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맥] 애플 M1~M2 실리콘 SoC 양산 비용 및 수율 비교 [10]



profile_image (66332)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10664 | 댓글수 10
글쓰기
|

댓글 | 10
1
 댓글


(IP보기클릭)1.248.***.***

BEST
윗분들말처럼 만드는법 자체가 자연적으로 원형에 최적화 되어있음 그래서 삼성에서 웨이퍼가 아니라 pcb로 네모모양 반도체 개발 중인데 잘 안되고 있음
22.07.25 20:31

(IP보기클릭)211.114.***.***

BEST
실리콘 잉곳 사각으로 만들려면 만들수는 있는데 추가설비 + 퀄리티 저하 되서 오히려 손실비용이 더 큽니다.
22.07.25 19:58

(IP보기클릭)61.78.***.***

BEST
그 이유도 맞는데 다이시이즈가 커지면 먼지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짐 큰 피자에 머리카락 하나만 떨어져도 위생 불량인데 반도체도 똑같음 100개 중에 먼지 하나떨어지면 99개는 건질 수 있지만 10개 중에 먼지 하나 떨어지면 9개만 건질 수 있음
22.07.26 07:39

(IP보기클릭)118.36.***.***

BEST
웨이퍼가 동그래서 남는 공간이 제법 되네요. 아무래도 웨이퍼를 네모낳게 만들기는 힘들겠죠?
22.07.25 19:47

(IP보기클릭)118.36.***.***

BEST
웨이퍼가 동그래서 남는 공간이 제법 되네요. 아무래도 웨이퍼를 네모낳게 만들기는 힘들겠죠?
22.07.25 19:47

(IP보기클릭)211.114.***.***

BEST
+ㅣ은영ㅣ+
실리콘 잉곳 사각으로 만들려면 만들수는 있는데 추가설비 + 퀄리티 저하 되서 오히려 손실비용이 더 큽니다. | 22.07.25 19:58 | | |

(IP보기클릭)223.38.***.***

+ㅣ은영ㅣ+
원형 웨이퍼를 빙빙 돌려서 반도체 생산해야 해서 사각형이면 수율이나 작업 효율이 떨어지죠ㅎㅎ | 22.07.25 20:23 | | |

(IP보기클릭)1.248.***.***

BEST
+ㅣ은영ㅣ+
윗분들말처럼 만드는법 자체가 자연적으로 원형에 최적화 되어있음 그래서 삼성에서 웨이퍼가 아니라 pcb로 네모모양 반도체 개발 중인데 잘 안되고 있음 | 22.07.25 20:31 | | |

(IP보기클릭)1.238.***.***

+ㅣ은영ㅣ+
만들 수 있는데 원형으로 하는게 파손 위험이 적음. 반도체 공정에서 열, 압력, 온도 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으로 변형 압력 등등 받는데 사각형이나 다각형으로 모서리있게 만들면 거기 기점으로 깨질 가능성 높아짐. 현 원형에서도 공정 진행 중 지 혼자 박살나는 경우 수두룩하고 한 번 박살나면 웨이퍼 한장 버리고 끝날 문제가 아니라 공정 진행 중인 설비 다 오염돼서 그거 처리하고 다시 공정 진행할 수 있는 상태 만드는데 시간 loss 생기는데 capa랑 가동률에 민감한 팹에서 이런 로스 엄청 챙기는 지표임. 현장에서 작업해야될 엔지니어가 힘든건 말할 필요도 없고.. | 22.07.30 23:28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61.78.***.***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공그!
그 이유도 맞는데 다이시이즈가 커지면 먼지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짐 큰 피자에 머리카락 하나만 떨어져도 위생 불량인데 반도체도 똑같음 100개 중에 먼지 하나떨어지면 99개는 건질 수 있지만 10개 중에 먼지 하나 떨어지면 9개만 건질 수 있음 | 22.07.26 07:39 | | |

(IP보기클릭)122.211.***.***

늘 궁금했는데, 저거 쓰고 남은 부위는... 어떻게 되는 거지???
22.07.26 09:13

(IP보기클릭)223.38.***.***

(/-_-)/
버리죠 | 22.07.26 17:20 | | |

(IP보기클릭)198.105.***.***

맥스같은 빅칩 수율이 67퍼나 됨?? TSMC가 신인건가 아님 이사이트가 과대예측을 하는건가...
22.07.26 11:22

(IP보기클릭)1.238.***.***

체자르
M1 수율 기준으로 defect이나 particle 같은 위치라고 가정하고 예측한 값인거 같음. 칩 사이즈 알면 12인치 웨이퍼 내에서 최대 개수 뽑아낼 수 있는 배치도 예상 가능한데 그게 본문의 칩 배치 이미지임. | 22.07.30 23:31 | | |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21)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7)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69)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48)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58)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1)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2253932 아이폰 295020237 1 2428 01:17
2253930 아이폰 295020237 2 1084 01:10
2253929 기타 295020237 788 01:07
2253928 아이폰 Landsknecht™ 5 2856 00:49
2253921 기타 라스트리스 1959 2024.06.07
2253895 아이패드 시무라오바상 1 2092 2024.06.07
2253890 아이폰 시무라오바상 2 1422 2024.06.07
2253889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2156 2024.06.07
2253874 아이폰 Landsknecht™ 1 2744 2024.06.07
2253870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621 2024.06.07
2253868 기타 랄라이야 21 9084 2024.06.07
2253863 아이폰 스텔D 12 13447 2024.06.06
2253837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3462 2024.06.06
2253822 아이폰 Landsknecht™ 5 8072 2024.06.06
2253819 아이패드 대한제국군 2 5162 2024.06.06
2253768 기타 ㅁr람 10 9413 2024.06.05
2253738 아이폰 시무라오바상 3504 2024.06.04
2253737 아이폰 원히트원더-미국춤™ 15 16148 2024.06.04
2253710 기타 GPixel 3 5277 2024.06.03
2253684 아이폰 295020237 3 2996 2024.06.03
2253673 아이패드 사쿠라모리 카오리P 5 4592 2024.06.03
2253657 아이폰 요트맨470 1 3901 2024.06.03
2253650 아이패드 포경 16 19684 2024.06.03
2253646 아이폰 사쿠라모리 카오리P 4 7300 2024.06.02
2253643 아이폰 요트맨470 3 1831 2024.06.02
2253642 아이패드 AquaStellar 11 9814 2024.06.02
2253634 아이폰 시무라오바상 6 2881 2024.06.02
2253620 아이폰 오르세 미술관 25 5656 2024.06.02
글쓰기 39625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