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powerpyx.com/hogwarts-legacy-trophy-guide-roadmap/
트로피 헌터 powerpyx는 60~80시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네 개의 트로피는 게임을 시작한 후 컷씬 대화 다 스킵하고 달렸을 때 2시간 정도면 획득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니 75시간 초회차 이후 캐릭터 셋을 더 만들어서 6시간쯤 투자하면 81시간쯤 되겠습니다. 만일 60시간만에 끝냈다면 70시간 이전에 플래티넘 트로피를 획득할 수 있겠네요.
메인 스토리는 난이도와 사이드 콘텐츠를 얼마나 즐기냐에 따라 다르지만, 15시간에서 25시간 얘기합니다.
https://howlongtobeat.com/game/83145
howlongtobeat 이쪽은 유저들이 자신의 통계를 작성하고 모으는 사이트입니다.
일단 메인 + 사이드 = 48시간 반으로 되어 있는데요. completionist(완전 정복)은 정보가 없네요. 초반에는 참여자 수가 많지 않아서 부정확한 면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일곱 명이 다 깼다고 해요. 출시 후 시간이 지나고 표본이 쌓이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구글에서 hltb 게임 이름으로 검색하시면 나오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powerpyx에서 만든 지도를 첨부합니다.
223.39.***.***
플탐이 길다 - 길면 뭐하냐 텅텅 비어서 쓸데없다 - 어거지로 분량 늘린다 = 해결방안 : 개발비용 늘여서 밀도를 채운다 플탐이 짧다 - 가격 대비 가성비가 안나온다 - 만들다 말았냐 이게 뭐냐 해결방안 : 개발비용을 늘려서 잘려나간 컨텐츠 복구나 추가 분량을 만든다 하지만 “게임 가격이 오르는건 죄악이자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업계의 횡포다.” “45000-50000 받던거 그대로 받되, 그래픽, 애니메이션, 심도있는 서브퀘, 음악 다 갖추면서 플탐도 갖춰” “Dlc 장사는 생각하지 말고” “후속 대처나 패치는 주기적으로 하고 최적화도 말끔하게 해내란 말야. 물론 비용 추가는 안돼.“ “아 근데 물가 오르니까 내 월급은 올라야 해”
121.140.***.***
길면 길다고 난리 짧으면 짧다고 난리 무지성 억까들 난리구만
125.136.***.***
쉬움으로 놓고 다른 거 다 무시하면서 타임어택 하듯 달리면 그만큼 나올 것 같네요.
106.251.***.***
요즘 그렇게 나오는 게임 거의 없어요
1.234.***.***
기숙사가 이름이랑 분위기만 다른 거 말고 별도의 차별화된 요소가 있어야겠지. https://www.ign.com/wikis/hogwarts-legacy/Which_House_Should_You_Choose 위 내용을 보면 기숙사가 스토리 줄기에 별 영향이 없다고 나와있고, 그냥 퀘스트라인 있는 특정 인물에 대한 접근성이 좋다는 정도의 차이인데 다회차까지 갈 요소는 아닌듯.
121.177.***.***
121.140.***.***
121.167.***.***
106.251.***.***
125.136.***.***
크라운 초코하임
쉬움으로 놓고 다른 거 다 무시하면서 타임어택 하듯 달리면 그만큼 나올 것 같네요. | 23.02.07 14:11 | | |
1.234.***.***
39.117.***.***
그리핀도르,슬리데린 회차마다 다르게 가는게 다회차포인트 | 23.02.07 14:15 | | |
1.234.***.***
루리웹-6973901018
기숙사가 이름이랑 분위기만 다른 거 말고 별도의 차별화된 요소가 있어야겠지. https://www.ign.com/wikis/hogwarts-legacy/Which_House_Should_You_Choose 위 내용을 보면 기숙사가 스토리 줄기에 별 영향이 없다고 나와있고, 그냥 퀘스트라인 있는 특정 인물에 대한 접근성이 좋다는 정도의 차이인데 다회차까지 갈 요소는 아닌듯. | 23.02.07 14:19 | | |
125.136.***.***
일단 그리핀도르 출신의 정의의 마법사 / 용서 받지 못할 저주를 남발하는 슬리데린 출신 어둠의 마법사 콘셉트 잡고 두 번 정도는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근데 메인퀘스트는 일직선 진행인 것으로 압니다. 인퍼머스 세컨드 선처럼 선/악 미터기 시스템도 없고요. 아마 멀티 엔딩도 아니겠죠. | 23.02.07 14:25 | | |
163.180.***.***
기숙사별 엔딩 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 23.02.07 15:05 | | |
125.178.***.***
선/악 분기조차 없는건 상당히 아쉽네요...그럼 그냥 다회차 요소는 없는거군요 | 23.02.07 15:46 | | |
182.209.***.***
118.223.***.***
갓오브워 라그나로크도 그정도 되니 적당한듯 | 23.02.07 14:16 | | |
106.146.***.***
플탐이랑 가격이랑 뭔상관임 게임가격은 영화처럼 작품이랑 상관없이 가격은 거의 고정에 가까운 상품인데 자꾸 가격이랑 게임내용이랑 연결지을려는 움직임이 보임 일반적인 개발과정을 거쳐서 나온 게임 가격은 항상 거의 비슷했음 풀프라이스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닌데 | 23.02.07 14:29 | | |
39.7.***.***
소비자 입장에선 상관이 아주 없진 않죠 5시간짜리 풀프라이스 받는다고 하면 수긍이되나요? | 23.02.07 14:39 | | |
223.39.***.***
디오더 1886을 해보셨나요? | 23.02.07 14:49 | | |
123.140.***.***
뭔 헛소리임?? 바하3re가 가격대비 플탐땜에 얼마나 까였는데 | 23.02.07 15:00 | | |
223.39.***.***
유저 개인 만족도는 다를 수 있는데 플탐 - 가격 - 완성도 이게 뭐 딱딱 들어맞는 요소는 분명 아닙니다 그냥 플탐도 해당 게임의 특징 중 하나고 결국은 재미/완성도로 귀결되는게 맞아요 저분은 그 이야기를 하는거 같은데, 요는 이거죠 그럼 스카이림보다 플탐 짧은 게임은 다 가격 낮게 나와야하나 | 23.02.07 15:17 | | |
106.102.***.***
아무리 게임사이트이고 장르마다 플탐이 다르지만 길면길수록 좋다 이런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은듯 그러고나선 뺑뺑이 퀘스트 겁나욕함 | 23.02.07 15:25 | | |
125.178.***.***
근데 플탐도 중요시하는분들도 이해는 갑니다 요즘 게임가격 너무 비싼데 뭐 물가때문에 오른거다라고 이해는 가면서도 그만큼 컨텐츠가 빈약하거나 그러면 욕먹는건 당연한 수순..물론 플탐 어거지로 늘려놓는거보다 빽빽하게 넣어놓는거면 더 좋겠지만요 최근 일례로 컨텐츠가 턱없이 빈약하고 플탐도 짧다고 욕먹은 포스포큰이 딱 그랬으니.. | 23.02.07 15:49 | | |
58.124.***.***
바하3re가 욕먹은건 꼭 플탐 때문에 그런건 아닐텐데요? 플탐은 부가적인 요소에요. 플탐이 긴 유비 겜이 왜 돈 값못한다고 욕먹는지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텐데 | 23.02.07 16:02 | | |
123.140.***.***
플탐이 가장 대표적으로 까인 요소죠. 원작 요소 대거 쳐낸거 모두 플레이타임 감소로 이어지는겁니다. 물론 게임이 재미가 없는건 아니었죠. 요즘 나오는 게임들이 첫플레이로 엔딩까지 최소 20~30시간 보장하려는게 괜히 있는게 아니에요. | 23.02.07 16:11 | | |
123.140.***.***
가격 기준이 플탐이 아니더라도 정도라는게 있는겁니다. 게임이 재밌다한들 풀프라이스 7만원내고 무지성으로 5시간만에 첫 엔딩 찍으면 당연히 가성비 이야기 나오는겁니다. | 23.02.07 16:15 | | |
117.111.***.***
가격 대비 플탐을 따지는건 당연한거 아닌가? 무슨 지들사정만 따지면서 평가함? ㅋㅋㅋ 몇몇 AAA급 게임하고 바하re3이 플탐 때문에 까였다는걸 모르나보지? | 23.02.07 16:17 | | |
222.104.***.***
바하3RE 는 원작스토리 삭제랑 2편 복붙때문이지.. 플탐때문이 아님 | 23.02.07 16:51 | | |
223.39.***.***
플탐 20시간 정도 보장하는데 어느정도 퀄리티 - 밀도 갖춰야 하면 결국 그게 개발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그러면 결국 가성비 더 떨어지는데요 바하 2도 일반적인 초회차 메인‘만’ 밀어서 8시간 가량 걸리고 (64700) 디오더도 일반적 초회차 메인‘만’ 밀어서 7시간 반 걸리는데 (59000) 가성비는 디오더가 더 좋습니다 사실 가성비 따지려면 할인 기다리거나, 플탐이 기대치에 안 맞으면 안 사는게 맞다고 봅니다 | 23.02.07 16:51 | | |
223.38.***.***
플탐이 가격과의 관계가 있는건 말씀하신 영화로 빗대자면 영화가 아무리 재밌어도 1시간30분 내지는 약 2시간인 이유가 비용만큼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치성 때문입니다 영화 비용이 예를들어 1만원이면 보고 끝나지만 게임은 구매하면 나중에 다시 할 수 있죠 그럼 게임도 문화 콘텐츠로서 제공하는 양에 비례한 가치성 또한 중요한데 영화 관람 비용보다 훨씬 비쌉니다, 제작비도 AAA급이라 하는 대규모 게임 이외 보통 영화 제작비보다 훨씬 저렴하구요 근데 7만원짜리 게임인데 1시간30분 짜리 1만원 게임, 영화보다 재미도 없는데 플탐도 1시간30분이면 이게 뭐지 싶지 않을까요? | 23.02.07 16:58 | | |
119.70.***.***
참 말도 안되는 말하시는데 바하2RE가 플탐으로 까였던가요? 가성비는 디오더가 더 좋다??? 메인만 밀어서 볼장 다보는 게임과 엔딩 여러개에 진행루트가 여러개 준비된 요소가 있는 게임이랑 비교하는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소립니다. 게임을 플레이해보고 말씀하시던지 하세요. 그리고 시리즈팬이면 믿고 구매하는거고 기대치에 못미치면 당연히 혹평도 하는겁니다. | 23.02.07 17:34 | | |
119.70.***.***
바하2랑 디오더랑 비교를 해봐도 디오더의 덤핑 속도만 봐도 플레이타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는걸 알수있습니다. | 23.02.07 17:46 | | |
210.123.***.***
영화가 90~120분 사이의 런닝타임을 가지는건 수익성의 극대화를 노린겁니다. 한 개봉관에서 하루에 6회 돌리는거랑 4회돌리는건 수익성의 급이 달라지니까요. 아바타나 엔드게임처럼 간혹 제작사 감독이 길어도 우리영화 쩔지~ 라는 생각으로 2시간이 넘는 런닝타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수익을 거둬들이는 영화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저스티스리그처럼 수익성을 위해 제작사가 2시간 안쪽으로 편집을 강요하는게 현실이죠. | 23.02.07 17:59 | | |
223.39.***.***
디오더 덤핑은 플레이타임 자체보다는 당시 넘치던 qte 중에서도 너무 양산형 qte의 그대로인 답습 호평 받은 총전이 플레이 중 비중이 적다는 것 설정 잘 갖춰놓고 못 따라가는 스토리라인 갑자기 용두사미 비슷하게 어정쩡히 끝나는 결말 의 요소도 아주 크게 작용했지 단순히 플레이타임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 23.02.08 10:48 | | |
123.140.***.***
"단순히"라고 말할하기 힘든게 플레이타임이 그 게임의 가장 대표적인 단점입니다. 위에 나열하신것도 당연히 단점들이긴 하죠. 그중에서 트리플 에이급 가격에 볼륨이 작아 가성비가 안좋다는게 디오더의 가장 대표적인 단점입니다. | 23.02.08 14:11 | | |
123.140.***.***
여담으로 제가 바하3Re 예약구매 풀프라이스로 구매해서 모든 도전과제 달성하는데 30시간밖에 안걸렸습니다. 그렇다고 RE2처럼 사후 보너스게임이 추가된것도 없고 복장이 2보다 다양한것도 아니죠. 그 게임의 단점으로 "대표적"으로 회자 되는걸 생각해보세요. | 23.02.08 14:41 | | |
118.235.***.***
118.222.***.***
1편만봐도 충분 | 23.02.07 14:24 | | |
223.38.***.***
영화의 조상들 이야기라 전혀 상관없어서 세계관 모르신다면 오히려 빠져들기 쉬우실거에요ㅎㅎ | 23.02.07 17:00 | | |
1.221.***.***
121.65.***.***
61.109.***.***
반정할떄 까지 플레이를 좀해야 하는데 메인+3캐릭을 더해야해서 +시간이 든다는 말인듯 스토리는 반이랑 상관없이 같음, | 23.02.07 23:26 | | |
106.101.***.***
210.100.***.***
223.38.***.***
최소 15시간이라는데 그게 짦은거면 대체.... | 23.02.07 14:25 | | |
106.251.***.***
SakuraWolf
요즘 그렇게 나오는 게임 거의 없어요 | 23.02.07 14:31 | | |
211.201.***.***
오픈월드는 즐기기 나름입니다. ㅋ_ㅋ | 23.02.07 14:40 | | |
180.66.***.***
전 엘든링도 공략 전혀 없이 제 마음대로 돌아다니다가 1회차에 500시간으로 정말 풍족하게 즐겼습니다. 오픈월드는 정말로 하기 나름이에요. | 23.02.07 14:44 | | |
58.103.***.***
갠적으로 메인만 따졌을때 15~30시간이 딱 무난한거 같아요.. 너무 길면 루즈하고 지쳐서 못하겠더라구요.ㅠ 더 하고픈 사람들은 도전과제나 다회차 노려보면 될듯하구요. | 23.02.07 14:46 | | |
58.124.***.***
오픈월드 자체가 메인만 달렸을때 플레이 타임이 길지는 않죠. 사이드 퀘스트 등등으로 길어지는거라 | 23.02.07 14:53 | | |
106.101.***.***
100시간 넘어가는 게임들 개씹극혐~ 불감증 걸리게 하는 주범임. 요즘 겜들 너무 길어서 이것저것 다양하게 게임을 즐기려는걸 방해함. 지들 겜 하나만 사서 몇달간 그 겜 하나만 물고 빨고 하라는 심보 같은데 괘씸 그 자체임~ | 23.02.07 14:55 | | |
61.84.***.***
이거 ㄹㅇ임 | 23.02.07 15:01 | | |
223.38.***.***
시간이 진짜 많으신가봄 부럽습니다 | 23.02.07 15:21 | | |
106.102.***.***
메인이 70시간 ㄷㄷㄷ 위쳐도 그정도는 안됩니다 | 23.02.07 15:24 | | |
125.178.***.***
메인 섭퀘 70시간이요?요즘 그렇게나오는겜 없습니다 아무리 길어야 섭퀘합쳐도 3~40간 내외임 이마저도 꽤 괜찮다는 사람 많아요 무슨 하루종일 게임할것도 아닌데;; | 23.02.07 15:31 | | |
119.197.***.***
2000시간 하는 시뮬레이션 쪽으로 가셔야.. | 23.02.07 17:12 | | |
222.120.***.***
신인 가수가 데뷔해도 사람들은 김나박이랑 비교를 하면서 까더군요 그냥 인간의 습성인거같음 | 23.02.07 17:52 | | |
223.39.***.***
ㄹㅇ 직장인들 퇴근하고 집에와서 게임해봐야 하루 1~2시간인데 60시간 70시간 짜리도 한달 내내 꼬박해야 할수있는 시감임 이게 짧다고? 게임도 좋지만 현생도 즐기세요 | 23.02.07 20:10 | | |
61.72.***.***
211.201.***.***
175.200.***.***
112.172.***.***
영화에서 쭉 보던게 그리핀도르니 슬리데린 기숙사를 보고 싶어한 사람이 많은듯? | 23.02.07 15:05 | | |
222.99.***.***
영화는 그냥 보기만 해야되서 정의로운 그리핀도르이지만 게임은 행동을 할수 있다보니깐 요즘 사람들 자기 욕망대로 움직이면 죄다 슬리데린 나올거 같아요 ㅋㅋ | 23.02.07 15:56 | | |
223.38.***.***
능력있고 정치질 잘하거나 그런쪽이 원래 슬리데린이라ㅎㅎ 약간 귀족 같은 느낌 | 23.02.07 17:02 | | |
118.128.***.***
121.179.***.***
221.160.***.***
220.76.***.***
222.99.***.***
저두 그래요 . 그냥 쉬움으로 엔딩보고 서브건들때 심심하면 좀 올리기. | 23.02.07 15:58 | | |
121.140.***.***
길면 길다고 난리 짧으면 짧다고 난리 무지성 억까들 난리구만
223.39.***.***
밤비군
플탐이 길다 - 길면 뭐하냐 텅텅 비어서 쓸데없다 - 어거지로 분량 늘린다 = 해결방안 : 개발비용 늘여서 밀도를 채운다 플탐이 짧다 - 가격 대비 가성비가 안나온다 - 만들다 말았냐 이게 뭐냐 해결방안 : 개발비용을 늘려서 잘려나간 컨텐츠 복구나 추가 분량을 만든다 하지만 “게임 가격이 오르는건 죄악이자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업계의 횡포다.” “45000-50000 받던거 그대로 받되, 그래픽, 애니메이션, 심도있는 서브퀘, 음악 다 갖추면서 플탐도 갖춰” “Dlc 장사는 생각하지 말고” “후속 대처나 패치는 주기적으로 하고 최적화도 말끔하게 해내란 말야. 물론 비용 추가는 안돼.“ “아 근데 물가 오르니까 내 월급은 올라야 해” | 23.02.07 17:01 | | |
223.38.***.***
물가 오르니 최저시급, 내지는 월급이 올라가든 물가가 안정되든은 맞말.. | 23.02.07 17:03 | | |
223.39.***.***
그러니 게임 개발사 직원들 월급도 당연히 오르겠죠 | 23.02.07 17:05 | | |
203.229.***.***
근데 스탠다드 기준 9.6만원이면 역대급으로 비싼 건 맞는거 아닌가요? ㅋㅋ | 23.02.08 08:19 | | |
223.39.***.***
플스판 한정으론 그렇겠는데 해리포터 영화화 판권 JK 롤링 소설 설정 판권 비용 포함되어 있을테니 그런거 감안하면 그렇게 비싼지 모르겠습니다 애초에 당시 초대작은 아니었던 위쳐 소설 판권 헐값에 사들인 cdpr 이랑은 경우 자체가 달라보이고 그리고 결국 자본주의 사회니까 가격이 맘에 안 들면 안 사는 게 유저 자유이자 선택이라고 봅니다 누군가는 저 가격을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보고 누군가는 저 가격이 터무니없다고 느낄테니까요 | 23.02.08 10:51 | | |
223.39.***.***
그리고 전 79800에 ps5 패키지판 샀는데 Dl 가격은 뭔가 정책적인 문제 같네요 | 23.02.08 10:52 | | |
175.223.***.***
121.138.***.***
112.214.***.***
223.38.***.***
59.6.***.***
미쳐버린 플스5 가격 ㅎㄷㄷ
223.38.***.***
플스 독점 콘텐츠 끼워서 그런듯 | 23.02.07 17:04 | | |
219.255.***.***
스팀 58500원 해서 스팀덱으로 할까 고민중이네요. | 23.02.07 18:00 | | |
222.108.***.***
59.18.***.***
61.81.***.***
49.173.***.***
18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