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시설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있는 메인 스토리지에 셜커 상자를 어떻게 운반할 까 생각 해봤는데, 다음 사항을 충족 해야 함.
1. 아이템을 물 줄기로 흘려 보내든, 호퍼 카트나 상자 카트에 담아서 운반하든 청크가 언로드 된 지역에 도달하면 아이템 운반이 멈추게 됨.
아이템 엔티티가 인접 청크 경계선에 걸려서 수백개, 수천개씩 쌓이게 되면 그 인접 청크가 로드 되는 순간 게임 크래시를 유발할 수 있음.
2. 시뮬레이션 거리를 아무리 늘려도 플레이어가 지역을 왔다갔다 하면 결국에는 언로드 되는 청크가 발생 할 수 밖에 없음.
그렇다고 청크 로더를 일정 간격으로 도배 하기에는 성능 측면에서 크게 부담 됨.
그래서 2가지 드롭퍼 라인을 생각 해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음.
* 왼쪽
- Simple is the best. 짓기 쉬움.
- 각 드롭퍼는 각자 별개의 클럭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아이템이 중간에 걸려도 인접 청크만 로드 되면 아이템이 다시 수송 됨.
- 대신, 오른쪽 디자인에 비해 옵저버가 2배만큼 더 필요 함. 비교기도 각 드롭퍼 별로 배치 되어야 해서 석영 소모량이 거의 3배 쯤 됨.
* 오른쪽
- 인스턴트 레일 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 옵저버 클럭에 비해 아이템 수송 속도가 빠름.
- 옵저버를 절약할 수 있음.
- 임시 버퍼 역할을 하는 상자가 꽉차면 중간에 걸려버린 아이템을 일일히 수작업으로 빼 줘야 함.
- 레일의 블록 업데이트 순서가 전원 공급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전파 되기 때문에 출발지가 아니라 도착지에 전원을 넣어야 하고, 이 때문에 공사 난이도가 올라감.
암만 봐도 왼쪽이 제일 속 편할 것 같지만 슬슬 네더 석영 비축량이 다 떨어져 가서 고민이군...
(IP보기클릭)175.112.***.***
(IP보기클릭)222.111.***.***
마인크래프트에는 야생과 건축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이야. | 25.03.23 11:3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