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게 올라온 AI로 인한 바둑계 변화 글을 봤는데 그것도 좀 지난 얘기라서 요즘 근황을 올려봄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58342479?orderby=regdate&range=7d&search_type=subject&search_key=%EB%B0%94%EB%91%91&m=humor&t=now
윗 글을 보고 써본다.
1 바둑 AI
알파고 은퇴 후 우후죽순 바둑 AI들이 생겨났지만 현재는 크게
카타고, 골락시, 절예 이 셋이 살아남았고 거의 다 사장됨
오픈 소스의 카타고가 가장 대중적이고, 현 세계 1위인 신진서는 골락시를 사용중인 것으로 알려짐
절예는 현 최강 AI로 여겨지고 있는데 최강 버전은 중국 랭킹 1위에게만 자유롭게 사용되는 특혜가 있다.
2 현대 바둑의 메이저리그?
이전 글에서는 AI 바둑이 메이저 인간 바둑이 마이너로 소개되었지만
그건 AI 바둑이 일반인에게 풀리면서 높은 관심사로 생긴 일시적인 현상이지 현재는 그렇지 않다.
AI 바둑대회를 눈여겨 보는 사람들도 물론 있지만 그건 관계자나 프로기사, 찐 골수 바둑 오타쿠들이고 일반인은 여전히 사람 바둑을 본다.
최강으로 여겨지는 중국의 절예는 출전하지 않고 있으며 (그만큼 AI 바둑 열기가 예전같지 않다는 얘기)
대부분은 오픈소스인 카타고를 개조한 클론들이 출전중.
3 AI를 공부하지 않으면 프로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이건 앞으로도 계속될 듯. 사람보다 나은 선생이 생겼는데 안 쓸 이유가 없다.
다만 AI가 왜 그 수가 좋은지 직접 설명해주지는 않으므로 일정 이상의 기력이 되지 않으면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하기 때문에
AI로 공부하려면 AI 수를 이해할 정도가 되어야 도움을 확실히 받을 수 있다.
4 프로들의 평균 기력 대폭 증가
AI로 학습은 주로 초반 포석단계가 주가 된다. 중반 전투와 후반의 끝내기는 AI 효과를 보기 어렵다.
예전에는 초반 후반 중반 단계에서 모두 실력차이가 존재했다면
이제는 초반이 AI로 인해 거의 비슷한 실력이 되어서 상대적으로 강자와 약자의 차이가 좁혀진게 사실이다.
반대로 AI 학습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실제 승부가 갈리는 중반과 종반이 약해진 느낌도 있다.
이전 글에선 이세돌과 붙었던 알파고 리가 최정상급 기사에게 밀릴거라고 써 있는데
실제 바둑계 팬들 사이에선 회의적이다.
바둑의 기술은 늘었지만 실력의 본질이 되는 수읽기와 형세를 판단하는 능력은 인간이 기계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ELO 랭킹도 신진서가 알파고 리보다 높다고 했는데
실제 구글 개발진의 알파고 리 버전의 ELO 점수는 4500점 이었다.
그런데 당시 3550점이었던 이세돌에게 지는 바람에 3700점이 된 것. 그 패배가 없었다면 알파고의 점수는 그대로 4500으로
인간과는 비교가 안되는 점수다.
다만 그때보다 사람도 기력이 많이 상승했기에 전보다 더 나은 승부를 펼칠 것이다.
5 노잼 바둑?
한 떄는 정말 비슷한 포석만 나온적도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이렇게 두나 저렇게 두나 큰 차이는 없으니 어떻게 두어도 한 판이다. 라는 인식이 많이 퍼져서
예전처럼 칼같이 AI만 따라 두지는 않는다.
프로들의 수가 무슨 수인지 모르니 해설자에게 의존도가 너무 높던 바둑 관전에서
AI가 형세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좋아지기도 했다.
예전에는 좋은 수인지 나쁜 수인지 모호한 재미가 있었다면
이제는 드리블인지 슛인지, 홈런인지 삼진인지 바로 알 수 있게 되어 관전하기에 좋아졌다.
6 바둑 플옵
예전 글 대로 제대로 AI를 활용하기 위해선 높은 사양의 PC가 필요하다.
세계 대회를 노리는 프로들은 수백~ 천만원대 PC를 맞춘다.
게임 핵쟁이마냥 바둑도 AI만 따라두는 비매너들도 많은데
우습게도 사기꾼들의 바둑에선 PC 사양으로 바둑 승패가 갈리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다.
번외. 요즘 바둑계 근황
의외로? 여자 프로바둑의 시청율이 괜찮은 편인데 유망주들이 대거 출현하면서 더 재밌어 질 듯 하다.
치팅소녀 외에도 그와 비슷한, 혹은 더 셀지도 모르는 신예들과 현 세계 여자1위 최정을 비롯한 기존의 강자와 대결은 뜨거운 감자다.
남자 쪽은 최근 1위 신진서가 중국1위 커제를 발라버리며 여전한 기대를 받는 중.
일본에서도 특급 유망주가 등장하며 AI 바둑 세대의 특수를 볼 수도 있을 듯.
일반인 쪽으로는 바둑 AI의 보급으로 넷상에서 바둑 AI를 써 볼 수도 있고
최근엔 카타고를 이용한 스팀 게임들도 나오더라.
예전보다 집에서도 쉽게 접하고 배울 수 있어서 의외로 유입도 있는 편.

(IP보기클릭)116.123.***.***
(IP보기클릭)122.42.***.***
이름 언급도 싫다 ㅋㅋ | 22.08.26 17:28 | | |
(IP보기클릭)221.161.***.***
(IP보기클릭)122.42.***.***
그렇지도 않다. 아직은 AI도 답을 모를 뿐더러 시대의 분위기가 그럴 뿐, 여전히 바둑은 철학을 담고 있다. 애초에 사람은 기계처럼 둘 수도 없고. 님 말대로 아쉬움도 있지만 좋아진 점도 있다. | 22.08.26 17:31 | | |
(IP보기클릭)211.198.***.***
(IP보기클릭)122.42.***.***
그걸로 꽤 많은 유입이 있는 듯. 초보자의 질문이 요즘 많이 올라오더라 | 22.08.26 17:32 | | |
(IP보기클릭)211.198.***.***
어디 바둑 커뮤같은게 있나봐? 흥미는 있는데 | 22.08.26 17:37 | | |
(IP보기클릭)122.42.***.***
옆동네 어딘가지 뭐.. 거기가 바둑 최대 커뮤니티니까. 다만 그쪽 답게 이상한 사람들이 많으니 적당히 걸러 봐야지 | 22.08.26 17:4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