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파편화되어 있던 동남아시아 연구를 하나의 흐름으로 꿰뚫다
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 수상
클리퍼드 기어츠, 제임스 스콧, 데이비드 챈들러 추천
‘대항해시대’를 논할 때 ‘동남아시아’에 주목하는 이는 드물다. 주목하더라도 특정한 사관에 매여 왜곡하는 일이 잦다. 식민주의 역사가 동남아시아를 서양사의 배경쯤으로 치부하고, 민족주의 역사는 희생의 땅으로 묘사했듯이. 그러나 이 시기 동남아시아는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유럽이 방문한 곳 중 하나’ 정도로 축소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저자는 ‘대항해시대Age of Discovery’ 대신 ‘교역의 시대Age of Commerce’라는 단어를 제안하며 동남아시아의 ‘전체사’ 쓰기를 시도한다.
저자가 작업에 착수하기 전 이 지역의 역사는 낱낱이 파편화되어 있었다. 사료가 부족한 건 물론, 동남아시아를 하나의 지역으로 묶어 연구하려는 시도 자체가 드물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이런 한계 속에서 저자는 ‘“닥치는 대로” 사료를 읽고 연결점을 찾아내’며 ‘전체로서의 지역 생활 방식이라는 일관된 그림’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론보다는 유럽인들의 여행 기록과 식민지 문서를 활용했다. 목록만 70여쪽에 이르는 참고문헌들을 요약·정리·분석했으며 거기에 역사학자로서의 통찰을 덧붙여 연구를 완성했다.
그리하여 20년 넘도록 동남아시아를 연구해온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저자는 UCLA 동남아시아센터, 싱가포르국립대학, 호주 국립대학 등에서 후학을 양성한 세계적 석학이다. 이 책을 통해서는 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의 영예, 그리고 발간된 지 40년이 돼가는 지금까지도 동남아시아 연구의 으뜸으로 회자되는 명성을 얻었다. 그의 문장은 동남아시아의 낡은 이미지를 흐리게 한다. 새로운 인식을 위한 공간을 만들며, 마침내 그 자리에 생생하고 매혹적인 세계를 다시 세운다. 이제 그 세계 속으로 직접 들어가볼 때다.
목차
1권
서문
1장 서론: 바람 아래의 땅
지리적 단위로 보는 동남아시아 | 인문적 단위로 보는 동남아시아
2장 신체적 건강
인구 | 농업의 양상 | 토지소유권과 사용권 | 농업 도구 | 식생활과 식재료 공급 | 의례로서의 고기 먹기 | 물과 술 | 잔치와 음식 | 빈랑과 담배 | 건강한 사람들? | 위생 | 의술 | 풍토병과 역병
3장 물질문화
허술한 집, 장엄한 사원 | 가구와 조명 | 몸치장 | 머리카락 | 복식 | 직물 생산과 무역 | 금은공예 | 특산 공예품 | 도자기류 | 금속기: 권력의 열쇠 | 철 | 구리, 주석, 납
4장 사회조직
전쟁 | 노동력 동원: 노예제와 종속관계 | 법과 재판 | 성관계 | 결혼 | 어린 신부? | 출산과 출생률 | 여성의 역할
5장 축제와 오락
극장 국가 | 시합과 경기 | 대중적 시합 | 연극, 무용, 음악 | 폭넓은 문해력? | 필기구 | 구전문학과 기록문학
2권
서문
6장 교역의 시대, 1400~1650년
향료와 후추 | 1400년 무역의 시작 | 활황기 1570~1630년 | 금은의 수입 | 인도산 직물의 수입 | 환금성 작물 | 동남아시아 정크선의 전성기 | 항해술 | 선상 조직 | 내륙 교통: 강과 육로
7장 도시와 교역
항구-도시와 무역 네트워크 | 도시의 규모 | 동남아시아 도시의 구조 | 시장 | 화폐와 상업화: 은의 승리 | 금율 조직 | 오랑카야: 상업 지배층 | 도시화와 자본주의
8장 종교 혁명
동남아시아 종교 | 개종 또는 귀의 | 1540~1600년: 양극화와 종교적 경계 | 개종의 매력 | 어려운 전환 | 자바의 특별한 경우 | 이슬람 경전적 영향력의 전성기 |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 이슬람의 도전 | 불교와 국가
9장 절대 국가의 문제점
고전 국가의 위기 | 15세기의 항구-국가|장기 16세기의 국가 형성 | 무역 세입 | 군사 혁명 | 외교 | 레몬즙 쥐어짜기 | 절대주의와 그 경쟁자
10장 동남아시아 빈곤의 기원
경제성장의 내재적 한계? | 유럽과의 결정적인 군사적 충돌 | 몬족과 자바인 화물 운송의 몰락 | 17세기의 ‘위기’(무역 퇴조,기후) | 세계경제로부터의 후퇴 | 무역 수익 상실에 대한 반응 | 중국인의 교역과 인종적 양극화 | 이슬람 교역의 마지막 저항, 1650~1688년
결론 연속성과 변화들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IP보기클릭)223.39.***.***
저 책은 각각 1988년, 1993년에 나온 두 책을 한 권으로 엮어 번역한 책인데 출판 연도가 다소 오래된 만큼 현재 읽으시기는 약간 어려우실 수도 있을 듯하네요. 댓글에 남겨드리는 이 책을 먼저 보시면 선행학습이 돼서 본문의 책도 잘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의 책은 한국인 저자가 비교적 최근(2020년)에 낸 책인 만큼 더 보시기 편할 것 같아요.
(IP보기클릭)183.96.***.***
방금 생각났는데 이 책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서울대 서양사학과 주경철 교수님께서 쓰신 책인데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인류사를 해양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책인데 쉽고 재미있게 쓰여 있어요. 이 책에도 본문에서 말하는 중세-근대 초 동남아시아의 무역 이야기가 나와 있기도 하고 곁에 두고 읽으실 만한 책이라 추천 드립니다. 어제 언급한 <동남아시아사>는 완독을 못하고 발췌독을 했지만, 이 책은 제가 작년에 완독했는데 정말 재밌었어요.
(IP보기클릭)121.169.***.***
(IP보기클릭)223.39.***.***
저 책은 각각 1988년, 1993년에 나온 두 책을 한 권으로 엮어 번역한 책인데 출판 연도가 다소 오래된 만큼 현재 읽으시기는 약간 어려우실 수도 있을 듯하네요. 댓글에 남겨드리는 이 책을 먼저 보시면 선행학습이 돼서 본문의 책도 잘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의 책은 한국인 저자가 비교적 최근(2020년)에 낸 책인 만큼 더 보시기 편할 것 같아요. | 25.09.17 19:09 | | |
(IP보기클릭)118.235.***.***
와 책 추천 감사드립니다!! | 25.09.17 21:08 | | |
(IP보기클릭)183.96.***.***
방금 생각났는데 이 책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서울대 서양사학과 주경철 교수님께서 쓰신 책인데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인류사를 해양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책인데 쉽고 재미있게 쓰여 있어요. 이 책에도 본문에서 말하는 중세-근대 초 동남아시아의 무역 이야기가 나와 있기도 하고 곁에 두고 읽으실 만한 책이라 추천 드립니다. 어제 언급한 <동남아시아사>는 완독을 못하고 발췌독을 했지만, 이 책은 제가 작년에 완독했는데 정말 재밌었어요. | 25.09.18 06:54 | | |
(IP보기클릭)121.169.***.***
감사합니다 | 25.09.18 12:45 | | |
(IP보기클릭)175.119.***.***
(IP보기클릭)183.96.***.***
순간 무슨 말씀이신가 했네요 ㅋㅋㅋ | 25.09.18 06:55 | | |
(IP보기클릭)122.45.***.***
대항해시대 하면 육두구, 메이스, 후추, 핑다!!! | 25.09.18 07:5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