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낚시, 덫 모두 해볼 결과 장단점이 있긴한데 차례대로 써보자면
농사
농작물은 성장률 50% 부터 수확 가능하며 100%일때 수확해야 농작물과 함께 씨앗을 준다.
또한 농작물이 100% 성장 후에도 수확하기를 하지 않으면 썩지 않는 보존식품으로서 땅에 아름답게 남아줍니다.
일단 씨앗뿌린 뒤 물, 비료 없이 가장 빨리 자라는 순서로
양상추(0.58%) > 토마토(0.47%) > 당근(0.45%) > 옥수수(0.405%) > 감자(0.33%) > 양파(0.25%) 순이며
()값은 예상치이며 이 또한 물과 비료가 없어 성장률을 백수십 수백턴간 확인해본 값이며,
조금 틀리다고 말하는 이유는 양파가 397턴 만에 100% 성장을 하여 3턴(0.75%)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터미너스에서 소수점 반올림 또는 두번째 자리 절삭등으로 표기하기에 실제로 소수점 아래로 더 있다거나 또는
단순히 기록 미스로 2턴을 3턴으로 본것인지 일단 다른 작물들과 재확인중....
그렇게 키운 작물의 포만감과 수분 및 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과나 오렌지도 키울수 있다면 좋겠지만 씨앗이나 심기가 안 뜨는것 같은데 다음에 구입해서 시도 해보려 합니다.
그리고 농사하기위해 갈퀴 사용시 발 갈기에 3.15ap 와 갈퀴는 내구도가 낮아서 그런지 상태가 4.8%씩이 빠집니다.
마지막으로 농사의 장단점으로 요약해보자면
장점
- 시간을 오래들여 플레이하고자 할때 가장 맘 편하게 이용 가능한 영구보존식품
- 채식주의자 기준 감자, 옥수수를 들고다니며 사기충만하게 돌아다닐수 있음
- 씨앗과 갈퀴 그리고 시간만 있다면 추가자원 없이 재고를 얼마든지 불려낼수 있다.
단점
- 밭 갈기, 수확하기 등에 ap 소모가 크며, 씨앗과 갈퀴를 준비해야해서 초반에 바로 써먹기 힘들다.
- 결과물을 얻기 위해 너무 오랜시간을 들여야한다.
- 터미너스에서 30일 이후 모든 식품 생산수단은 수십스택 이상의 모닥불이 없으면 불편해지지만 농사는 필수다.
낚시
필자는 이 게임의 가장 사기적인 식품 생산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또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지만 준비만 끝난다면 요새화된 주택에 거래를 통해 넘기는것으로
모든 아이템을 한 주택에서 강화하며 놀수있을 정도다.
일단 낚싯대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낚는데 미끼를 사용하더라도 10ap 내로
잡힐때도 있고 안 잡힐때도 있는 말 그래도 확률성이다.
하지만 통발은 다르다.
설치만 하고 미끼만 충분하다면 100%확률로 물고기를 매 턴마다 만들수 있다.
통발 성능은 다음과 같다.
미끼는 통발 내부에 칸당 최대 5개씩 중첩 가능하다. 그러므로
임시통발, 바구니 통발의 경우 기본 확률이 2% / 3%이며, 통발 내부 용량 자체가 작아
미끼를 넣어두어도 100%를 만들수가 없지만 그물 통발은 내부에 미끼 12개(=+96%)를 통해
기본확률과 함께 100%를 만들 수 있으며, 편의를 위해 4칸(20개)를 넣어두고 4턴 동안 스페이스바 연타를 해도 좋습니다.
공원 호수에서 통발 채집시 4종류(빙어, 송어, 베스, 매기)를 잡을 수 있고,
바다에서는 가자미도 존재하지만 바다에서 해본적 없기에 저는 위 5종류 외에는 재대로 모릅니다.
아마 게, 새우 등이 바다에서 잡히는거 아닐까 싶어요.
이렇게 잡은 물고기를 식칼로 필레를 만들고 다시 필레를 어포로 요리합니다.
이때 생존요리 스킬(1레벨당 요리시 포만감 +15%)를 통해 어포의 포만감을 높여 가치를 높이는게 중요하며,
각 물고기 별 필레, 어포로 만들시 포만감은 다음과 같다. 이때 해당 포만감은 생존요리 스킬 5레벨 기준입니다.
포만감이 14를 초과하면 가치가 아주 높음, 14이하라면 높은 으로 표시되지만
요새화된 주택에서 음식의 가치로서는 포만감 소수점까지 체크 및 합산하여 계산되는것 같습니다.
각각 물고기들은 필레로 만들때 칼의 상태를 1%씩 소모하고,
메기를 제외한 나머지 물고기는 2ap를 소모하며, 메기는 3ap를 소모합니다.
어포를 만들때 여러 물고기의 필레를 섞어서 만들수 있지만 최대한 8개를 채워서 만드는것이 ap 절약에 좋습니다.
ex 빙어 필레8개(10ap) / 빙어, 송어, 베스, 메기 필레 각각 2개씩(20ap)
낚시도 장단점으로 마무리를 지어보자면
장점
- 낚싯대든 통발이든 30일 지나서 겨울이 찾아와도 물이 얼어붙거나 하지 않아서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다.
- 매턴마다 1마리 정도는 잡기에 리턴이 빠르고 확실하다.
- 그물 통발 레시피와 모닥불, 식칼, 후라이팬을 들고 재자리 복사가 가능하다.
- 중간중간 메기 1~2마리는 미끼로 재활용(1마리당 22개, 2마리시 45개)
- 그물통발 상태는 턴당 0.1%씩 소모되기에 목공풀 1개면 700턴을 사용 가능하다.
단점
- 그물통발 레시피와 공원을 거점화 마냥 사용할수 있을정도의 캐릭터 성장이 필요하다.
- 모닥불 없이 가능하다지만 재자리에서 필레->어포를 만들기 위해서 모닥불이 필요하며, 재자리 채집은 사실상 농사와 비슷하게 강제다.
덫(사냥)
개인적으론 굉장히 안 좋게 보고있는 식량생산수단입니다.
일단 덫 종류는 많으나 토끼를 제외하고 쥐, 다람쥐, 새는 작은 고기를 주는것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미끼 사용시 해당 미끼가 조리된 또는 채소일 경우 포만감 대비 포획 확률이 대폭 증가하나
1종류 1개만 넣어둘수 있으며, 해당 음식을 소비하기 때문에 왠만해서는 씨앗류 정도가 적당한것 같습니다.
통발과 똑같이 덫과 덫 사이 3칸의 빈공간을 두며 깔아둬야 다른 덫과 가까움으로 인한 포획확률 디버프가 안걸립니다.
그 외엔 시간이 흐를수록 포획확률 보너스가 붙으며, 농사와 같이 깔아두고 다른곳 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덫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으며, 새는 기록하지 않아 재대로 모르겠습니다.
턴당 보너스는 기본 확률의 5% 그러니 케이지 덫의 경우 턴당 0.3%씩 증가합니다.
포만감 10 기준은 라면, 에너지바, 밀가루 등등 조리하지 않은 식품들 기준입니다.
신선한 감자는 포만감6인 것에 비해 보너스로 +233%를 올려주기도 하며,
아마 조리된 음식이나 날것에 대해 덫 포획확률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케이지 덫 만들 재료로서 철판과 금속조각이 꽤 많이 필요해서 조금 부담이였습니다.
사냥이 좋지 못하다 느낀 이유는 4일 이라는 시간이 있다지만 농사마냥 깔아둔다 한들
언제 잡힐지도 모르며, 점점 썩어간다는점입니다.
또한 동물 해체시 물고기와는 다르게 신선한 고기, 작은 고기를 1개만 준다는것이며
포획후 반드시 바닥에 아이템화 하고, 덫의 재설치시 ap소모 및 동물 해체 시 칼의 상태소모가 꽤 심하다는것입니다.
현재 표에는 2.85, 3.7% 라고 써두었지만 오락가락 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요약해보자면
장점
- 케이지 덫 사용시 1회 채집당 상태 5% 소모하는것으로 보이며 내구도가 없기에 수리키트 이용시 영구적 사용 가능
- 농사와 같이 던져두고 찾아오면 됨
- 케이지 만들 재료 외 수리도구 말고는 필요로하지 않음
- 리턴이 농사보단 빠르다.
단점
- 수거 및 보존이 어려울수 있음
- 재설치시 ap 소모와 칼 상태소모가 심함
- 수거되는 고기 양이 생각보다 적다.
- 덫 티어에 따른 재료 소모량 차이가 심하다.
개인적으로 어제 낚시의 경우 미끼와 그물통발만 있으면 신뢰도 복사 및
앞에 앉아 물도 그 자리에서 해결 가능하다보니 해결 못할게 없는 통발 낚시가 가장 좋다고 생각 됩니다.





(IP보기클릭)21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