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타] 구글, 개방형 하드웨어 '아라'로 삼성.애플 압박 [41]



(713709)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3453 | 댓글수 41
글쓰기
|

댓글 | 41
1
 댓글


(IP보기클릭).***.***

BEST
이건 휴대폰부품회사들이 돈 버는 컨셉인데 무슨 삼성 압박이라는지 모르겠네요. 삼성은 완성폰 부품을 혼자서 다 만들 수있는 수직계열화된 휴대폰 회사인데..
13.10.30 11:44

(IP보기클릭).***.***

BEST
분명 스맛폰 나오기 전에 피쳐폰 시절 어떤분이 이런글을 올린적이있지... "나중에는 핸드폰에 인터넷,mp3,동영상,사전,지도찾기 같은것들이 전부 들어갈것이다." 라는 글에 뻘소리 하지말라, 그게 뭐가 필요하냐 라는 댓글달린 걸 본적이 있네요
13.10.30 11:24

(IP보기클릭).***.***

BEST
원래 기자들이 쓸대없이 갖다부치기 좋아하죠 루리웹 몇몇 키배유져들은 잘됐다고 싸우고
13.10.30 11:47

(IP보기클릭).***.***

BEST
다른 회사가 이런 소리 하면 개소리라면서 무시하겠으나 무려 구글이 직접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게다가 다른 기사에서는 "모토로라는 이 같은 개방형 스마트폰 프로젝트를 1년 전부터 진행 중이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중이라고 밝혔다.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2월 이전에 실체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라는 내용도 있어요. 내년이나 몇년뒤도 아니고 이정도면 이미 지금시점에서는 상당히 진척되어있다고 봐야죠.
13.10.30 11:35

(IP보기클릭).***.***

BEST
노트북도 조립 노트북이 없듯이 저런건 실패함 그냥 완제품 스맛폰 사고 말지 저런걸 일일이 조립하고 있나.
13.10.30 11:17

(IP보기클릭).***.***

저런거 나와봤자 앞으로 최소 3년은 긱들을 위한 스마트폰 아닐까요? 가격이 저렴할리도 없고 디자인도 영 아닐텐데.
13.10.30 11:14

(IP보기클릭).***.***

디자인은 몰라도 가격은 당연히 조립식이 훨씬 저렴하죠. | 13.10.30 11:32 | | |

(IP보기클릭).***.***

조립용 부품시장이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조립이 더 비쌀겁니다. 기존 부품을 그냥 박으면 되는 게 아니라, 조립용으로 패키징해야 하니까요... | 13.10.30 11:52 | | |

(IP보기클릭).***.***

BEST
노트북도 조립 노트북이 없듯이 저런건 실패함 그냥 완제품 스맛폰 사고 말지 저런걸 일일이 조립하고 있나.
13.10.30 11:17

(IP보기클릭).***.***

BEST
분명 스맛폰 나오기 전에 피쳐폰 시절 어떤분이 이런글을 올린적이있지... "나중에는 핸드폰에 인터넷,mp3,동영상,사전,지도찾기 같은것들이 전부 들어갈것이다." 라는 글에 뻘소리 하지말라, 그게 뭐가 필요하냐 라는 댓글달린 걸 본적이 있네요 | 13.10.30 11:24 | | |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

아뇨 저런건 망합니다. 전자제품중에 diy로 쓸 수 있는건 고작해야 데스크탑pc 밖에 없을텐데요? 휴대용기기중에 DIY가능한 제품이 어떤게 있던가요? 저게 성공할꺼라는 자신감이 어디서 나오는건지, 되려궁금하네요 ㅋ | 13.10.30 13:52 | | |

(IP보기클릭).***.***

데스크탑 조차도 메이커 PC가 더 슬림하고 일체화되어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저렇게 나오면 휴대성이 약해진다는 소리죠. 고장률도 높아지고, as같은것도 거지같아지구요.. 몇몇 매니아들은 휴대성포기하고 '크고 무겁게'해도 상관없다고 할테지만, 여성, 어르신들에겐 그렇지 않을것같구요. 그나마 현재 부품별로 표준화되어있는 조립pc 조차도, 각 부품마다의 고장원인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떤증상에서 어떤부품을 수리해야하는지 구분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때문에, 부품업체간의 등떠밀기도 빈번하죠. (단순히 전원만 안들어온다고 해도, 파워, 보드, 그외 어떤 부품이 말썽인지, 알수있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 그런걸 해결하지 않고서는 조립식 핸드폰이라는건 가능성없는 이야기입니다. | 13.10.30 14:06 | | |

(IP보기클릭).***.***

음... 이미 인텔에서 내놓은 조립식 노트북 솔루션이 2007~2008년 사이에 나왔다가 가열차게 망한 사례가 있긴 합니다. | 13.10.31 08:24 | | |

(IP보기클릭).***.***

조립식 폰이라. 십수년전 부터 나오던 소린데 과연 될지는
13.10.30 11:17

(IP보기클릭).***.***

근데 웬지 구글이 직접 뛰어드니 그그실일이 될 지도 모르겠네요. http://mypi.ruliweb.daum.net/mypi.htm?id=jcrf_da&num=8059 | 13.10.30 11:20 | | |

(IP보기클릭).***.***

구글 글래스도 있는데 저걸 못할까
13.10.30 11:22

(IP보기클릭).***.***

나는 이거 갖고 놀기 좋아 보여서 끌리는데.
13.10.30 11:22

(IP보기클릭).***.***

현재 기술발전이면 충분히 가능함 애플이야 데탑시대처럼 독자적 생태계를 갖고 있으니 별차이없는 셰어를 갖겠지만 삼성과 같은 회사는 치명적이죠 물론 데탑에서도 완제품 pc잘 팔아먹었지만 그래도 단가인하에 따른 수익률 저하는 뻔함
13.10.30 11:27

(IP보기클릭).***.***

ap랑 램을 팔아먹어서 연명은 가능할것같네요 그래도 완제품 시절보단 순익은 줄어들듯 | 13.10.30 11:30 | | |

(IP보기클릭).***.***

관공서, 기업 납품 | 13.10.30 11:32 | | |

(IP보기클릭).***.***

이거만큼 드랍테스트가 기다려지는게 없다. 어서 떨어뜨리는 실험 테스트좀ㅋㅋㅋㅋ
13.10.30 11:32

(IP보기클릭).***.***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름다울 듯. | 13.10.30 11:39 | | |

(IP보기클릭).***.***

이걸로 국제 표준 겁나게 만들고 특허 걸거 엄청 많겠네요.. 모듈간 고정 방식이라던지. 소프트웨어 락기능이라던지... 모듈 크기 제일 작은 모듈의 크기를 국제 표준으로 만들고 그에 따라 2배식 커지게 하면.. 캬.. 현실화만 되면 참ㅋㅋㅋ 대신 폰이 커지는건 어쩔수 없겟네요.. 대신 우리가 피씨 조립 하듯 참 잼나질듯... 특히 개개인 마다의 개성을 살린 폰이 나올 가능성이 클듯 하네요 ㅋㅋ 나름 기대되는데요? ㅋ
13.10.30 11:33

(IP보기클릭).***.***

표준화, 기술적 완성도가 가장 큰 문제 위에도 적었듯이 노트북을 조립피씨처럼 만들어보려는 시도가 있기는 있었음. 결과는 말안해도 알것이고... 휴대폰이 그렇게 될수 있을지 없을지는 모름. ara라는 플랫폼이 어떤지는 아직 안봐서 잘 모르겠지만 현재 휴대폰의 하드웨어 구조는 온보드 올인원임. 이걸 분리하겠다면 일단 커질수 밖에 없음. 각 모듈간 통신문제와 내부 프로토콜, 운용버스등등 표준화해야 할 꺼리도 많음. 표준화해야 할 꺼리 == 각 회사들의 파워싸움. == 지루하고 오랜기간이 필요함.
13.10.30 11:34

(IP보기클릭).***.***

BEST
다른 회사가 이런 소리 하면 개소리라면서 무시하겠으나 무려 구글이 직접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게다가 다른 기사에서는 "모토로라는 이 같은 개방형 스마트폰 프로젝트를 1년 전부터 진행 중이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중이라고 밝혔다.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2월 이전에 실체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라는 내용도 있어요. 내년이나 몇년뒤도 아니고 이정도면 이미 지금시점에서는 상당히 진척되어있다고 봐야죠.
13.10.30 11:35

(IP보기클릭).***.***

구글도 벌였다가 접은 사업이 꽤 많습니다. | 13.10.30 11:59 | | |

(IP보기클릭).***.***

몰라
13.10.30 11:36

(IP보기클릭).***.***

BEST
이건 휴대폰부품회사들이 돈 버는 컨셉인데 무슨 삼성 압박이라는지 모르겠네요. 삼성은 완성폰 부품을 혼자서 다 만들 수있는 수직계열화된 휴대폰 회사인데..
13.10.30 11:44

(IP보기클릭).***.***

BEST
원래 기자들이 쓸대없이 갖다부치기 좋아하죠 루리웹 몇몇 키배유져들은 잘됐다고 싸우고 | 13.10.30 11:47 | | |

(IP보기클릭).***.***

부품 값 외에 상당 부분 완성품에 대한 마진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취하기가 어려워 진다는 내용이네요. 그리고 전부는 아닙니다. 안타깝게도 아직도 핵심 부품 중 조립하는 수준이 대부분이고 그에 따른 로열티도 장난아닙니다. | 13.10.30 12:27 | | |

(IP보기클릭).***.***

두께와 내구성과 방습 등 하드웨어적인 이점을 거의 다 포기해야 가능하겠네요 -_- 아예 구글이 완벽히 관련 표준을 통제하기 전엔 그냥 꾸꾸까까 'ㅅ'
13.10.30 11:50

(IP보기클릭).***.***

구글이 한다고 다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하루아침에 갑자기 중단하는 서비스가 지금까지 꽤 많았죠.
13.10.30 11:51

(IP보기클릭).***.***

개방형 시스템에서 S/W 는 완전 지옥일텐데, 고객들이 또다시 블루스크린의 전성기를 맛볼테고... 핸드폰에서 블루스크린 자주 뜬다면 지옥일 듯 싶네요.
13.10.30 11:52

(IP보기클릭).***.***

지금 현재 안드로이드도 어느 정도 비슷한 상황인데... 초 난감합니다. IBM 의 길을 걸으려는 것 같기도 하고... | 13.10.30 11:54 | | |

(IP보기클릭).***.***

구글이 아니라 모토로라 주도 아님? 아무리 모토로라가 구글 자회사라 해도 구글이 직접적으로 관여한 것은 모토X 정도인데. 원문 기사도 모토로라가 한다고 했고... 보도자료 사진에 연합뉴스 워터마크 박아놓은 건 또 무슨 행패지
13.10.30 11:53

(IP보기클릭).***.***

모토로라가 하는거 맞음. 그리고 원래 시작은 킥스타터 였습니다. | 13.10.30 12:20 | | |

(IP보기클릭).***.***

그 킥스타터는 폰블록이고 아라는 조금 다릅니다. 협력 관계라고는 하더군요. | 13.10.30 12:43 | | |

(IP보기클릭).***.***

딱 조립pc정도의 점유율을 가질 듯. 하드코어유저들은 쓰겠지. 이번에 나온 소니의 렌즈형 카메라도 크게보면 이런류의 연장선 아닌가? 괜찮을것 같은데.
13.10.30 11:58

(IP보기클릭).***.***

미래 유망성 있다봅니다. 컴퓨터 부품 cpu: 인텔,amd 그래픽: 엔디비아,라데온 처럼 기업들이 투자해야겟죠. 새로운기업들이 창조 할 거 같고. 앞으로 5년정도면 가능 있지 않을가요?? 작은 손바닥에 엄청난 퍼포먼스가 될지 모른일이죠 인류가 편리를 위해 게속 발전해왔고 mp3,카메라 등등 한기기에 사용한것처럼 말입니다.
13.10.30 12:13

(IP보기클릭).***.***

개인이 최적화는 어떻게하나? 안드는 그냥 올린다고 부드럽게 구동되는게 아닌데
13.10.30 12:16

(IP보기클릭).***.***

만약에 구글이 저런 컨셉의 스마트폰을 규격화시킬수만 있다면, 오히려... 삼성의 입지가 더 줄어드는 거 아닌가? 지금보다도 더 파워가 줄어들 것 같은데... 부품의 규격화 벽만 넘으면, 그때부턴 거의 가격경쟁으로 치달을 듯... 누가 더 싸게 내놓는가..
13.10.30 12:25

(IP보기클릭).***.***

대중화 되기는 정말 힘들듯 ㅋㅋㅋ 사후지원 각종 a/s 그리고 원하는 디자인등등등등
13.10.30 13:06

(IP보기클릭).***.***

택도 없음. 지금 기판 한두개에 모든 부품을 때려박아서 소형화 하고 있는데, 전부 모듈러 하면 감당 안될정도로 커짐.
13.10.30 13:15

(IP보기클릭).***.***

저 사진의 각모듈의 케이스만 벗겨내도, 핸드폰 크기가 1/3은 줄어들 수 있을것같은데요 ㅋ 그 말은, 같은 사이즈더라도 핸드폰성능이 떨어짐을 의미하죠. 대표적으로 배터리사용시간요. 아이폰의 경우 배터리사이즈 1센치만 늘어도 사용시간이 10%는 늘어납니다. ㅋ
13.10.30 14:10

(IP보기클릭).***.***

폰보단 태불릿쪽이 장난 아닐듯 탭,노트ㅊ접을때가 머지 않운듯
13.10.30 15:27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32)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8)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75)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49)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58)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1)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2253957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2 105 16:20
2253955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1 466 14:14
2253950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3 288 13:43
2253931 기타 295020237 697 01:12
2253927 하드웨어 Landsknecht™ 3 1643 00:39
2253901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2 653 2024.06.07
2253900 이통사 운김 931 2024.06.07
2253899 하드웨어 295020237 3 2761 2024.06.07
2253879 하드웨어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2125 2024.06.07
2253878 하드웨어 Landsknecht™ 2 2146 2024.06.07
2253877 하드웨어 Landsknecht™ 3 3109 2024.06.07
2253873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1028 2024.06.07
2253872 하드웨어 Landsknecht™ 1 2929 2024.06.07
2253866 하드웨어 295020237 10 11244 2024.06.07
2253865 기타 295020237 3 2318 2024.06.07
2253856 하드웨어 my com 10 11763 2024.06.06
2253855 하드웨어 my com 3 4682 2024.06.06
2253848 하드웨어 파이랜xpg 7 15112 2024.06.06
2253836 기타 운김 1 1192 2024.06.06
2253835 기타 춘리허벅지 2 2911 2024.06.06
2253824 하드웨어 우마무스메 6 3574 2024.06.06
2253817 기타 295020237 1 1325 2024.06.06
2253811 기타 운김 1202 2024.06.05
2253809 하드웨어 맨하탄 카페 16 15949 2024.06.05
2253793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6 3437 2024.06.05
2253791 하드웨어 GPixel 5 3928 2024.06.05
2253789 기타 운김 2 855 2024.06.05
2253788 기타 운김 2 1031 2024.06.05
글쓰기 67243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