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타] 애플페이 도입돼도 '교통카드' 제한된다 [51]




profile_image (5434497)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20557 | 댓글수 51
글쓰기
|

댓글 | 51
1
 댓글


(IP보기클릭)121.173.***.***

BEST
"이와 관련해 티머니와 캐시비는 말을 아꼈다. 이들은 “애플페이 교통카드와 관련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왜 사실무근이라고 안하고... 흠터레스팅
23.02.26 18:04

(IP보기클릭)211.234.***.***

BEST
솔직히... 아이폰 가진사람들 아이폰으로 티머니 안된다고 버스,지하철 안탈거도 아닌데... 기업입장에서는 수수료 주면서 도입할 이유가 없죠
23.02.26 19:46

(IP보기클릭)223.62.***.***

BEST
기사가 여러모로 이해하기힘듬... 티머니/캐시비가 애플페이안에서 eSE지원해가며 서비스하는걸 원하지 않는다는것 까지는 알겠지만, 이거랑 EMV지원여부는 별개이야기일텐데요.. 그리고 애플이 nfc결제기능을 개방해야 하는건 맞다봐요.
23.02.26 18:13

(IP보기클릭)221.150.***.***

BEST
근데 이건 단순히 단말서 EMV호환이 되냐문제가 아니라, 서비스 협의가 되냐 안되냐의 문제라서.... 국내는 티머니랑 캐시비가 전국 인프라를 나눠갖고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애플페이가 되는나라에서도 대중교통까지는 안되는 나라가 많습니다.
23.02.26 19:12

(IP보기클릭)49.171.***.***

BEST
제 생각에는 지금 티머니 캐시비쪽에서 두가지 방법을 다 거부하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1. 그간 SIM-SE나 HCE 등등을 이용해서 결제 보안 수수료가 거의 없었는데, 애플의 eSE를 쓰게되면 역시 티머니랑 캐시비 등도 교통수단 결제할때마다 애플에게 수수료를 줘야할꺼 같네요... 그러니 수수료 때문에 NFC를 개방해서 SIM-SE나 HCE를 쓰게 해달라는것 같습니다. 2. 1번의 방법이 불가능하면, 비자,마스터,아멕스,JCB 등의 비접촉 결제를 이용해서 교통결제가 되게끔 해야겠죠... 그런데 교통 단말기를 EMV가 지원하게끔 바꾸려면 엄청난 비용이 들껍니다.... 참고로 2번의 방식은 영국과 후쿠오카 지하철에서 쓰는 방식이고(EMV 익스프레스 결제), 1번은 중국 이카퉁 홍콩 옥토퍼스 일본 스이카 방식입니다. 결국 두 개 다 티머니나 캐시비에게는 부담스러운 방법밖에 안되네요...
23.02.26 18:28

(IP보기클릭)121.173.***.***

BEST
"이와 관련해 티머니와 캐시비는 말을 아꼈다. 이들은 “애플페이 교통카드와 관련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왜 사실무근이라고 안하고... 흠터레스팅
23.02.26 18:04

(IP보기클릭)223.118.***.***

seawi9966
사실상 인정하는 말이고, 어차피 먹을 욕이지만 미리 먹긴 싫겠죠 | 23.02.26 18:13 | | |

(IP보기클릭)118.223.***.***

seawi9966
부서차원에서 어딘가는 노력중일 수도 있는데 함부로 장담해서 피보는건 원치 않겠죠 뭐든 | 23.02.27 08:27 | | |

(IP보기클릭)223.62.***.***

BEST
기사가 여러모로 이해하기힘듬... 티머니/캐시비가 애플페이안에서 eSE지원해가며 서비스하는걸 원하지 않는다는것 까지는 알겠지만, 이거랑 EMV지원여부는 별개이야기일텐데요.. 그리고 애플이 nfc결제기능을 개방해야 하는건 맞다봐요.
23.02.26 18:13

(IP보기클릭)125.130.***.***

루리웹-475507
걍 기자가 삼엽충이라 꾸역꾸역 억까하는거 | 23.02.26 19:44 | | |

(IP보기클릭)121.176.***.***

애플이 국내 교통카드사업자인 티머니, 캐시비 등과 애플페이 교통카드 탑재를 놓고 협의하고 있지만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 생각보다 일찍 만났네요.
23.02.26 18:15

(IP보기클릭)49.171.***.***

BEST
제 생각에는 지금 티머니 캐시비쪽에서 두가지 방법을 다 거부하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1. 그간 SIM-SE나 HCE 등등을 이용해서 결제 보안 수수료가 거의 없었는데, 애플의 eSE를 쓰게되면 역시 티머니랑 캐시비 등도 교통수단 결제할때마다 애플에게 수수료를 줘야할꺼 같네요... 그러니 수수료 때문에 NFC를 개방해서 SIM-SE나 HCE를 쓰게 해달라는것 같습니다. 2. 1번의 방법이 불가능하면, 비자,마스터,아멕스,JCB 등의 비접촉 결제를 이용해서 교통결제가 되게끔 해야겠죠... 그런데 교통 단말기를 EMV가 지원하게끔 바꾸려면 엄청난 비용이 들껍니다.... 참고로 2번의 방식은 영국과 후쿠오카 지하철에서 쓰는 방식이고(EMV 익스프레스 결제), 1번은 중국 이카퉁 홍콩 옥토퍼스 일본 스이카 방식입니다. 결국 두 개 다 티머니나 캐시비에게는 부담스러운 방법밖에 안되네요...
23.02.26 18:28

(IP보기클릭)138.199.***.***

티머니가 협상중일수도 있고.. 부산시가 부산 지하철에서 애플페이 쓸수 있게 준비중이라고 본거 같은데 뭐 다들 차차 되겠죠
23.02.26 18:32

(IP보기클릭)61.74.***.***

교통카드 빨리 뚫어줘잉~
23.02.26 18:37

(IP보기클릭)121.149.***.***

근데 저렇게 말 할만한듯. 아직 들어온게 아니라서..
23.02.26 18:40

(IP보기클릭)211.246.***.***

Emvco에서 구식 단말기를 펌웨어 업데이트로 emv컨텍리스와 호환되게 만드는 방안을 논의한 적이 있는데 교통카드도 걍 시간 지나면 자연스래 해결될거라 봄. 티머니에서도 emv관련 작업을 했던걸로 아는데.
23.02.26 18:40

(IP보기클릭)221.150.***.***

BEST
라스트리스
근데 이건 단순히 단말서 EMV호환이 되냐문제가 아니라, 서비스 협의가 되냐 안되냐의 문제라서.... 국내는 티머니랑 캐시비가 전국 인프라를 나눠갖고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애플페이가 되는나라에서도 대중교통까지는 안되는 나라가 많습니다. | 23.02.26 19:12 | | |

(IP보기클릭)119.82.***.***

애플페이 되더라도 교통카드 기능은 안된다는건가요???
23.02.26 19:03

(IP보기클릭)221.150.***.***

노화방지크림
애초에 애픒이로 교통카드까지 가능한 나라가 드물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와 달리 한 나라에서도 지역마다 제각각인경우가 많아서... 미국만해도 지역마다 죄다 다르다보니 어딘되고 어딘 안되고 그런걸로 알고있어요 | 23.02.26 19:10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우리나라도 지역마다 업체가 다릅니다. 상호호환 시켜놨기 때문에 이를 느끼지 못할 뿐. | 23.02.26 19:19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지금은 상호호환을 넘어서 티머니/캐시비가 지역회사들까지 죄다 인수하거나 합자상태로 운영해서 그놈이 그놈인걸로... DGB 대구와 코레일정도만 독자운영상태일걸요 | 23.02.26 19:24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티머니와 캐시비는 한몸이 아닌 엄연히 모기업부터가 독립된 기업이라 지역마다 다른건 맞아요. 당장 서울은 티머니고 경기도는 캐시비라서 티머니가 애플페이를 호환시켜준다고 해도 캐시비가 호환 안시켜주면 아무리 서울로 들어가는 버스라도 경기도와 인천 버스는 애플페이 못씁니다. | 23.02.26 19:29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어.. 제가 이야기한건 그게 아니구요. 티머니와 캐시비 두 회사가 사실상 국내 인프라를 전부 가지고있다는겁니다. 그 두회사가 한회사라고 이야기하는게 아니구요. | 23.02.26 19:30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앞서 이야기한건 미국이나 그런데는 도시단위, 지역단위로 아예 서비스 회사가 다르다는 이야기를 한거구요 | 23.02.26 19:31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우리나라도 상호호환이 되서 그렇지 지역(시도)단위로 서비스 회사가 아예 다른건 변함없습니다. 당장 수도권도 서울은 티머니고 경기도와 인천은 캐시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상호호환이 되서 수도권은 앵간하면 티머니나 후불카드 쓰지만요. 애플페이 같은 경우는 단말기 단의 호환이 필요한 상황이라서 티머니가 티머니 지역 전지역을 지원해줘도 캐시비 지역까지는 관여 못합니다. 만약 티머니만 협상이 되고 캐시비와는 협상이 결렬되면 서울, 제주, 대전 등의 티머니 지역에만 애플페이가 되고 부산, 경기, 인천 등의 캐시비 지역에는 애플페이가 안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23.02.26 19:35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아... 말씀하신내용을 모르거나 잘못되었다고 이야기한게 아니구요. 외국같은경우는 지역마다 서비스회사가 다다르고, 애플페이도 어딘되고 어딘안되고 이런식으로 운영되고있는상황인데 우리나라는 티머니와 캐시비가 사실상 전국 인프라를 나눠가지고있고 두회사모두 기본적으로 전국사용을 전제하는상황이라 미국이나 다른나라처럼 지역별도입 그런것도 기대할수 없다는 의미로 단 댓글이었어요. | 23.02.26 19:42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애초에 위 라스트리스님 댓글의 대댓글로, 두회사가 인프라를 '나눠'가지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ㅠㅠ | 23.02.26 19:42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그리고 어차피 인프라는 전국호환이고 별개 정산절차를 거치니까 티머니건 캐시비건 단독 도입이 안될건 없지 싶어요. 이러나 저러나 티머니나 캐시비는 애플에 아쉬운게 없는상황이니 계약조건이 문제겠죠. | 23.02.26 19:53 | | |

(IP보기클릭)221.150.***.***

루리웹-475507
두회사는 사실상 경쟁관계보다는 국내여건상 공생관계에 가까우니 카드사와는 다를뿐,.... | 23.02.26 19:54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두회사가 인프라를 나눠 가질 분 한 권역 내에서의 인프라는 독점이라 지역별 도입 그런게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국적인 호환의 전제로 이야기 하는건 그 회사의 실물카드나 모바일카드 얘기고 단말기는 전국 통합이 아니라 티머니 단말기랑 캐시비 단말기가 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티머니, 캐시비가 전국 지원되는건 티머니 지역의 단말기는 캐시비가 호환이 되고 캐시비 지역의 단말기는 티머니가 호환이 되서 방식이라 그렇습니다. 티머니-캐시비 컨소시엄이 통합된 단말기를 보급하는 이런 방식이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캐시비는 캐시비 단말기에서 티머니가 인식되도록 한 것이고 티머니는 티머니 단말기에서 캐시비가 인식되도록 한 것일 뿐입니다. 티머니가 애플 페이를 지원한다고 해도 캐시비 측에서 자사 단말기에 애플페이 티머니 대응을 하지 않으면 티머니 지역만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일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 23.02.26 19:54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아뇨 당연히 할 수 있냐 없냐 라고하면 당연히 할수는 있는데, 그런데 그런식의 도입가능성이 당연히 없고, 외국과는 아예 다른 상황이라고 이야기한거였어요 ; 말씀하신것처럼 티머니와 캐시비가 각각 따로 도입할수도 있겠지만, 그게 외국과 같은 상황은 아닌거 아닌가요... | 23.02.26 19:56 | | |

(IP보기클릭)221.150.***.***

루리웹-475507

미국마냥 이런게 아니라는거죠. ㅠㅠ | 23.02.26 19:58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만약 티머니만 애플페이를 도입하기로 했고 캐시비는 도입하지 않았다고 가정합니다. 알려진 바로는 애플페이 교통카드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애플이랑 협상해서 eSE 방식을 쓰는 방법. 2. 단말기를 EMV에 호환시키는 방법. 만약 티머니가 2번 방식으로 도입을 결정했다 가정하면 캐시비 지역의 경우에는 EMV에 대응하지 않은 이상 애플페이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1번 방식도 문제인게 캐시비가 애플페이 티머니를 단말기 단에서 지원해야 티머니 애플페이를 쓸 수 있을텐데, 만약 알력 다툼 등의 문제로 인해 관련 대응이 늦어진다면? 당연히 티머니 지역만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일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차이점은 미국은 미국은 한국처럼 지역별 상호호환을 실시하느냐의 여부입니다. 지역마다 업체 다른건 똑같아요. 전국호환 방식도 전국에서 통일되는 방식의 단말기를 쓰는게 아닌, RF 통신규격만 통일시켜두고 단말기 단에서 타사의 카드를 호환시키는 방식입니다. 단말기는 전국 통합이 아닙니다. | 23.02.26 20:25 | | |

(IP보기클릭)221.150.***.***

anonP
이야기가 길어지는데.. 말씀하신바는 이해하고 그게 불가능하다는게 아니구요. 미국같은데는 애초에 다 지역마다 운영주체도 다르고 별개로 따로 굴러가고있는반면 국내는 캐시비/태머니가 인프라를 양분하고있고 전국호환으로 환승시스템까지 엮어서 서비스하고있지 않습니까. 하다못해 가장 중요한 수도권이 그렇구요. 그런데 둘중 한회사가 특정지역에서만 통용되는 시스템으로 들어오는것 자체가 비현실적이니까 아예 그런식으로 이야기를 안한거죠.. 그런고로 둘중한회사가 말씀하신 2안처럼 단독으로 EMV지원으로 가는것도 비현실적이구요. 애초에 단말기를 SW적이건 HW건 업그레이드하고 이루어져야기도 하구요. anonP님도 방식이 어찌되었건 권역과 교통수단, 노선별 제한이 걸리는 방식으로 서비스 될거라고 생각하시는거 아니실거잖아요.. | 23.02.26 20:38 | | |

(IP보기클릭)221.150.***.***

루리웹-475507

제가 글을 잘 못써서 이리 글이 길어진거같은데, 제이야기는 이겁니다. 애플페이가 되더라도 교통카드까지 되는나라는 많지않다. 외국같은경우는 우리나라와달리 교통카드 자체가 지역별로 제각각인경우가 많고 애플페이 교통카드도 그렇게 어딘되고 어딘안된다 식으로 운영된다. | 23.02.26 20:49 | | |

(IP보기클릭)220.86.***.***

루리웹-475507
지역별로 제각각인건 한국도 똑같습니다. 상호 호환이 되는 것 뿐이죠. 이건 일본도 마찬가지 입니다. 지역별 카드업체가 따로 있고 그 카드업체끼리 상호 호환하는 방식이며, 한국도 이거랑 거의 다를 바 없습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스이카(일본 수도권을 관활하는 JR 동일본 계열), 파스모(일본 수도권 지역 사철 계열)만 애플페이랑 계약했으며, 스이카, 파스모 애플페이를 이코카(일본 간사이권을 관활하는 JR 서일본 계열) 등 타 지역 업체에서 호환을 시켜주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호환이 안되는 지역도 있기에 그 지역에서는 애플페이가 안됩니다. 제가 지적하고 싶은건 우리나라도 분명히 지역별로 제각각인고 미국이랑 다른건 단지 상호호환이 되는 것 뿐인데, 님은 한국은 지역별로 제각각이 아닌 것 처럼 얘기하니 거기에 대해서 지적하고 싶은 겁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우리나라는 상호호환이 전국적으로 되었다 뿐이지, 교통카드 업체와의 협상 진척도에 따라 전국이 동시에 될 가능성도 있지만, A업체는 협상 타결되서 런칭되었는데, B업체 와의 협상 진척이 안되고 B업체는 A업체의 애플페이만 거부할 경우 어딘되고 어딘안된다 방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B업체가 A업체의 애플페이를 거부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A업체가 EMV 기반으로 애플페이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경우 B업체가 EMV에 대응하지 않는 이상 B업체 지역은 아무리 A업체와 상호호환이 된다 하더라도 A업체의 실물카드 결제만 되고 A업체의 애플페이 교통카드를 통한 결제는 안된다고 안됩니다. 솔직히 말해서 최종적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가 전국적으로 도입이 된다 하더라도 저는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도입될 가능성을 낮지 않게 봅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도입이 결렬되거나, 일부 업체만 애플페이를 도입하고 전국 호환은 애플이 NFC를 개방하는 그때(애플페이 도입 안한 업체는 애플페이와 독립된 자체 앱을 만들겠죠)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봅니다 | 23.02.26 21:29 | | |

(IP보기클릭)223.62.***.***

anonP
음...우선 제가 이야기하려던건 위에서 다 이야기드린거같구요. 말씀하신것처럼 지역별로 다른데 호환이 되는것이 차이라고 하기엔 사실상 전국 교통카드가 전부 티머니나 캐시비가 인수했거나 관계사인 상황이라 외국과는 다르다고 이야기한거구요. 물론 이것도 말씀하신것처럼 쪼개져서 권역제한으로 도입할수는 있겠죠. 다만 특정회사가 단독으로 그렇게 비호환되게 나오게되면 수도권내에서도 권역이 쪼개지고 노선이 갈리게되는데 수도권만 빠지고 단독권역으로 유지되는 지역에만 도입될리도 없고 정책과도 엮여있는거기도 해서 당연히 이를 배제하고 이야기한겁니다. 그래서 외국과는 다르다고 이야기한거구요. 길게 답변주셨는데 짧게답변드려 죄송하네요. 여기서 마칠게요. | 23.02.26 21:59 | | |

(IP보기클릭)39.116.***.***

애플은 애플페이 쓰고 싶으면 인프라는 니들 손으로 구축해 이런 입장이라 폭발적인 보급 이런 건 좀 힘들 듯. 카드계열이야 현대가 총대 매는 것 같다만.
23.02.26 19:21

(IP보기클릭)211.234.***.***

BEST
솔직히... 아이폰 가진사람들 아이폰으로 티머니 안된다고 버스,지하철 안탈거도 아닌데... 기업입장에서는 수수료 주면서 도입할 이유가 없죠
23.02.26 19:46

(IP보기클릭)220.94.***.***

Endgame
생각해보니 그러네요. | 23.02.26 19:57 | | |

(IP보기클릭)220.86.***.***

Endgame
네 그렇죠. 게다가 한국 교통카드는 EMV 컨텍리스가 생기기 이전에 생긴 케이스라 애플이나 EMV 등이 양보를 해줘야 도입이 수월할겁니다. | 23.02.26 20:19 | | |

(IP보기클릭)112.155.***.***

티머니, 캐시비가 애플한테 수수료 줘가면서 서비스하기엔 이득이 없으니 지지부진한거죠 우리나라 교통카드 사업자가 둘밖에 없기도 하고 거의 독점인데 애플이 양보안하면 안해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23.02.26 20:14

(IP보기클릭)121.172.***.***

전 일반 결제는 페이류 안쓰는경우 있는데 교통카드는 쓰고 있는데.. 저같은 사람은 저러면 바꿀이유가 확 떨어짐..
23.02.26 21:01

(IP보기클릭)59.14.***.***

결론은 아이폰7부터 스이카 IC카드 지원되는 일본이 최고였군요. 한국은 또 교통카드 되려면 얼마나 걸릴런지 ㅎㅎㅎ
23.02.26 21:16

(IP보기클릭)220.86.***.***

立岩
일본은 아이폰 점유율이 압도적이라 교통카드 업체가 애플을 패싱할 수 없었고 애플도 일본 시장을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많이 우대해주는 편이라 도입이 될 수 있었죠. 근데 한국은 이거랑 정반대인 상황입니다. 점유율은 안드가 명백히 강세고, 애플은 한국 시장을 딱히 신경 안쓰는 편이라서요. | 23.02.26 21:50 | | |

(IP보기클릭)223.62.***.***

아마 환승할인 거리를 줄이거나 무임승차를 없애는 방향으로 결국앤 대응하지 싶네요
23.02.26 21:22

(IP보기클릭)220.86.***.***

달걀없음
교통카드 업체가 운영주체와 한몸이거나 운영업체 계열사인 경우가 많은 외국과 달리 한국은 운영주체 따로 교통카드 업체 따로라서... | 23.02.26 21:44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223.6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35P
평소에 갈라파고스 환경 이러던건 공감하지만 이건 동의하기어려운게 교통카드는 원래 나라마다 다릅니다... 애초에 나라내에서도 지역마다 혹은 교통수단,노선마다 다른경우도 아직도 허다한데요. | 23.02.26 22:14 | | |

(IP보기클릭)118.235.***.***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35P
개나소나 갈라파고스이야기하면 공감할줄 아셨나봄. 애초에 애플페이로 교통카드되는 곳이 적은데, 도입안한 나라는 갈라파고스인가......? 삭제비율보니, 이것도 곧 삭제하겠네 | 23.02.27 08:16 | | |

(IP보기클릭)39.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35P
호주도 애플페이 적극 활용하는데 교통카드는 안됨 그럼 호주도 갈라파고스임? | 23.02.27 20:52 | | |

(IP보기클릭)182.224.***.***

솔까 애플이 nfc를 개방해주면 해결되는일인데. 그걸떠나서 애플페이덕에 가맹점들이 nfc로 바꿀려고 오력중인건 좋네요.
23.02.27 00:29

(IP보기클릭)211.221.***.***

곧 하겠지 뭐
23.02.27 00:40

(IP보기클릭)1.228.***.***

아이폰 바꾸려는데 이래저래 흔들리네
23.02.27 01:22

(IP보기클릭)121.146.***.***

Nfc 개방좀
23.02.27 03:00

(IP보기클릭)121.149.***.***

https://support.apple.com/ko-kr/HT207958 여기보니 애초에 교통카드 지원하는곳은 얼마 없네
23.02.27 10:01

(IP보기클릭)124.195.***.***

애플페이 땜에 네이버현대카드 만들었을때 교통 기능 없는걸로 했어요 근데 전철 탈 때 교통카드 단말기에 대보니 인식되고 통과되더라고요 콜센터에 문의해보니 emv 기능까지 꺼야만 교통 기능이 완전히 꺼진다고 하더라고요 그게 누가 그러셨는데 rfid 통신 기능 땜에 그렇다고 하시는데 무슨 얘기인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세요?
23.02.28 14:57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38)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9)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76)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49)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0)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1)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2253993 아이폰 윤다혜누나1사랑해 829 2024.06.09
2253985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834 2024.06.09
2253978 애플TV 원히트원더-미국춤™ 1 1211 2024.06.09
2253973 GPixel 7 6104 2024.06.09
2253971 아이폰 스텔D 5 4864 2024.06.09
2253969 아이폰 Landsknecht™ 10 10662 2024.06.09
2253968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3239 2024.06.09
2253964 아이패드 [삭제된 댓글입니다܂] 20 23432 2024.06.08
2253952 아이폰 요트맨470 6 8586 2024.06.08
2253944 아이폰 윤다혜누나1사랑해 5 5402 2024.06.08
2253942 아이폰 스텔D 4 3961 2024.06.08
2253941 아이폰 스텔D 7 3195 2024.06.08
2253938 아이폰 Landsknecht™ 2 3994 2024.06.08
2253937 아이폰 Landsknecht™ 2 1824 2024.06.08
2253936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12 6754 2024.06.08
2253932 아이폰 295020237 7 8896 2024.06.08
2253930 아이폰 295020237 5 4111 2024.06.08
2253929 기타 295020237 4 2627 2024.06.08
2253928 아이폰 Landsknecht™ 6 7604 2024.06.08
2253921 기타 라스트리스 2568 2024.06.07
2253895 아이패드 시무라오바상 1 2349 2024.06.07
2253890 아이폰 시무라오바상 2 1628 2024.06.07
2253889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2581 2024.06.07
2253874 아이폰 Landsknecht™ 2 2905 2024.06.07
2253870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752 2024.06.07
2253868 기타 랄라이야 22 9578 2024.06.07
2253863 아이폰 스텔D 12 14160 2024.06.06
2253837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3641 2024.06.06
글쓰기 39631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