BEST
또 언제 다운로드 껀당 요금 청구할지 모르는데 쓰겠나
24.05.22 17:28

(IP보기클릭)221.159.***.***

메모리아노이즈
그래서 CEO놈 짤리고 지금 다른사람으로 바뀜 ㅋㅋ | 24.05.22 19:02 | | |

(IP보기클릭)121.137.***.***

알곰
다른 ㅄ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는 게 세상 | 24.05.23 02:18 | | |

(IP보기클릭)122.208.***.***

메모리아노이즈
에이 설마. ㅋㅋ | 24.05.27 03:10 | | |

(IP보기클릭)121.136.***.***

물타기 지친다
24.05.22 19:23

(IP보기클릭)221.158.***.***

BEST
응 안써 언제 또 뒤에서 칼찌를라고?
24.05.22 19:34

(IP보기클릭)116.121.***.***

BEST
신뢰를 잃은 자.... 쉽지 않겠지....
24.05.22 21:38

(IP보기클릭)121.173.***.***

유니티는 위험합니다 Godot 엔진 쓰세요~
24.05.23 01:03

(IP보기클릭)58.127.***.***

입좀 그만 털고...유니티로 고퀼리티로 나온겜 한개라도 말해봐라... 있나..
24.05.23 01:41

(IP보기클릭)115.95.***.***

루리웹-5106731854
원신, AI 소녀, 에지 오브 이터너티, ... 찾아보면 많은데요. | 24.05.23 17:30 | | |

(IP보기클릭)58.127.***.***

GunMaster
툰쉐이딩은 고퀼이라고 할께 없어요.... 글구 툰쉐이더도 언련이 더 때깔좋음 | 24.05.23 18:50 | | |

(IP보기클릭)115.95.***.***

루리웹-5106731854
언리얼 툰세이딩 게임도 몇 개 없으면서 퀄도 개판인 게 현실인데요. 그리고, AI 소녀, 에지 오브 이터너티는 툰세이딩 아닌데요. 뭔가 오해하신 듯. 원신보다 툰세이딩 좋은 언리얼 게임 1개라도 얘기해 보시죠? | 24.05.23 19:05 | | |

(IP보기클릭)58.127.***.***

GunMaster

22년 19년에 나온거 맞나요...아... 콘솔이나pc같은데.. 온라인/모바일은 용량문제 때문에 싱글보다 퀼이 떨어집니다. 콘솔이라서 그나마 저정도면 온라인이면 더 개판나요 흔히 말하는 돈많이쓴 울나라 대작이라는 모바일겜들 보면 왜 죄다 언련이겠습니까.. 그래픽 적인 부분은 유니티는 언련 못따라옵니다. 유니티 장점은. 간편함이랑 최적화 관련이라고 알고 있는데 금전적인 것도 어느정도 있고요. 언련툰은 만들기 까다롭다고 유니티보다 까다롭다고 들은적 있는거 같네요 그랑사가?? 제가 마땅히 기억나는 마지막 언련 툰은 그정도 네요. | 24.05.23 23:15 | | |

(IP보기클릭)58.127.***.***

GunMaster
아 그리고 콘솔로 비교하면 그랑블루 판타지? 이거 언리언4 툰이라고 나오네요. 그리고 온라인쪽이면 지금 울나라 몇몇군대에서 언련으로 툰쉐이더 겜 준비 중인거 같으니 몇년안으로 나올테니 그때 확인해 보세요. 그 오딘만든 회사서도 한개 준비중인거 같더군요. 순수하게 그래픽 적인 면으로만 따지면 훨 나을겁니다 | 24.05.23 23:19 | | |

(IP보기클릭)115.95.***.***

루리웹-5106731854
무슨 나오지도 않은 게임을 갖고 설레발을 치시는지??? 솔직히 말하면, 그래픽은 디자이너 역량 문제죠. 엔진하고는 별 상관 없습니다. 디자이너 역량 뛰어나면, 엔진은 다 거기서 거기에요. 유니티든 자체엔진이든 뭐든 간에. 그리고, 우리나라 MMO 게임들 언리얼 엔진 많이 쓰는 건 NC 출신들 영향이 크죠. 엔진이 좋아서 라기 보다는 퍼져있는 NC 출신들이 그게 익숙해서 쓰는 거죠. 일종의 선점효과. 그냥 개발효율만 놓고 보면, 언리얼 개발효율 더럽게 안좋아요. 언리얼로 라이트 빌드, 쿠킹 빌드, 코어 빌드, 이런 거 한번이라도 해봤다면, 언리얼 칭찬 못해요. | 24.05.24 00:46 | | |

(IP보기클릭)112.212.***.***

GunMaster
엔진이 거기서 거기면 왜 언리얼5는 쩌는거임? 뭐 언리얼5의 데모만큼을 뽑아주는 게임은 아직이지만 언리얼은 시리즈 올라갈때마다 그래픽 확 좋아지지않음? 그리고 콘솔 게임들도 상당수가 언리얼4로 제작되지 않앗음? 언리얼4로 만든거 보니까 대부분의 AAA게임은 죄다 언리얼4인거같던데 님이 말한대로 언리얼4가 그렇게 개판인데 왜 AAA는 다 언리얼인거임? 무슨 울나라 MMO만 언리얼 쓰는것처럼 해놧네 그럼 왜 유니티로 개쩌는 AAA게임이 안나오는거임? 님이 말한대로 그래픽은 디자이너 역량인데 유니티가 수수료도 더 싼걸로 아는데? 그냥 님이 말하는 그 역량이란게 부족한거 아님? | 24.05.24 01:15 | | |

(IP보기클릭)116.123.***.***

매우졸려
언리얼5에 사용한 애셋을 유니티에 쓰면, 그 퀄러티 거의 그대로 나옵니다. 매트릭스 데모에 나온 차량들 유니티에 올려 보세요. 제 말이 맞다는 아시게 될 겁니다. 그리고, 시리즈 올라갈 때마다 언리얼 데모 그리픽이 좋아지는 이유는 그 시기에 발매된 그래픽 카드의 스펙에 맞춰서 텍스쳐와 폴리곤을 한계치까지 높게 사용하기 때문이죠. 높은 퀄러티의 텍스쳐와 폴리곤을 다른 엔진에 써보세요. 거의 비슷하게 나와요. 그리고, AAA 얘기하시는데, 콜옵, GTA, 레드데드리뎀션, 다크소울, 엘든링, 배틀필드, 싸이버펑크2077, ... 등 잘 나가는 AAA는 대부분 '자체 엔진'을 쓰고 있습니다. 언리얼 쓴 AAA 게임 중에 앞에 말한 게임들보다 더 많이 팔린 게임이 있기는 합니까? 한번 곰곰히 생각 좀 해보세요. 그리고, 유니티는 모바일에 특화되어 있어서 돈 잘 버는데, 굳이 콘솔에 기웃 거릴 이유 없죠. | 24.05.24 02:10 | | |

(IP보기클릭)112.212.***.***

GunMaster
잉? 유니티가 돈을 잘 벌어서 콘솔시장은 신경도 안쓴다? 이게 무슨소리임? ㅋㅋㅋ 어차피 팔리면 다 돈인데 기업이 같은 게임분야를 신경도 안쓴다라 참 신박한 답변임 그리고 유니티 만성적자 유명한데 뭘 돈을 잘범 그렇게 돈을 잘벌어서 작년에 그 뻘짓을 한거임? ㅋㅋㅋ 그 잘나가는 게임사들이 자체 엔진을 쓰는 이유는 뭐 당연히 수수료 때이기 싫어서 그런거고 지금 검색만 해봐도 언리얼로 개발한 AAA게임도 적지 않고 개발되고 있는 게임들도 있는데 디자이너 역량으로 전부 커버 가능한 게임엔진을 왜 수수료가 더 비싼 언리얼을 쓰냐는거임? 개발도 ㅈㄹ같고 돈도 더 비싼데 어떤 정신병자가 언리얼을 씀? 왜? 개발 효율이 나쁘다는건 개발기간도 더 길다는건데 인건비가 매우 높은 지분을 차지하고 게임을 빨리 내기 위해서 크런치까지 마다치 않는 게임개발에서 말만들어보면 장점은 하나도 없는 언리얼 엔진을 왜 쓰냐는거임? | 24.05.24 02:34 | | |

(IP보기클릭)58.127.***.***

GunMaster
언리언 에셋 ㅇ니티에 쓰면 거의 그대로 나온다는거부터가 개소린데?? 뷰포트에서 복식 대충 보는걸로 똑같다고 솔직히 울나라에서 유니티 빠는건 클라이언트뿐임 딱봐도 동태눈깔이니 차이를 모르지 ㅋㅋㅋ | 24.05.24 02:42 | | |

(IP보기클릭)58.127.***.***

매우졸려
냅두세요 에지 오브 이터너티?? 이런걸 고퀼이라고 하는 수준이면 뭐.. | 24.05.24 02:44 | | |

(IP보기클릭)116.123.***.***

루리웹-5106731854
ㅋㅋㅋ 써본 적이 없는 거 티가 나네요. 써보고 얘기를 해요~ 1줄 짜고 10분 빌드하는 언리얼이 개발효율이 퍽이나 좋겠수다. ㅋㅋㅋ 한국에서 언리얼로 개발하는 개발사 인력과 시간 갈아 넣어가면서 만드는 겁니다. 그 비효율을 체감해본 적이 없는 얘들이나 언리얼 찬양하는 거죠. 댁도 딱 그런 부류구만. | 24.05.24 02:55 | | |

(IP보기클릭)116.123.***.***

매우졸려
위에서 말했잖아요. 선점효과라고. 댓들을 좀 보고 글을 쓰세요~ | 24.05.24 02:56 | | |

(IP보기클릭)119.192.***.***

매우졸려
엔진은 그래픽을 올려주는 장치가 아니에요 처리해주는 장치지 특정 표현 광원 기타 등등을요 그리고 최적화 문제같은것도있고요 올드 버전 뉴버전 혹은 다른 어떤 엔진으로든 같은 그래픽으로 만들수있어요 그 과정이 어렵냐 쉽냐 최적화가 잘되냐 안되냐 플러그인 같은걸 지원하느냐 안하느냐 등등의 문제가 있겠지만 그래서 자체 엔진을 개발하는 이유가 유지가 용의하고 쉽고 변형을 하기가 쉬우며 자신들이 필요한 기능을 강조할수있어서입니다 그리고 엔진하나로 사용하는 것보다 여러엔진 섞어서 쓰는경우도 많아요 그리고 유니티는 보통 고사양 게임보다는 모바일쪽이나 휴대용 기기에 강세입니다 그러니 보통 그래픽을 일정이상 안올리죠 돌아가지를 않는데 거기에 인디 게임회사들이 즐겨쓰기대문에 AAA급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별로 없어요 | 24.05.24 03:56 | | |

(IP보기클릭)119.192.***.***

야생의잡초
무슨 엔진이 그래픽의 퀄리티를 창조해주는 것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결국 우리가 보는 모델들은 디자이너들이 다른 툴로 만들어서 넣는겁니다 블랜더 마야 맥스 지브러쉬 에프터 이팩트 등등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서 넣는건데 왜 그래픽의 척도가 엔진이라고 생각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 24.05.24 04:01 | | |

(IP보기클릭)119.192.***.***

루리웹-5106731854
https://techrecipe.co.kr/posts/40132 게임 엔진은 그래픽 퀄리티의 척도가 아님 게임엔진만 보고 그래픽 퀄리티를 논하는 사람들은 그냥 관련해서 아무것도 모르는거지 애초에 캐릭터 만드는 툴은 따로있는데 블렌더나 맥스 지브러쉬로 만들어서 넣은 모델이 유니티에 가면 퀄리티가 떨어지고 언리얼에 들어가면 퀄리티가 올라갈리가 ㅋㅋㅋㅋ 메디방 쓰면 무조건 그림 퀄리티 떨어지고 클튜나 포토샵 쓰면 그림 퀄리티 올라간다는 소리랑 똑같은 소리임 | 24.05.24 04:09 | | |

(IP보기클릭)175.120.***.***

GunMaster
1. 실사형 그래픽 기준 극한으로 퀄을 뽑아낸다면 엔진 상관 없이 비슷할 수 있다. 2. 현실적으로 봤을 때 언리얼로 대충 만든게 유니티로 열심히 만든 것 보다 더 좋다. 둘 다 만져본 사람 중에 이거 인정 안하는 개발자는 없다. 사실이니까. 3. 언리얼 에셋을 유니티에 그대로 올리는게 가능한가? 매시야 그렇다쳐도, 쉐이더도 호한이 되나? 원래는 안됐는데... 요즘엔 모르겠다. 안될것 같은데...내가 안쓰던 사이 뭔가 기능 지원이 되었나;;; (아시는 분 누가 좀 알려주세요.) 4. 툰쉐이더 쓸거면 굳이 언리얼 쓸 필요 없다. 윗댓에도 설명 있듯이 툰쉐이더 자체가 그리 고급 기술은 아니기 때문(아트팀의 센스가 더 중요) 참고로 툰랜더링의 끝판왕인 길티기어는 언리얼이다. 그것도 언리얼3. 5. 언리얼은 비싸다.(돈도 돈이지만 기본적으로 무거움) 그래서 AAA급 아닌 이상 잘 안쓴다. 모바일 게임들이 이전에 죄다 유니티였던 이유도, 언리얼3이 모바일 지원을 잘 안해서인 것도 있지만 고퀄 아닌 이상 비싼 언리얼 쓸 필요가 없었기 때문. 글고 모바일 기준으로 보면 유니티가 선점 했던걸 언리얼이 빼앗아 온거다. 모바일에서 언리얼이 쓰이기 시작한건 블레이드1 부터임. 그전엔 PC는 언리얼, 모바일은 유니티였음. 여튼 선점아니다. 6. 엔진 가격을 제외하면 만드려는 장르에 따라 언리얼이 훨씬 인력이 적게 들어갈 수도 있다. 언리얼이라고 무조건 인력 많이 들어가는 것 아님. 되려 디자이너나 기획자가 직접 핸들링 할 수 있는 영역이 유니티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개발이 더 효율적인 부분도 많다. 7. 엔씨 출신은 상대적으로 이직 잘 안하는듯. 사관학교라 불리는 다른 게임 대기업에 비해 확실히 '출신'을 만나기 쉽지 않음. 그러니 엔씨 출신이 업계에 많아서 언리얼 많이 쓰는거 아님. 글고 유니티 개발자 구하기가 언리얼 개발자 구하는 것보다 좀 더 쉽다. (개발자는 늘 구하기 어렵지만..) 8. 둘 다 장단이 있는 좋은 엔진이다. 굳이 예를 들자면 유니티는 과도 같은 느낌이고, 언리얼은 중식도 같은 느낌. 9. 특정 엔진에 팬심을 느낄 필요 없다. 반대로 극혐할 필요도 없음. 대부분의 게임사는 팬심이 아니라 비용과 요구 퀄리티, 장르나 목적 등에 따라 엔진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언리얼이든, 유니티든 자체엔진이든 말이다. 개발자라면 두루두루 다 만질 줄 아는게 좋다. | 24.05.24 04:10 | | |

(IP보기클릭)222.109.***.***

라스베가스가자
유니티는 과도, 언리얼은 중식도 비유가 공감되네요 ㅎㅎ | 24.05.24 05:37 | | |

(IP보기클릭)58.127.***.***

GunMaster
딱봐도 주니어 클라같은데.. 회사가서 그래픽팀가서 언련보다 유니티가 좋죠? 함 해보시길 ㅋㅋㅋ | 24.05.24 06:12 | | |

(IP보기클릭)58.127.***.***

야생의잡초
1. 에프터 이펙트는 영상편집에서 쓰는거지 모델러는 쓰지 않습니다. 2. 맥스.마야. 지브러쉬는 엔진이랑 전혀 연관 없는 하이폴 제작툴이고 서브스탄스 브터 엔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줍니다. 말하신거처럼 리플렉션. 알파. HDri를 사용 한 광원등 재질감이 언리언 대비 유니티에서 작업한 그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런 작업들은 고퀼리티 작업을 할수록 티가 많이 납니다. AAA급 프로젝트 한번이라도 참여해보셨으면 아무리 막눈이라도 차이가 모를수가 없음. 그래서 흔히 말하는 반실사는 유니티엔진을 주로 쓰고 흔히 말하느 실사 겜을 언련을 사용합니다. 애당초 언련엔진 시작이 실사를 추구하는 FPS겜으로 시작햇으니 당연한 것이고. 그때문에 재질감 표현이 탁월합니다. 그에 반해 유니티는 시작 부터 캐주얼 게임이 시초이니 상대적으로 색감 흔히말하느 옜날 손맵느낌이 잘 살고 탁월하죠. 참고로 요즘 모델러들 포토샵도 잘 안씀. 원화가들은 온리 포 샵이고. 메디방이나 클튜 뭐 어디서 학생들이나 쓸법한건 잘모르겠네요 | 24.05.24 06:20 | | |

(IP보기클릭)119.192.***.***

루리웹-5106731854
오 AAA급 프로젝트 한번이라도 참여해봤으면 차이를 모를수 없다라 어떤 AAA급 프로젝트에 어떤 파트로 참여하셨나요 ? 메디방이나 클튜는 포토샵보다 가벼운 편에 속하는 페인터 툴입니다 클튜는 일러스트레이터 처럼 벡터이미지를 쉽게만들수있다는 장점도 있고요 포토샵의 그지같은 크러쉬나 무거움때문에 가벼운 페인터 툴에서 작업하고 편집만 포토샵에서 쓰시는 분들도 많지요 그리고 본인이 답을 다해주셨는데 유니티에서 만드는게 불가능해서 언리얼처럼 안만드는게 아닙니다 댓글에도 써놨지만 만드는건 가능하지만 효율이 안좋으니 용도에 맞는 엔진을 쓰는거지 위에 다른분이 과도와 중식도를 예를 들어준것처럼요 그걸 뺨맞은 사람 처럼 고퀄리티 게임하나도 없는 엔진이라고 폄하하는게 이상할 다름입니다 제가 글재주가 없어서 예시가 이상했는지 모르지만 핵심은 이겁니다 금으로된 펜으로 그림을 그려도 낙서가 나올수있고 나뭇가지로 그려도 명화가 나올수있다는겁니다 여지것 댓글로 이야기 하시는거보면 언리얼 5부터 유니티 까지 여러엔진 쓰는 프로젝트를 AAA급 까지 직접 참여하신것 같아보이는데 무슨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불편함을 느끼셨길레 그러시는지 궁금하네요 페인트 툴을 포토샵밖에 모르시는거 보니 원화가는 아니신것 같고 맡으신 파트가 뭔지 궁금하네요 | 24.05.24 07:21 | | |

(IP보기클릭)58.127.***.***

야생의잡초
3D파트 쪾이 아니신건 같네요.. 각파트별로 보는 시각이 분명 다를겁니다. 하지만 콘솔만 봐도 그 많은 회사와 AD와 클라들이 미쳤다고 언련만 쓰는거 아닌데. 단순 언련에서 되는 기능 유니티도 된다! 별차이 없다. 혹은 유니티가 더 낫다 하는 일부 클라이언트들 시각이 있는거 같아 쓴 글이 핀트가 잘못나간듯 하네요. | 24.05.24 07:40 | | |

(IP보기클릭)119.192.***.***

루리웹-5106731854
어렸을때 3d 마야와 맥스를 배워서 게임 디자인 학과에갔다가 어찌저찌 그림배워서 지금은 웹툰 강사가 되었습니다 당연히 기업은 효율을 추구하죠 특정 분야에 효율 좋은 도구 두고 왜 가성비 떨어지는 도구를 쓰겠습니까 하지만 그게 특정엔진의 그래픽 퀄리티의 잣대는 아니죠 여러모로 최신기술인 언리얼5 놔두고 구버전 쓰는경우도 많은 것처럼 용도에 맞게 필요에의해서 사용되는거지요 여기서 유니티 언리얼 급나누는거 보면 예전 마야 맥스 합병되기전 넙스니 폴리곤이니 급나누는거 보는거 같습니다 효율은 둘째치고 사용자들이 넙스가 구리니 폴리곤이 구리니 하는게 무슨 소용입니까?? 결국 퀄리티는 모델러 실력으로 좌우되는데 | 24.05.24 08:02 | | |

(IP보기클릭)116.123.***.***

라스베가스가자
에셋 옮기는 게 어렵지 않아요. 머터리얼은 서브스턴스로 만들기 때문에 언리얼이든 유니티는 만드는 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폴리곤은 그대로 가져다 쓰면 되니까 문제 없고요. 그래서, 에셋 옮기는 거 문제 없이 잘됩니다. 다만, 세부적인 옵션와 후처리 효과 때문에 약간 다르게 나올 뿐이죠. 레이트레이싱 옵션을 켰다는 전제 하에서 본다면, 언리얼이나 유니티나 큰 차이 없습니다. 대충 만들던 잘 만들던 그건 상관 없고, 진짜 디자이너 역량에서 판가름 납니다. 툰세이더라도 수준이 높은 테크닉으로 가면, 쉽지 않아요. 원신급 정도로 나올려면, 언리얼로도 쉽지 않습니다. 길티기어가 잘 만든 건 인정합니다만, 그런 게임 흔하지 않죠. 언리얼이 가장 나쁜 점은 시간 소모량이 너무 많다는 겁니다. 소스를 약간 수정하더라도 유니티는 1분 정도 걸리는 빌드가 언리얼에서는 10~20분 빌드는 기본입니다. 좀 많이 수정하면, 유니티에서 4~5분 걸리는 게 언리얼에서는 1~2시간 소모됩니다. 클라이언트 개발 시간을 생각하면, 언리얼의 시간 효율은 정말 최악입니다. 개발자의 워라벨을 깨서 절대 칭찬 못함. | 24.05.24 08:52 | | |

(IP보기클릭)116.123.***.***

루리웹-5106731854
클라팀 가서 유니티보다 언리얼 좋다고 얘기해 보시죠? 철 없다는 소리 듣기 딱 좋죠. ㅋㅋㅋ | 24.05.24 08:59 | | |

(IP보기클릭)122.208.***.***

루리웹-5106731854
모르면 제발좀 닥치면 좋겠네. 언리얼 쉐이더는 피지컬기반이라 툰쉐이더를 썼을때 자체에 부하가 엄청큼. 언리얼로 맛폰에서 툰쉐이더쓸려면 터진단다. 한다해도 리소스를 거기에 다 써야하니 보통은 가벼운 유니티를 쓰는거고. | 24.05.27 03:15 | | |

(IP보기클릭)58.121.***.***

솔직히 고퀄리티라기에 양심이 좀 찔리지 않나? 유니티에서 고도로 많이 넘어가고 있더라
24.05.23 08:45

(IP보기클릭)203.128.***.***

언리얼천하가 되는것보다 유니티가 힘을 내줬으면 좋겠다
24.05.23 08:55

(IP보기클릭)175.123.***.***

근데 뭐 퀄이 높아진다고 해도 결국 그걸 써서 만드는 사람이 익혀서 쓰기가 얼마나 쉬운가에 달린거라서..
24.05.23 13:48

(IP보기클릭)125.137.***.***

얘네 엔진 이제 멀티코어 지원 제대로 하나요?
24.05.23 14:32

(IP보기클릭)220.86.***.***

자고로 루리웹 ↗문가들이 욕하고있으면 떡상할 시그널이다
24.05.24 03:42

(IP보기클릭)14.45.***.***

유니티도 자기네들이 포나처럼 게임 하나 만들어서 제대로 운영해봐야 정신 차리지, 유니티 힘내라~ 한쪽만 잘나가는건 시장에 좋지 않아요~ ㅠㅠ
24.05.24 13:27

(IP보기클릭)118.235.***.***

유니티의 아이러니는 유니티로 매출을 내는쪽은 모바일임. 모바일 중에서도 레거시 렌더러가 대다수고 소수가 urp나 쓸까... 근데 자기들 적자라며 요금제 올릴 생각만 하면서 돈 써서 활발하게개발하는건 hdrp나 urp임 ㅋㅋ hdrp 기반 상업 게임 뭐있냐고 물어보면 나무위키 켜야할걸? 언리얼도 기술개발 하는거 보면 최소사양이 포나급 게임부터임. 근데 모바일 회사가 보통 최소사양을 포나급으로 잡고 기획안 올리면 대부분 종이째로 던질껄? 유니티는 회사가 잘못가는거 같고 언리얼은 한국에서 보기엔 핀트가 미세하게 빗나가 있는거같음.
24.05.24 16:43


1
 댓글




목록보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