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에서, 명사(어떤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는 6개의 격을 갖는다.
쉽게 말해 명사 하나를 쓰려고 해도 어느 용도로 쓰려는지에 따라 모양을 바꿔야한다는 얘기다.
(라틴어에서 어휘의 순서를 딱히 안 따지는 이유가 이거 때문이다. 명사만 보면 주어 목적어 다 알 수 있으니까.)
1. 주격 : 서술어의 주어를 말한다. 한국어로 옮기면 "~이/가, ~는/은"이다.
- homo (사람이)
2. 속격 : 영어의 소유격에 해당된다. 한국어로 옮기면 "~의"다.
- hominis (사람의)
3. 대격 : 서술어의 직접목적어를 말한다. 한국어로 옮기면 "~을, ~를"이다.
- hominem (사람을)
4. 여격 : 서술어의 간접목적어, 즉 대격을 받는 체언을 말한다. 한국어로 옮기면 "~에게"이다.
- homini (사람에게)
5. 탈격 : 원인, 유래를 뜻하는 말이다. 한국어로 옮기면 "~에서, ~부터"이다.
- homine (사람에서, 사람으로)
6. 호격 : 명사를 호명할 때 쓰는 말이다. 한국어로 옮기면 "~야, ~아, ~여"이다.
- homo (사람이여)
번외로는 처격이 있다. 이건 장소를 뜻할 때 쓰는 용법인데, 용례가 한정적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몬티 파이튼과 브라이언의 삶>에 나오는
Romani ite domum(로마 놈들은 집에 가라)이다.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222.100.***.***
끌어내! | 19.11.25 17:44 | | |
(IP보기클릭)27.115.***.***
(IP보기클릭)222.100.***.***
ㅇㅇ 명사도 1군명사 2군명사 3군명사 이렇게 갈려서 격변화가 다르고 명사 성별에 따라서 또 다르고 동사도 단수 복수 성별 시점 능동/수동 직설 접속 명령 분사에 따라 다 형태가 다름 어엌ㅋㅋ | 19.11.25 17:48 | | |
(IP보기클릭)211.108.***.***
(IP보기클릭)222.100.***.***
언어의 기반이 되는 면에서 비슷하긴 한데 좇같은 이유는 각자 다른 거 같음 ㅇㅇ | 19.11.25 17:50 | | |
(IP보기클릭)211.216.***.***
(IP보기클릭)222.100.***.***
몬티파이튼 영화는 전부 명작이지 | 19.11.25 17:50 | | |
(IP보기클릭)211.108.***.***
40년이상된 작품들이 아직도 재미난것 보면 심도가 대단한거임. 물론 몬티파이튼 멤버들 학벌이 ㄷㄷ 한 수준이더라 | 19.11.25 17:52 | | |
(IP보기클릭)49.172.***.***
(IP보기클릭)222.100.***.***
개인적으로 동사 변화는 스페인어랑 많이 비슷하다고 생각함. 1인칭 복수 동사 현재형이 ~mus 이렇게 끝나거든. 로망스어 한개쯤 배우면 이해하기 훨씬 쉬운듯함. 상대적으로. | 19.11.25 17:51 | | |