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그건 오히려 휘발유를 시장에 끼얹는 것임
시장에 미치는 시퀀스는 아마 이럴거야
1. 5조 달러 유동성이 끼얹어진다
2. 자산 가격 폭등한다
여기까진 다 예상했던거지?
그러나 이 나스닥 및 전세계 주식시장엔 레버리지 파생구조가 있어
그리고 이 파생구조는 레버리지의 양이 단기간에 급하게 많아지면 오히려 이상한 방향으로 움직여
3. 파생상품 레버리지 극대화
4. 담보 가치 왜곡
그리고 이렇게 되면?
5. 신뢰 구조 마비
6. 자동 청산 시스템 가동
7. 연쇄적 매물 폭탄
그리고...
8. 시스템 붕괴.
이걸 증명하는 건 과거사례 그리고 시스템의 운용방식이야.
레버리지의 역설적 증폭이라는 거지.
자산 가격 1%가 상승하면 어떻게 되는가?
파생상품 레버리지는 무려 10배에서 100배 증폭하게 되어있어.
실제로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 당시 CDS(신용부도스와프) 레버리지는 30:1이었음
이게 실제 위험을 100배나 과소평가했다는 건 이미 수많은 연구결과로 나와있지
더 위험한 건 담보 가치의 환각 그 자체야
저 하이퍼버블 시장에서는 모든 자산이 거품화되어버려. 즉 담보 평가가 불가능해지는거임.
DTCC 데이터에서는 파생상품 담보의 40%가 실체 없는 가상자산이라고 2024년 2분기 보고서에서 말했었는데...
과연 이 미친 레버리지 비율에서 40퍼센트가 단숨에 무너지면 어떤 파장이 올까?
서울로 치면 거의 직경 n킬로에 이르는 싱크홀이 생기는 느낌이 되어버리지 않을까...?
(IP보기클릭)211.230.***.***
트럼프 정부가 미국패권 유지를 위해 여러가지 정책과 함께 유동성을 미친듯이 퍼붓고 있는데 거품은 크면 클수록 터질때 여파가 커서 좀 무섭긴 한거같아
(IP보기클릭)61.105.***.***
지금은 금 투자가 답인가...
(IP보기클릭)211.234.***.***
다른 나라는 죽어도. 미국은 살 수있다는 자신감인가??
(IP보기클릭)211.230.***.***
트럼프 정부가 미국패권 유지를 위해 여러가지 정책과 함께 유동성을 미친듯이 퍼붓고 있는데 거품은 크면 클수록 터질때 여파가 커서 좀 무섭긴 한거같아
(IP보기클릭)61.105.***.***
지금은 금 투자가 답인가...
(IP보기클릭)211.234.***.***
다른 나라는 죽어도. 미국은 살 수있다는 자신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