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부터 즐겨온 시리즈 팬입니다.
V부터 X를 거쳐 T까지 한글화가 감지덕지라
앞으로 계속 의리로라도 구매한다는 생각이었는데
T엔딩을 보면서 여기서 더 개선이 안되면
이젠 나도 한계다
흥미가 급감하겠구나 예상은 했었습니다.
그렇게 30은 구매만 하고 여태 묵혀뒀다가
연휴를 맞아 마음먹고 플레이를 마쳤습니다.
그냥 드는 생각 몇자 적자면.
- 진행에 기대감 자체가 없어졌다
: 예전엔 아군이 추가되면
전력이 보강된다는 기대감,
연출에 대한 궁금함이 있었는데
이젠 그런게 아예 없어진 것 같습니다.
그냥 언젠가부터 슈로대에 거는 기대감 자체가
없어진 것일지도?
- 난이도만 문제가 아니다
: 물론 그간 쉬운 난이도가 문제는 맞았고
그에 대한 대책이 나왔습니다만,
지금와서 보니
스테이지 디자인, 미션의 구성 자체가
천편일률적이라 지루한 감이 커진 것 같습니다.
기체간 개성이 희미해진 것도 한몫하고요.
- 왜 자꾸 등신대를 키우나?
: 이젠 5,6등신도 심심찮게 보이는데
연출 땜빵을 위한 실스케일 컷인과의 괴리를 줄이고자 하는
꼼수인건지는 모르겠으나
그럴수록 단순한 모션조차 힘들어지는 것이겠죠.
피격 후 반격시 연출 트랜지션을
모션없이 암전으로 때우는걸보고 실소가 나왔습니다.
작품내 기체, 연출간 톤 앤 무드가 망가진건 당연지사고요
아, 그래서 '무겐'이란 비아냥이 나왔구나.. 단박에 알게됐습니다.
SD 데포르메는 슈로대의 알파이자 오메가라고 봅니다.
감당 안되면 등신대를 다시 줄이는게 낫지 않을지?
- 연출
: 타협의 한계라고 봅니다.
돈, 인력, 시간이 없으니 어떻게든 타협을 본
결과물이 이런거라면,
이제는 소비자 차원에서 답을 줘야겠지요.
이렇게 하면 안팔린다는 것을요.
가끔 유튜브로 과거작들 연출보면
이건 절대로 추억보정이 아니구나 싶어요
한숨만 나옵니다.
- 30처럼 만들거면 차기작은 안나오는게 맞다
: 회사가 코스트와 이윤을 챙기는건 당연하겠지만
스스로 아이피 밸류를 너무 많이 깎아먹었습니다.
저는 30이 낭떠러지까지 간 느낌이라고 보는데
발매 후 지금까지 3년이란 시간동안
비슷한 결의 차기작이 나오지 않아서
개인적으론 그저 다행이란 생각마저 듭니다.
- 테라다 그래도 수고했다
: 개발 환경이 녹록치 않았을거라고 봅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이상적 개발조건과
현실의 괴리감이 컸겠죠.
유저도 불만인데, 프로듀서는 오죽할까요?
반남은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으로
뽕을 뽑으려 들었고
그 결과물이 VXT30이라고 생각합니다.
테라다 PD 그간 고생 많았습니다.
- 그래도 '잘 만든' 슈로대를 보고싶다
: 너무 늦은걸까요? 과연 차기작이 나오긴 할지?
만약 만들어준다면
그냥 과감하게 다 엎는건 어떨까 합니다.
0이든 1이든지 해서
다 허물고 기본부터 새로 시작해야하는 시리즈라고 봅니다.
여기서 더 망가지지 않았으면 하네요
팬들이 시간을 두고 기다릴만한
좋은 작품을 내주길 고대하겠습니다.
(IP보기클릭)47.184.***.***
(IP보기클릭)58.225.***.***
다른 건 다 그렇다고 쳐도 저 등신은 정말 등신같은 짓이라는 생각밖에 안 듭니다. 많은 분들이 토세에서 하면 더 나을 거라고 얘기하시지만, 이건 토세가 잘하는 거라기 보다 (물론 잘하긴 하죠) 본가가 쓸 데 없이 이상한 방법으로 어려운 연출을 해서 문제입니다. 정확히는 등신, 시점, 원근, 타이밍, 키프레임 등의 문제가 총체적으로 겹친 거죠. 토세 때 잘 쓰던 연출 방식이 실루엣만 보여주거나 원근을 극단적으로 조정해서 본체에 힘을 덜 주고 그리더라도 전체적인 위력이 눈에 보이는 느낌이 나는 방식이었는데, 지금은 그런 류의 창의적인 연출이 너무 없습니다. 광원+착시+컷인을 활용해서 프레임수를 극단적으로 줄이면서도 박진감넘치는 연출을 보여주는 게 얼마든지 가능한데, 도대체 왜 이런 류의 어려운 길을 고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https://youtu.be/P2XBbaw7emg 위 영상의 제네럴 블래스터 연출 같은 걸 예로 들면, 몸을 비트는 부분에서 컷인을 올리면서 효과음/프레임스킵/광원 활용으로 전체 작업량을 줄였습니다. 특히 저렇게 만들 경우에는 컷인 부분을 외주로 빼 줄 수도 있어서 제작 효율이 훨씬 높아지죠. 어깨 부분은 리소스를 두번 돌려서 쓰고, 발사 장면에서 원근을 극단적으로 빼서 무기의 스케일을 살리는 동시에 로봇 작업량을 줄였구요. 완전3D로 안 가려면 저런 식으로 작업량을 줄이는 테크닉을 계속 생각해야 되는데, 어째 HD 이후로 본가는 점점 실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222.110.***.***
bb스튜디오 생존신고도 있었으니 차기작 기다려봅니다
(IP보기클릭)124.49.***.***
(IP보기클릭)220.116.***.***
(IP보기클릭)47.184.***.***
(IP보기클릭)211.241.***.***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180.66.***.***
(IP보기클릭)117.111.***.***
(IP보기클릭)222.110.***.***
bb스튜디오 생존신고도 있었으니 차기작 기다려봅니다
(IP보기클릭)58.225.***.***
다른 건 다 그렇다고 쳐도 저 등신은 정말 등신같은 짓이라는 생각밖에 안 듭니다. 많은 분들이 토세에서 하면 더 나을 거라고 얘기하시지만, 이건 토세가 잘하는 거라기 보다 (물론 잘하긴 하죠) 본가가 쓸 데 없이 이상한 방법으로 어려운 연출을 해서 문제입니다. 정확히는 등신, 시점, 원근, 타이밍, 키프레임 등의 문제가 총체적으로 겹친 거죠. 토세 때 잘 쓰던 연출 방식이 실루엣만 보여주거나 원근을 극단적으로 조정해서 본체에 힘을 덜 주고 그리더라도 전체적인 위력이 눈에 보이는 느낌이 나는 방식이었는데, 지금은 그런 류의 창의적인 연출이 너무 없습니다. 광원+착시+컷인을 활용해서 프레임수를 극단적으로 줄이면서도 박진감넘치는 연출을 보여주는 게 얼마든지 가능한데, 도대체 왜 이런 류의 어려운 길을 고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https://youtu.be/P2XBbaw7emg 위 영상의 제네럴 블래스터 연출 같은 걸 예로 들면, 몸을 비트는 부분에서 컷인을 올리면서 효과음/프레임스킵/광원 활용으로 전체 작업량을 줄였습니다. 특히 저렇게 만들 경우에는 컷인 부분을 외주로 빼 줄 수도 있어서 제작 효율이 훨씬 높아지죠. 어깨 부분은 리소스를 두번 돌려서 쓰고, 발사 장면에서 원근을 극단적으로 빼서 무기의 스케일을 살리는 동시에 로봇 작업량을 줄였구요. 완전3D로 안 가려면 저런 식으로 작업량을 줄이는 테크닉을 계속 생각해야 되는데, 어째 HD 이후로 본가는 점점 실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3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