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수학 전문가들이 푼 2024 수능 수학 시험 결과 [16]



profile_image (2022606)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4722 | 댓글수 16
글쓰기
|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120.142.***.***

BEST
학력고사 세대 / MB이전 수능세대 / MB이후 수능세대에서 교육목적이 다름 20년전 학력고사 시절 필요한 사회적 인재는 많은걸 외우고 그걸 빨리 풀어서 사회에 기여하는 인력을 육성하는게 목적임 수능을 도입한건 단순히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이 아니라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게 목표였음 MB이후는 단순히 리더가 아니라 혁신을 만들어내는 게임식으로 말하면 육각형형 인재를 양성하는게 목표가됨 교육부 뒤지면 인재 육성 방침이 매 정부마다 바뀌고 있어서 확인할 수 있음. 교육부가 단순히 이렇게 하자하고 결정하는게 아니라 대학에서 요구하는 인재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이 바뀌고 있기 때문임. 저기 있는 사람들이 낡은게 아니라 저들이 있는 장소와 시대가 바라는 인재상의 갭이 그만큼 큰거..
24.04.27 16:13

(IP보기클릭)211.58.***.***

BEST
수능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애들은 더욱 버거워하고 있고.
24.04.27 16:07

(IP보기클릭)223.39.***.***

BEST
근데 수학적 측면에서 보면 그런데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이 친구가 얼마나 노오오력 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를 잡기 쉬워서 아닐까
24.04.27 16:08

(IP보기클릭)120.142.***.***

BEST
네. 결론적으로 원흉은 이주호입니다 ㅋㅋㅋㅋ 사실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인데.. 지금도 블라인드해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학교 수준을 가늠할 수 있고 학과명으로 자사고 외고를 걸러낼 수 있다죠 ㅎ
24.04.27 17:46

(IP보기클릭)120.142.***.***

BEST
그건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많은걸 주입해서 그걸 푸는 인재를 원하는게 아니기 때문임 킬러문항 논란때문에 묻힌 mb 이후 수능 지향점이 무엇인가 하는 본질이 조금 들어가버렸는데 수능은 말그대로 과업 수행능력이 있는지를 보는거임. 출제위원이 이정도면 늬들 풀 수 있을거야 하고 이야기 하는 것도 거기에 방점이 찍혀있기 때문임. 결국 수행능력이라는걸 평가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많은 지식을 주입할 필요가 있는게 아니고 부족한건 스스로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 사교육에 의존해서 심화를 할게 아니라 자기주도로 뭘 공부할지를 정하라는거. 그걸 평가하겠다는게 현재 학종의 지향점임 이것도 그냥 만든게 아니라 학종으로 선발하면서 겪은 시행착오.. 과거에는 온갖 경시대회 이력을 중시했는데 이젠 그런걸 배제하는.. 그런 시행착오끝에 나온 산물로 지금은 독서목록을 보는 시대가 되었음 독서목록을 보고 그걸로 얘가 뭐에 관심이 있고 그걸로 뭘 공부했는지.. 그리고 나아가 우리 학교에서 계속 공부할 자질이 있는지를 본다는거.. 이번에 바뀐다는 2022제도와 2025수능에서 1학년은 공통과목만 배우고 2~3학년엔 선택과목이 세분화되고 교육과정에서 더 빼고 있는게 학업부담을 줄이는게 아니라 스스로 채우라는 거라서 사실은 교육현장에서도 반발할 수 밖에 없고 이른바 학원가 입시 전문가들도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함. 개인적으론 이미 학종에 독서록 쓰라고 했으면 독서록 잘 채우고 진짜 하고 싶은 공부 찾아가게 독서에 집중하는게 맞다고 봄 독서교육이 준비되었느냐는 또 별도의 문제인데 이건 사교육으로 커버 불가능하고 오히려 공교육에서 제대로 가르쳐야 할 문제라고 봄..
24.04.27 16:51

(IP보기클릭)182.229.***.***

BEST
국어든 영어든 시험 문제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입시가 줄세우기라는 본질을 지니고 있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줄을 세워야하는데 사교육으로 시험 유형에 단련 된 학생들이 늘어나니 줄을 세우기 위해 문제가 더 심화 될 수 밖에 없지 창과 방패가 싸우다 보니 좋게 말하면 문제가 끊임없이 진화하는 거임 나쁘게 말하면 사회적 낭비인거고
24.04.27 16:42

(IP보기클릭)220.76.***.***

BEST
스킬 다 꿰고 있으시다는 거겠지
24.04.27 16:04

(IP보기클릭)220.76.***.***

BEST
스킬 다 꿰고 있으시다는 거겠지
24.04.27 16:04

(IP보기클릭)211.58.***.***

BEST
수능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애들은 더욱 버거워하고 있고.
24.04.27 16:07

(IP보기클릭)223.39.***.***

BEST
근데 수학적 측면에서 보면 그런데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이 친구가 얼마나 노오오력 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를 잡기 쉬워서 아닐까
24.04.27 16:08

(IP보기클릭)120.142.***.***

BEST
학력고사 세대 / MB이전 수능세대 / MB이후 수능세대에서 교육목적이 다름 20년전 학력고사 시절 필요한 사회적 인재는 많은걸 외우고 그걸 빨리 풀어서 사회에 기여하는 인력을 육성하는게 목적임 수능을 도입한건 단순히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이 아니라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게 목표였음 MB이후는 단순히 리더가 아니라 혁신을 만들어내는 게임식으로 말하면 육각형형 인재를 양성하는게 목표가됨 교육부 뒤지면 인재 육성 방침이 매 정부마다 바뀌고 있어서 확인할 수 있음. 교육부가 단순히 이렇게 하자하고 결정하는게 아니라 대학에서 요구하는 인재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이 바뀌고 있기 때문임. 저기 있는 사람들이 낡은게 아니라 저들이 있는 장소와 시대가 바라는 인재상의 갭이 그만큼 큰거..
24.04.27 16:13

(IP보기클릭)121.145.***.***

새로운아이디ʕ·͡˔·Ɂ

교육과정에서 뭘 더 집어넣기보다 뭘 더 빼려고 하는 건 무슨 까닭인 건가요? | 24.04.27 16:27 | | |

(IP보기클릭)120.142.***.***

BEST
Nushian 586
그건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많은걸 주입해서 그걸 푸는 인재를 원하는게 아니기 때문임 킬러문항 논란때문에 묻힌 mb 이후 수능 지향점이 무엇인가 하는 본질이 조금 들어가버렸는데 수능은 말그대로 과업 수행능력이 있는지를 보는거임. 출제위원이 이정도면 늬들 풀 수 있을거야 하고 이야기 하는 것도 거기에 방점이 찍혀있기 때문임. 결국 수행능력이라는걸 평가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많은 지식을 주입할 필요가 있는게 아니고 부족한건 스스로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 사교육에 의존해서 심화를 할게 아니라 자기주도로 뭘 공부할지를 정하라는거. 그걸 평가하겠다는게 현재 학종의 지향점임 이것도 그냥 만든게 아니라 학종으로 선발하면서 겪은 시행착오.. 과거에는 온갖 경시대회 이력을 중시했는데 이젠 그런걸 배제하는.. 그런 시행착오끝에 나온 산물로 지금은 독서목록을 보는 시대가 되었음 독서목록을 보고 그걸로 얘가 뭐에 관심이 있고 그걸로 뭘 공부했는지.. 그리고 나아가 우리 학교에서 계속 공부할 자질이 있는지를 본다는거.. 이번에 바뀐다는 2022제도와 2025수능에서 1학년은 공통과목만 배우고 2~3학년엔 선택과목이 세분화되고 교육과정에서 더 빼고 있는게 학업부담을 줄이는게 아니라 스스로 채우라는 거라서 사실은 교육현장에서도 반발할 수 밖에 없고 이른바 학원가 입시 전문가들도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함. 개인적으론 이미 학종에 독서록 쓰라고 했으면 독서록 잘 채우고 진짜 하고 싶은 공부 찾아가게 독서에 집중하는게 맞다고 봄 독서교육이 준비되었느냐는 또 별도의 문제인데 이건 사교육으로 커버 불가능하고 오히려 공교육에서 제대로 가르쳐야 할 문제라고 봄.. | 24.04.27 16:51 | | |

(IP보기클릭)121.145.***.***

새로운아이디ʕ·͡˔·Ɂ

독서는 교육과정에서 이것저것 안 빼도 할 수 있는 거 아닌지...? 그럼 한 분야에 집중하는 독서는 가점이고, 폭넓게 읽거나 독서하지 않으면 감점인가요? | 24.04.27 17:02 | | |

(IP보기클릭)120.142.***.***

Nushian 586
말한대로 수행능력을 보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필요하면 혼자 공부하라는 거죠. 이주호 현행 교육부 장관이 MB때 교육부 장관이었고 이 양반이 들어오면서 교육과정에서 지식주입보다 학습능력을 강조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교육부장관이 되면서 학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거죠. 킬러문항 논쟁에서 초장기에는 교육부가 한발 빗겨나가면서 항명비슷하게 했던게 이주호 장관입장에서는 수능에서 만들었던 이른바 킬러문항은 사교육을 위한 킬러문항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수행능력의 차등을 위한 변별력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던 것 같아요. 독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보는데,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한분야를 계속 파는 방법이 있을거고 (분야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이게 필요하죠) 두루두루 넓게 보는 방법이 있을텐데 (보통 대학 교양과정 혹은 일반인에서 필요한 독서법이 이 방법이죠) 이걸 우열을 가리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깊게 팔 부분은 깊게파고 흥미를 가지고 두루두루 보는 필요도 있는거고 그렇게 지식을 쌓아가고 의문점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독서를 하는 거니깐요. 학종은 결국 스토리를 볼 겁니다. 내가 학교수업과정에서 뭔가 꽂혔는데 그걸 알기위해서 독서를 통해 정보를 접했고 그 과정에서 이런 저런 책을 읽었더니 궁금증이 해소됐다. 는 식으로 말이죠 가령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난린지 궁금해서 선생님께 ~~책을 추천받아 읽었는데 기본 용어가 이해가 안가 알기쉬운 경제용어집과 경제사책을 읽었다. 같은 식으로 말이죠. | 24.04.27 17:25 | | |

(IP보기클릭)121.145.***.***

새로운아이디ʕ·͡˔·Ɂ

저소득층한테는 되게 불리한 교육 방식 아닌가요.. 수능 강화하고 교육과정의 범위를 늘리는 편이 나을 텐데요.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이 축소되는 원흉은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라는 말씀인가요. | 24.04.27 17:31 | | |

(IP보기클릭)121.145.***.***

새로운아이디ʕ·͡˔·Ɂ
이주호 일마 수능폐지론자였나 보네요? 왜 교육부 장관하냐ㅋㅋㅋ | 24.04.27 17:37 | | |

(IP보기클릭)120.142.***.***

BEST
Nushian 586
네. 결론적으로 원흉은 이주호입니다 ㅋㅋㅋㅋ 사실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인데.. 지금도 블라인드해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학교 수준을 가늠할 수 있고 학과명으로 자사고 외고를 걸러낼 수 있다죠 ㅎ | 24.04.27 17:46 | | |

(IP보기클릭)220.120.***.***

학문 연구라는 본질은 잊고 그저 대입 수능을 위한 공부로 변질되고 굳어진지 오래됬지...
24.04.27 16:26

(IP보기클릭)182.229.***.***

BEST
국어든 영어든 시험 문제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입시가 줄세우기라는 본질을 지니고 있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줄을 세워야하는데 사교육으로 시험 유형에 단련 된 학생들이 늘어나니 줄을 세우기 위해 문제가 더 심화 될 수 밖에 없지 창과 방패가 싸우다 보니 좋게 말하면 문제가 끊임없이 진화하는 거임 나쁘게 말하면 사회적 낭비인거고
24.04.27 16:42

(IP보기클릭)117.111.***.***

미적분 1컷 81점이였어 예전 16년도 시행 가형30번 문제 설대수학과 교수가 하루 3시간씩 5일풀어서 맞쳤다잖아
24.04.27 16:45

(IP보기클릭)211.200.***.***

변별력이라는 그지 같은 기준으로 점점 문제가 산으로 가고 있는거지
24.04.27 16:47

(IP보기클릭)172.226.***.***

수능수학은 말그대로 수능을 위한 수학이라는건가
24.04.27 17:26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32)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8)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75)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49)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58)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1)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31206849 공지 정치 유머게시판 통합 공지 - 추가 (2020.03.22) _[RULIWEB] 90 5210667 2017.05.12
31150611 정치 루리웹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명왕' 문재인입니다. (2360) 레알명왕 8366 10278776 2017.05.04
BEST 이재명, 법정서 5분간 ‘눈 질끈’… 이화영 중형에 휴대폰만 (15) 멘탈리카 78 8228 03:54
BEST 이화영 판결 = 이재명이 대통령급임을 증명 (8) smile 110 7743 01:37
37373944 사회 Genoside Cutter 4 191 2024.05.20
37373943 유머 버선장수정코코 25 883 2024.05.20
37373942 잡담 FR05T 9 174 2024.05.20
37373941 국제 Genoside Cutter 148 2024.05.20
37373940 유머 라면을 먹고와? 3 141 2024.05.20
37373939 잡담 주운비가안되따 108 2024.05.20
37373938 유머 마르체라 2 170 2024.05.20
37373937 잡담 민트붐 7 201 2024.05.20
37373936 잡담 venom_k 2 122 2024.05.20
37373935 잡담 D.D.M 6 206 2024.05.20
37373934 유머 생각할수록기가막힌 43 2063 2024.05.20
37373933 참고 MooGooN 1 134 2024.05.20
37373932 정치 취미로구경하는넘 5 196 2024.05.20
37373930 정치 나요즘형아가남자로보여 4 203 2024.05.20
37373929 잡담 너에게라크쉬르를신청하지 3 160 2024.05.20
37373928 과학 건전함을 추구합니다 8 266 2024.05.20
37373927 잡담 월북장려정권 3 187 2024.05.20
37373926 잡담 Lee뽄지 1 172 2024.05.20
37373925 정치 에드jr. 169 2024.05.20
37373924 잡담 refu 8 202 2024.05.20
37373923 잡담 Lee뽄지 114 2024.05.20
37373922 참고 MooGooN 3 130 2024.05.20
37373920 참고 MooGooN 35 1972 2024.05.20
37373919 잡담 SCP-1879 방문판매원 5 144 2024.05.20
37373917 잡담 (っ• ө•)っ 6 209 2024.05.20
37373915 정치 금마가누구더라 22 1261 2024.05.20
37373914 유머 근첩파딱 개죽이 67 5035 2024.05.20
37373913 잡담 난폭한젤리해적단 1 155 2024.05.20
글쓰기 5075640개의 글이 있습니다.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