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명의 아버지들 그 사이의 화이라는 아이.
화이는 아버지들로부터 '성인식'을 강요받는다.
화이는 어떻게 자랄 수 있을까? 아버지들처럼 범죄자가 될것인가
모든 가족이 그렇듯 이 아버지들는 화이에게 어떤 기대를 품고있다.
이 일그러진 '가족'도 마찬가지로 아버지들이 원하는 모습이 있다.
화이는 아버지들의 원하는 모습으로 '어른'이 될 수 있을까?
아버지들의 원하는 모습은 어쩌면 '열등감'에서 올 수도 있다.
화이는 다른 평범한 성장기의 아이들처럼 사랑에 빠지고 새로운 꿈을 꾼다.
이 당연한 것은 아버지들의 폭력과 범죄로 화이와는 아주 먼 거리에 있다.
아무렇지않게 사람을 죽이고 비정상적인것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성장하는 과정을 담은 영화이다.
아버지들의 기대를 꺾고 아버지들을 죽이고 그는 결국 어른이 되버린다.
아버지들을 죽임으로서 '어머니'를 고통에서 해방시키게 된다.
어쩌면 되게 아이러니하게 느끼게 되는 부분이기도하다.
아버지들로 묘사되는 폭력을 넘어 화이가 바라는 것은 어머니로 보이는 사랑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나는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증오'라고 본다.
5명의 아버지, 특히 김윤석이 연기한 석태는 작중 항상 열등감과 증오로 극을 이끈다.
화이가 납치당하고 5명의 아버지가 아닌 진짜 아버지가 죽은 이유는 무엇인가?
왜 화이에게 진짜 아버지를 죽이게한걸까?
아무리 노력해도 본인(석태)은 그럴 수 없다는 열등감으로 인한 증오라고 본다.
그 감정으로 시작되었고 석태가 봤다는 괴물은 '증오'일거다.
증오는 쉽게 지워지지않는다.
화이를 납치한것도 화이를 키운 것은 결국 화이의 진짜 아버지보다 자신이 더 낫다는걸 보여주려고 한거라고 본다.
자신이 증오한 사람보다 화이에게는 더 나은 사람이라고 그렇게 증명하려고 한것 같다.
화이도 봤다는 '괴물'에서 동질감을 느끼고 이는 부성애가 섞인 애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화이는 그 '괴물'을 벗어나고 아버지라고 칭하던 이들의 속박으로 벗어나 스스로 선택을 하고 그들과 다른 삶을 살기로한다.
화이는 결국 영화 부제처럼 '괴물'에게 잡아 먹히지않고 '삼킴'으로서 그 '증오'를 벗고 사랑하는 사람을 지킬 수 있게 '성장'한 거라고 본다.
증오 그 사이에 자라는 아이의 성장기라고 나는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