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하드웨어] "LG전자 OLED TV, 4주만에 '번인' 발생" [137]




(4998542)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34707 | 댓글수 137
글쓰기
|

댓글 | 137
 댓글


(IP보기클릭)112.170.***.***

BEST
솔직히 고정 이미지로 시험하면 번인 당연한거 아님?
19.11.23 13:07

(IP보기클릭)221.162.***.***

노출이 제한된 댓글입니다.
[노출이 제한된 댓글]
BEST
냄세난다 삼성아
19.11.23 13:10

(IP보기클릭)67.180.***.***

BEST
RTings test 몇 년전부터 보고 있는 사람인데, 저 기자는 이제사 저 사이트 발견해서 그것도 겨우 해석해가지고 제멋대로 해석하는 짜깁기 기사를 쓰네. 2017년에 똑같은 스크린샷만 고정 틀기는 의미 없다고 인정해서 2018년에 새로 동영상테스트로 들어갔는데 그것마저도 컨텐츠를 한정해서 뉴스만 계속 틀기, 스포츠만 계속 틀기, 한 게임만 계속 틀기 등 이런 식으로 테스트해서 별로 의미가 없다. 그마저도 5시간 연속 재생에 한 시간 쉬기 즉, 이걸 하루에 4번 반복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인데, 9000시간을 넘기면서 스포츠 방송과 게임에서 번인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여기서 9000시간만에 번인이 나온 것은 하루 5시간씩 5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같은 동영상 화면만 봤을 때 나오는 것이다. 이에 따라 RTing 결론도 아래와 같다. Our stance remains the same, we don't expect most people who watch varied content without static areas to experience burn-in issues with an OLED TV. 한 마디로 다양한 화면을 보는 유저에게 번인이 쉽게 생길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https://www.rtings.com/tv/learn/real-life-oled-burn-in-test
19.11.23 13:32

(IP보기클릭)106.101.***.***

BEST
순시리야 냄새난다 ㅋㅋ 번인 하면 갤럭시도 만만찮은데..
19.11.23 13:20

(IP보기클릭)112.170.***.***

BEST
Av게시판으로좀
19.11.23 13:03

(IP보기클릭)223.38.***.***

방지가아니라 꼼수지
19.11.23 13:03

(IP보기클릭)112.165.***.***

IHAIVAL
또 새치기 죄송합니다. 중복입니다. 저 밑에 올라왔었어요. 뉴데일리기사고요. 그리고 기사 자체도 새로울거 없는 예전 rtings기사 인용한 짜깁기 광고성 기사고요. | 19.11.23 14:15 | | |

(IP보기클릭)112.170.***.***

BEST
Av게시판으로좀
19.11.23 13:03

(IP보기클릭)211.110.***.***

몇몇 분들이 쉴드쳐봤자 번인 사실은 안변함. OLED TV는 구매하지말고 전시장에서 구경하는 것으로 충분하죠.
19.11.23 13:06

(IP보기클릭)223.38.***.***

저기요!
Dvd프라임 같은 곳에서도, 잘만 쓰시던데요. 몇몇분이 쉴드치는게 아니라. 반대아닌지.. 뉴데일리같은곳에서 속보이는짓하는거지. 뜬금없게 이제와서 새삼스럽게.. | 19.11.23 13:42 | | |

(IP보기클릭)211.3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RIXA002
진짜 이해 안가는... 전 집에서 아주 잘 보고 있습니다. 님은 앞으로도 전시장에서 보세요. | 19.11.23 14:51 | | |

(IP보기클릭)222.98.***.***

저기요!
난 심지어 전시장에 전시해서 계속 사용되던거 싸게 삿는데도 2년 다되가는데 번인없이 잘쓴다 | 19.11.23 16:18 | | |

(IP보기클릭)211.210.***.***

저기요!
살돈은 있고? ㅉㅉ | 19.11.24 08:29 | | |

(IP보기클릭)110.35.***.***

쉬부랄....몇달뒤에 이사가면 LG 올레드 65인치 C9 직구로 살라고 맘먹고 있는데..
19.11.23 13:07

(IP보기클릭)112.170.***.***

BEST
솔직히 고정 이미지로 시험하면 번인 당연한거 아님?
19.11.23 13:07

(IP보기클릭)183.104.***.***

4주면 교체 가즈아
19.11.23 13:08

(IP보기클릭)118.131.***.***

두번이나 데여서 엘지티비 두번다시 안삽니다
19.11.23 13:09

(IP보기클릭)125.129.***.***

밀봉아다만티움
전 삼성tv 데여서 안사는데 그럼 뭘살까요? 중소기업? | 19.11.23 23:52 | | |

(IP보기클릭)211.210.***.***

밀봉아다만티움
삼성은 더 ㅈㄹ인데 샤오미 tv 살건가봐 | 19.11.24 08:29 | | |

(IP보기클릭)1.225.***.***

밀봉아다만티움
찾아보면 엘지티비에 데인이들보다 삼성티비에 데인이가 더 많을걸요? | 19.11.26 20:49 | | |

(IP보기클릭)221.162.***.***

노출이 제한된 댓글입니다.
[노출이 제한된 댓글]
BEST
냄세난다 삼성아
19.11.23 13:10

(IP보기클릭)118.33.***.***

노출이 제한된 댓글입니다.
[노출이 제한된 댓글]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puchikon
상식적으로 비주류 저소독 급식 천국에 조회수 10만 언더짜리 게시판에 삼성이 알바를 푸는게 더 이상하다 생각이 안듬? 본인의 사상과 다르면 다 알바? | 19.11.24 17:43 | | |

(IP보기클릭)118.34.***.***

난 E8 사용중인데 너무 맘에드는디.. 번인 따위 신경 않쓰고 봄..
19.11.23 13:11

(IP보기클릭)1.246.***.***

TV나 PC 정보도 모바일게시판에 올려도 되나요?
19.11.23 13:13

(IP보기클릭)1.232.***.***

번인이 난다는거 자체가 하자품이고 고정이미지로 4주면 1년안엔 동적이미지로 날수있단거아님? 삼성이 qled로 사기친것도 노답이고 번인방지기술 드립치는거도 노답이지
19.11.23 13:20

(IP보기클릭)221.140.***.***

오겹살
번인 나는건 oled 특성상 어쩔수 없는거고(삼성도 번인은 해결 못함) 저 기사 자체가 짜집기한 찌라시 입니다 | 19.11.23 16:22 | | |

(IP보기클릭)106.101.***.***

BEST
순시리야 냄새난다 ㅋㅋ 번인 하면 갤럭시도 만만찮은데..
19.11.23 13:20

(IP보기클릭)118.33.***.***

egloos
지금 모바일디스플레이중에 삼성만큼 잘만드는 회사가없을텐데요 그래서 애플도 삼성oled쓰는거고 tv랑 모바일이랑 비교하시네 | 19.11.23 14:05 | | |

(IP보기클릭)106.101.***.***

악플좀그만좀달어
지금 tv디스플레이중에 lg만큼 잘만드는 회사가없을텐데요 그래서 소니도 lg oled쓰는거고 | 19.11.23 15:10 | | |

(IP보기클릭)110.70.***.***

egloos
전 삼성티비번인에대해서 언급조차안했습니다. 님이 번인하면 갤럭시라고 어그로를끄셔서 그부분에대해 지적하는겁니다. | 19.11.23 15:19 | | |

(IP보기클릭)106.101.***.***

악플좀그만좀달어
여기가 안드로이드 정보 게시판이라서요 | 19.11.23 15:20 | | |

(IP보기클릭)221.165.***.***

egloos
엘지티비 안좋은기사 나오면 등장하는 삼성 순실ㅋㅋㅋㅋㅋㅋㅋ | 19.11.23 19:24 | | |

(IP보기클릭)219.250.***.***

egloos

네 ???? ㅋㅋ | 19.11.23 21:01 | | |

(IP보기클릭)218.147.***.***

박민영
헬지 이 멍청한 놈들이 저딴식으로 써놔서 다들 조롱만 하는데 oled가 플리커링 때매 눈 피로 야기하고 심하게는 구토현상까지 유발한다는 글이 있었죠 특히 저 당시엔 화면 밝기가 지금보다 현저하게 낮아서 플리커 더 심했고 눈 피로 호소하는 사람 많았는데 amoled 플리커링이나 스미어링 검색해보면 옛날 글들 찾아볼 수 있을겁니다 | 19.11.24 01:15 | | |

(IP보기클릭)211.210.***.***

악플좀그만좀달어
닉값하네 ㅉㅉ 지가 다는건 선플이세요? ㅋㅋㅋㅋ | 19.11.24 08:31 | | |

(IP보기클릭)119.195.***.***

전 엘지 OLED55B6K 3년째 쓰고 있는데 2년 지나기 전에 패널 한번 바꾸고 이상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솔찍히 다시는 LED(LCD)로 넘어갈 수 없을 것 같아요....
19.11.23 13:21

(IP보기클릭)39.127.***.***

hamman
2년 무상기간중에 패널을 교체받으신건가요 ?? | 19.11.23 13:52 | | |

(IP보기클릭)222.117.***.***

마계기린
네. 1년 10개월 사용했을 때 번인이 와서 무상교체했습니다. | 19.11.23 14:12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06.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스펀지밥
올레드 보다 pdp가 더 좋다고 한 부분에서 웃고갑니다 ㅋ | 19.11.23 14:41 | | |

(IP보기클릭)182.20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스펀지밥
pdp는 초기 몇백시간 조심하면 번인 걱정은 없어요. 10년된 pdp 안방에서 잘보고 있습니다. 일반사용자들이 잘 모르는 번인 걱정 때문에 lcd로 넘어갔다는 것도 근거가 없는 이야기구요. pdp 자체의 한계(밝기라던가..)와 기업 수익성 문제로 사장된걸로 알고 있어요. | 19.11.23 15:30 | | |

(IP보기클릭)110.7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스펀지밥
Oled가 유동적 화면인 티비에 적합하지 안다니 ㅋㅋㅋ 그럼 모바일 이나 컴퓨터 디스플레이한테 적합하다는건가? 소자가 유동적이 되야 번인이 들한데 ㅋㅋ pdp 들먹거리는거 보니 재대로 알지도 못하네 Pdp가 사장된건 소비자 입장에서 수리비가 개 고가였고 전력소비가 존내 큰 시점에 lcd가 저전력 저렴한 수리비로 치고 나오니 죄다 lcd로 등돌린거지 일본은 무지하게 pdp밀어먹다 디스플레이 개작살 난거고 | 19.11.23 17:56 | | |

(IP보기클릭)211.176.***.***

모라고하냐
티비에 적합하지 않은거 사실이에요 기본적으로 방송사 로고나 뉴스자막등은 유동적이지 않기도 하고 점점 밝기가 중요시되는 tv시장에서 경쟁 제품들은 hdr3000이니 5000이니 하는 시기에 밝기를 1000cd위로도 못올리고 있는게 현실이죠 hdr이 항상 눈뽕 맞을 정도로 밝은것도 아니라 잠깐잠깐 부스트 해주는걸로 충분한데 말이에요 이게 밝기를 못올려서가 아니라 순전히 번인 때문이죠 그럼에도 전기는 오지게 많이 먹구요 | 19.11.23 19:56 | | |

(IP보기클릭)124.57.***.***

JuliaHart
1000nit는 커녕 ABL이 심해 SDR은 250nit(C9)로 제한하여 쓸 수 밖에 없는 현실이고, 알팅스는 고작 200nit로 보란듯이 번인을 보여주었습니다. | 19.11.26 07:02 | | |

(IP보기클릭)119.82.***.***

진짜 삼별이는 여론 알바팀을 운영하나 의심스러움
19.11.23 13:31

(IP보기클릭)223.38.***.***

호롤로롤12
S사에 인터넷 여론 조작 팀이 있다는 여러가지 증거와 정황이 있는데 의심을 하시다니요. 전 확실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 19.11.23 15:13 | | |

(IP보기클릭)119.192.***.***

호롤로롤12
이미 이 게시판에도 수많은 알바가 활동중이에요 | 19.11.23 16:30 | | |

(IP보기클릭)221.165.***.***

오른손으로먹고
그건 어느기업이나 있을듯 물론 엘지도있겠죠??? | 19.11.23 19:25 | | |

(IP보기클릭)183.109.***.***

호롤로롤12
s와 h는 확실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신제품 나올때 여론몰이 패턴이 비슷함 | 19.11.23 21:38 | | |

(IP보기클릭)223.38.***.***

티파니엉덩이
제가 본 증거는 없지만, 전 엘지도 운영하고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ㅎ | 19.11.23 23:05 | | |

(IP보기클릭)219.248.***.***

오른손으로먹고
여기도 많~~~아요 | 19.11.24 14:00 | | |

(IP보기클릭)67.180.***.***

BEST
RTings test 몇 년전부터 보고 있는 사람인데, 저 기자는 이제사 저 사이트 발견해서 그것도 겨우 해석해가지고 제멋대로 해석하는 짜깁기 기사를 쓰네. 2017년에 똑같은 스크린샷만 고정 틀기는 의미 없다고 인정해서 2018년에 새로 동영상테스트로 들어갔는데 그것마저도 컨텐츠를 한정해서 뉴스만 계속 틀기, 스포츠만 계속 틀기, 한 게임만 계속 틀기 등 이런 식으로 테스트해서 별로 의미가 없다. 그마저도 5시간 연속 재생에 한 시간 쉬기 즉, 이걸 하루에 4번 반복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인데, 9000시간을 넘기면서 스포츠 방송과 게임에서 번인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여기서 9000시간만에 번인이 나온 것은 하루 5시간씩 5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같은 동영상 화면만 봤을 때 나오는 것이다. 이에 따라 RTing 결론도 아래와 같다. Our stance remains the same, we don't expect most people who watch varied content without static areas to experience burn-in issues with an OLED TV. 한 마디로 다양한 화면을 보는 유저에게 번인이 쉽게 생길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https://www.rtings.com/tv/learn/real-life-oled-burn-in-test
19.11.23 13:32

(IP보기클릭)223.39.***.***

임페리얼마치
rting에서 매번 최고 점수 주는게 oled 제품군인데 말이죠. | 19.11.23 13:35 | | |

(IP보기클릭)67.180.***.***

임페리얼마치
분명히 테스트 사이트에서도 이정도면 일반 사용에서는 문제없는 수준이라고 정확히 언급했는데도, 지멋대로 해석하고 자기 멋대로 왜곡된 기사를 쓰는 기자는 어디에서 뭐 좀 받아쳐먹은게 분명해보인다. | 19.11.23 13:37 | | |

(IP보기클릭)110.70.***.***

임페리얼마치
원래 oled가 유동적인 화면에선 번인이 들함 재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번인 타령만 존내 해대는데 당연히 소자를 태우면서 화면을 내보내는 기술인데 고정 화면만 나오면 거기 사용되는 소자가 빨리 뒤지는게 당연한건데 그거가지고 시시비비 하고 있으니 개 답답함 Oled를 티비에서 많이 팔리게 할거면 방법은 방송국 로고만 지워도 절반이상 수명 늘어나거임 | 19.11.23 18:00 | | |

(IP보기클릭)124.57.***.***

임페리얼마치
Oled 점수는 암실에서 기준일뿐입니다. 실시청환경에서는 ECR(유효명암비) 계산이 필요한데, 이는 반사율과 조도, 최대밝기, 블랙의 밝기등 종합한 최종의 화질입니다. 그러나 OLED의 경우 SDR에서 ABL이 밝기를 확 낮춰버리는 최악의 증상이 있고, 이를 끄게될시 최대밝기는 250nit가 됩니다. 이러한 밝기는 요즘 나오는 사무용모니터 보다 낮은 밝기가 되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 자연광과 직사광에서 유효명암비가 시인성 까지 지장을 주는 20:1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실시청환경은 오리려 프리미엄LCD가 명암비가 더욱 좋고 수명과 범용성까지 뛰어납니다. | 19.11.26 07:15 | | |

(IP보기클릭)124.57.***.***

흑일점
OLED의 수명이 200nit에서 4000시간 로고 번인인 만큼... 번인이 밝기에 비례해 발생하는 만큼 여전히 갈길이 먼 기술이라봅니다. 어쩌면 마이크로led가 가정에 보급되는 시기까지고 해결이 안될수도 있죠. (TADF기술도 안좋은 소식이 있기에) | 19.11.26 07:21 | | |

(IP보기클릭)106.102.***.***

여기 실험한 티비 모델명이.신형이 아니고 오래된 모델인데.. 신형으로 테스트한 자료로 기사를 써야지... 기자가.잘모르고 쓴듯 하네요
19.11.23 13:34

(IP보기클릭)223.39.***.***

정작 rtings 본문은 Our stance remains the same, we don't expect most people who watch varied content without static areas to experience burn-in issues with an OLED TV. 라고 일반 사용자들은 번인 이슈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쪽임. 의도적으로 삼성에 유리한 결과만 가져온 편파 기사.
19.11.23 13:34

(IP보기클릭)121.129.***.***

Q.LED TV는 왜 번인이 없을까여 LCD니까
19.11.23 13:36

(IP보기클릭)59.9.***.***

삼하다 추성아
19.11.23 13:38

(IP보기클릭)183.104.***.***

구린 화질에 구라 마케팅 하면서 가격 처 올려파는 삼성 QLCD는 사고 싶지 않아...
19.11.23 13:39

(IP보기클릭)182.226.***.***

COMPILE
제가 막눈이라서 그런지 마트 같은 데에서 보면 화질 비슷비슷하던데요. OLED라고 확 눈에 띄게 좋아 보이진 않았습니다. | 19.11.23 13:44 | | |

(IP보기클릭)223.39.***.***

칠푼닭
막눈이 좋죠 좋은거 안좋은거 구별 못하니깐요 막귀도 그래서 좋아요 100만원짜리 헤드폰이나 다이소 2천언짜리나 똑같으니깐요 저는 근데 막눈이 아닌지 티가 많이 나더라구요 싸구려 봐도 차이 모르는 막눈이라 부럽네요 | 19.11.23 13:50 | | |

(IP보기클릭)223.39.***.***

칠푼닭
마트는 조명이 가정보다 엄청 밝은 환경이라 oled 화질의 근본인 명암비가 거의 묻힙니다 | 19.11.23 13:52 | | |

(IP보기클릭)211.36.***.***

ヒュンケル
매장에서 진열한 모드는 거의 매장화질모드로 일반 시청 환경에서 보는 화질모드가 아닙니다. 또한 영상도 다 제일 밝고 진한 영상으로만 만들어서 삼성이나 엘지등 여러 티비들이 잘 나오는 부분만 진열해 놓아요. 솔직히 영화 한편만 보면 매장화질 모드로는 영화 못 보겠다는게 한 눈에 알 수 있어요. 요도바시 매장처럼 일반영상이나, 영화로 제조사 마다 비교해서 구매할 수 있게 해야함. 자신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용도에서 비교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매장은 그런 환경이 없죠. 매장화질에 속아서 사시면 나중에 후회 하십니다. 표준모드,영화모드 꼬옥 체감하시고 구매하세요 | 19.11.23 14:24 | | |

(IP보기클릭)110.70.***.***

unit
TV에 그리관심 없던 와이프도 마트에서 직접보고 차이가 너무심해서 절대 못사겠다고 했습니다. 솔직히 직접비교해보면 oled와는 비교 불가입니다. | 19.11.23 15:01 | | |

(IP보기클릭)211.3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RIXA002
솔직히 qled vs oled 번인 놓으면 oled든 할 말 없죠 태생이 안 생기는게 qled이니 근데 화질이 압도적으로 qled가 좋다는 건 진짜 아닌듯 | 19.11.23 15:03 | | |

(IP보기클릭)203.226.***.***

unit
Qled가 번인 현상 없는게 확실하다면 번인 현상 없는걸로 계속 보고 싶음 핸드폰도 인터넷방송틀어놓고 자다가 번인생겨서 겁나 거슬림 | 19.11.23 18:49 | | |

(IP보기클릭)118.235.***.***

ヒュンケル
근데 솔직히 막눈이 편함 나도 주변에서 하도 oled 가 넘사벽이니 뭐니 해서 친구집 놀러가서 보고 여기저기 oled 자주 볼 기회가 있지만 울집 qled(그냥 lcd지만) 화질이 그렇게까지 떨어진다고 생각 안해서 맘편히 삼성티비 쓰고 있네요. | 19.11.23 22:45 | | |

(IP보기클릭)211.17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RIXA002
rtings 0.2점 차이에 극명하게 차이를 느끼시다니 눈이 엄청나시네요. 오로지 블랙만 보시나 | 19.11.24 00:34 | | |

(IP보기클릭)113.77.***.***

라라아는
제가 보기엔 엘지 OLED 와 QLED 화질 차이가 중소기업 TV랑 QLED 화질 차이보다 심합니다. OLED>>>>QLED>>중소기업LCD | 19.11.24 03:51 | | |

(IP보기클릭)211.210.***.***

칠푼닭
직접 써보지도 않고 씨부리는건 무슨 자신감이래 몇분만에 몇년 사용한 것처럼 경험이 가능한가봐요? | 19.11.24 08:33 | | |

(IP보기클릭)117.111.***.***

저렇게 하면 니들 핸드폰도 번인 생긴다. 삼성아....
19.11.23 13:47

(IP보기클릭)110.70.***.***

요 며칠사이에 마이피에 각 게시판에 요게 계속 올라오네?
19.11.23 13:50

(IP보기클릭)106.242.***.***

집에 65 oled쓰는데..번인 생겼어요 as기사님이 그냥 쓰고 as기간안에 패널 공짜로 교체받으라네요. 무딘편인데 가끔식 티가 많이 나서 신경이쓰입니다.
19.11.23 13:58

(IP보기클릭)211.210.***.***

존맛탱구리
모바일은 종특이라고 교체 안된다던데 티비는 그래도 해주나봄 | 19.11.24 08:35 | | |

(IP보기클릭)223.33.***.***

3년에 한번 패널 바꿔주면 안되나?
19.11.23 14:02

(IP보기클릭)153.242.***.***

레이팅스닷컴인데 왜 사이트운영자들 무시하고 알팅스라고 밀어붙히지.
19.11.23 14:03

(IP보기클릭)125.129.***.***

삼성아 늬들 폰부터 그럼 하자폰들 아니냐..
19.11.23 14:08

(IP보기클릭)175.199.***.***

번인이 OLED 유일한 단점인것 같은데..이것만 해결하면 앞으로 티비시장은 엘지가 압도할듯
19.11.23 14:09

(IP보기클릭)39.7.***.***

LCD는 번인 없다? 결론이 왜 그래 당연한 이야이잖아 번인 테스트를 하려면 OLED끼리 싸워야지 뭐 OLED랑 동가격으로 팔려는 모 기업 찌라시인가?
19.11.23 14:13

(IP보기클릭)118.235.***.***

저리 테스트하면서 4주면 잘 버틴거 같은데.
19.11.23 14:16

(IP보기클릭)221.154.***.***

lg oled 티비 산지 한달정도 됐는데 겁나게 왜이러는거야 ㅜ 번인현상이 뭔지 잘 몰라서 검색해보니까 누르스름해지고 화면이 번지는?? 그런거 같은데 맞나요
19.11.23 14:17

(IP보기클릭)211.3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스펀지밥
Oled Tv, 아이폰, 삼성갤럭시 oled 핸드폰 다 같은 화면만 계속 틀어 놓으면 번인 생기죠 근데 일반 사용자들이 그럴 일이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네요. | 19.11.23 14:37 | | |

(IP보기클릭)211.209.***.***

얼마전에 동일한것 올라왔는데 또 올렸네 ㅋㅋㅋ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3/read/2199331
19.11.23 14:18

(IP보기클릭)183.104.***.***


일베전자 고생한다 ㅋㅋㅋㅋ 뭘 어떻게 테스트를 했는가 모르겠는데 올레드tv 팔린게 몇댄데 4주만에 번인 일어날 정도면 애초에 tv 시장에서 사장되었겠지. 글고 올레드 번인 가지고 이슈화 시키면 시킬수록 지들 살깎아먹는건데 ㅋㅋㅋㅋ
19.11.23 14:34

(IP보기클릭)211.176.***.***

☆★五德友☆★
오히려 올레드 신랄하게 까던 애들이 티비 이야기만 나오면 돌변하는거 아닌가? | 19.11.24 00:36 | | |

(IP보기클릭)118.235.***.***

핸폰 번인도 짱나는데 티비 번인 보고싶냐?
19.11.23 14:36

(IP보기클릭)221.161.***.***

역시 언플은 삼성
19.11.23 14:38

(IP보기클릭)121.180.***.***

모바일이든 티비든 번인생기면 as만 잘해주면 된다는생각이라 as정책은 어떤가요?
19.11.23 14:40

(IP보기클릭)221.140.***.***

5619841263189162
폰은 1년인가 그렇고 tv는 2년이내 발생시 무상교환입니다 | 19.11.23 16:25 | | |

(IP보기클릭)203.228.***.***

교체주기가 2년 밖에 안되는 휴대폰도 번인번인 노래를 부르던데 tv는 괜찮다고 하면 이상하지
19.11.23 14:44

(IP보기클릭)106.102.***.***

OLED TV사서 4년차인데 아직까지는 문제 없네요.
19.11.23 14:47

(IP보기클릭)124.53.***.***

폰이고 TV고 어차피 OLED기술이고 근본적인 소자가 타버리는건 해결이 안된거고 제조사별로 잘 안보이게 하거나, LG TV처럼 TV끄고난후에 픽셀 리플레시 하면서 우회하는거 뿐인데 뭔 절대적으로 번인 없는거처럼 쉴드를 단체로 치는건지? QLED보다 OLED가 태생적으로 화질이 좋을수 밖에없는건 맞는데, HDR키면 최대밝기가 낮을수밖에없고.. 뭐 대신에 명암비가 무한에 가까우니까 좋아보이기는 하지만, 번인 잘 숨긴다고해도 소자가 탈수밖에없고 점점 누래지는데 이건 절대 이야기안하죠? 휴대폰은 많은 사람들이 1~2년주기로 교체하는데도, 나는 3~4년 넘게쓴다 갤럭시 OLED 잘써도 오래쓰면 번인은 안생겼어도 누래진다 쓰레기다 하던사람들 다 어디감? 티비도 뭐 1~2년마다 교체하는건가 삼성이고엘지고 완벽하지도 않은 기술 팔아먹는거고 태생적한계를 고칠만할 기술 나오기전에 MLED로 넘어갈상태인데.. 빨려면 적당히 빨아야지 무조건적으로 난 안생기는데~? 삼성알바기사 까기전에 엘지알바가 왤케 많음? 베스트샵가서 PC에 물려쓸 OLEDTV 좋은거 추천해달라니까. OLEDTV이제 번인 절대없다고 맘놓고 쓰셔도 된다고했던 직원생각나네
19.11.23 14:50

(IP보기클릭)211.36.***.***

크리스탈🎗
무조건 안 생기지 않습니다. 근데 전 지금까지 안 생겼고 매우 만족해 쓰고 있습니다. 글고 알바아니고 실 사용으로 만족해서 글 쓰는 겁니다. 제 아이피 보면 이전 티비는 삼성이었습니다. | 19.11.23 14:57 | | |

(IP보기클릭)124.53.***.***

unit
넹 화질은 당연히 OLED가 좋죠 QLED나 LCD는 로컬디밍 풀어레이로 엄청박혀있는 초고가모델사도 OLED만큼 명암비도 안나오죠 번인이야 개인의 사용패턴에 따라 다르고, LG TV에서는 픽셀 리플레시도 자주해주고, 잘 안보이게 소프트웨어도 잘되어있죠. 다만 위에 무조건적으로 빠는분들이 좀 많아서.. | 19.11.23 15:01 | | |

(IP보기클릭)223.39.***.***

크리스탈🎗
번인무새들에 비하면 빠들이야 양반이죠 | 19.11.23 15:36 | | |

(IP보기클릭)14.54.***.***

확연히 안보여도 소자는 타고 있어서 계속 누래짐. 티비 2년에 한번씩 바꿀 분들은 oled티비도 괜찮긴 하죠. 근데 이걸 핸드폰 oled랑 비교하는건 엘지 알바들인가
19.11.23 14:54

(IP보기클릭)106.242.***.***


애기때문에 자주켜놨는데 번인되었어요..
19.11.23 14:56

(IP보기클릭)182.215.***.***

솔직히 OLED TV는 게임, 영화감상 전용이지
19.11.23 15:06

(IP보기클릭)220.87.***.***

대한제국군
게임도 UI 위치가 고정되있는 경우가 많아서, 플레이타임이 긴 게이머는 OLED조심해야함. | 19.11.23 15:25 | | |

(IP보기클릭)118.235.***.***

대한제국군
뭔소리야 qled가 겜이고 oled가 영화ㅣ | 19.11.23 16:43 | | |

(IP보기클릭)220.87.***.***

CD IPS 패널을 사용한 LG TV(UJ6300)는 실험을 시작한지 60주차 시점부터 백라이트 시스템이 고장나 밝기가 감소하고 색상 이동이나 균일성에 있어 취약점이 발생했다. 끝내는 TV를 시청할 수 없는(unwatchable) 상태가 됐다. IPS 방식의 LCD는 OLED나 삼성이 택하고 있는 VA 방식보다 빛의 양을 제어하는 기능이 취약해 같은 밝기를 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더 고온 상태를 유지해야 해 LED 소자의 수명이 다소 짧았던 것으로 알팅스는 분석했다. 이번 실험에서 번인 현상과 LED 수명에서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은 것은 삼성의 LCD VA패널을 사용한 TV가 유일했다. VA방식은 전압을 가할때와 가하지 않을때 액정 분자가 각도를 변경해 백라이트 빛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IPS방식의 패널과는 차이점을 나타냈다. 각각의 패널이 활용 시 장단점은 있지만 번인이나 수명 문제에선 삼성의 LCD VA패널이 우세한 것이 입증된 셈이다. OLED 가 명암비가 높고 완벽한 블랙이 나온다는 장점도 팩트지만, 내구성은 삼성 QLED쪽이 확실히 좋다는것도 팩트아님? 왜 알밥들은 지들 유리한거만 팩트고 나머지는 팩트가 아닌것처럼 말하지?
19.11.23 15:23

(IP보기클릭)122.44.***.***

무한의체력
번인 빼고 삼성 TV 내구성이 안 좋다는 것도 팩트입니다. 저들은 번인만 10년 무상이지 패널 전체 문제가 10년 무상 아닙니다. 나머지는 다 2년 무상입니다. 심지어 제가 삼성 TV에서 올레드 TV로 바꿔 구매 한 것도 삼성 TV 450만원 주고 샀는데 1~2년 마다 수리 했고 2년 넘었는데 그 때부터 60만원 요구 해서 짜증나 바꿧습니다. 번인 하나 없다고 전체 내구성이 더 좋다는 게 팩트는 아닌 것 같습니다. 지금 OLED TV도 1년 정도 밖에 안 써서 장담은 못하지만 제가 현재까지 잘 사용하고 있다고 해서 "내구성 좋다는 말" 전 안 합니다. 그리고 삼성이 내구성 좋다면 번인 아닌 모든 불량 10년 무상 이라고 했을 것 입니다. | 19.11.23 19:27 | | |

(IP보기클릭)58.233.***.***

무한의체력
알바취급할게 아니라...이;거 rtings 실험결과 그대로 가져온건데 저 4주란게 rtings 읽어보면 일반 4주가 아님. 진짜 침소봉대 한 기사가 맞음. | 19.11.23 19:51 | | |







읽을거리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14)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1)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4)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4)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1)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MULTI] 고전 명작 호러의 아쉬운 귀환, 얼론 인 더 다크 리메이크 (27)
[게임툰] 자신만의 용을 찾는 여행, 드래곤즈 도그마 2 (51)
[게임툰] 공주의 변신은 무죄,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35)
[NS] 창세기전: 회색의 잔영, 기념사업의 끝 (16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2253499 하드웨어 맨하탄 카페 3399 08:17
2253496 VR 사쿠라모리 카오리P 774 05:37
2253495 기타 295020237 1 649 01:43
2253492 하드웨어 원히트원더-미국춤™ 2150 2024.05.30
2253479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2 1248 2024.05.30
2253470 기타 운김 1 633 2024.05.30
2253468 기타 운김 1 532 2024.05.30
2253467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5 4105 2024.05.30
2253465 기타 운김 2 861 2024.05.30
2253464 하드웨어 오덕살맨 3 3797 2024.05.30
2253463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2 1567 2024.05.30
2253454 하드웨어 파이랜xpg 7 16965 2024.05.30
2253453 기타 운김 2 1064 2024.05.30
2253444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1508 2024.05.30
2253443 기타 운김 3 1669 2024.05.30
2253441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4 1534 2024.05.30
2253435 하드웨어 사쿠라모리 카오리P 989 2024.05.30
2253433 하드웨어 오덕살맨 1 1353 2024.05.30
2253426 기타 295020237 10 7585 2024.05.30
2253424 기타 295020237 3 2358 2024.05.30
2253423 하드웨어 맨하탄 카페 6 5118 2024.05.30
2253417 하드웨어 Landsknecht™ 7 7521 2024.05.29
2253416 하드웨어 크로스경사 9 5579 2024.05.29
2253405 기타 운김 4 1809 2024.05.29
2253404 하드웨어 ???? 4 3249 2024.05.29
2253399 기타 운김 2 778 2024.05.29
2253386 기타 운김 445 2024.05.29
2253381 기타 운김 2 784 2024.05.29
글쓰기 6721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